• 제목/요약/키워드: American mathematic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blem Solving of Korean and American 3rd Grade Students in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Natural Numbers)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177-191
    • /
    • 2016
  • 자연수의 덧셈과 뺄셈은 학교수학을 해 나가는데 기본기능이며, 학생들은 다양하고 효율적인 전략을 활용하여 덧셈과 뺄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환경과 문화가 다른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자연수 덧셈과 뺄셈 문제해결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덧셈과 뺄셈 수식문제와 문장제 모두에서 한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이용한 방법 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합병과 구잔 상황의 문장제 해결 방법의 수에서도 한국학생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두 나라 학생들이 계산 학습에서 익히고 활용하는 방법의 차이와 각 나라의 계산 수업에서 강조점 및 교실 수업 문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분수 지도 내용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raction Contents of Korean, Japanese, Singaporean, American, and Finnish Mathematics Textbooks)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111-13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어지는 중요 개념 중 하나인 분수에 대하여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핀란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것은 분수의 하위 개념의 다양함, 그리고 도입 방식이나 전개 과정의 특징적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과 각 나라의 개념 도입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유의미한 분수 학습을 위한 준비를 위해서이다. 분석 결과, 분수 도입 상황은 5개 나라 교과서 모두 부분-전체(영역)로 도입하였지만, 수직선 활용이나 대분수 정의와 가분수-대분수 간의 변환 방식, 이산량을 다루는 것의 여부, 동치분수 구하는 방법, 분수 크기비교의 배열 순서와 같은 내용의 구성이나 선정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분수 도입상황의 재고, 분수 도입 시 수직선의 활용 문제, 내용의 유형화와 분절화의 문제 등을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와 미국 EM 교과서 비교 - 도형의 합동을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Mathematics Between Korea and U.S.A about Congruence of Figures)

  • 손민경;류희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39-5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EM 교육과정에 따른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합동 학습 내용에 한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도형 및 합동 단원 개발과 교수 학습 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동을 정의할 때 다각형을 구성하는 선분, 각과 같은 기본도형의 합동을 제시하거나 다각형으로 합동을 정의한 후 선분, 각 등의 합동과 관련한 활동 등의 내용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학생들에게 컴퍼스가 길이를 옮길 때에도 사용된다는 것을 알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합동의 활용으로 미국 EM 교과서에서 제시한 테셀레이션은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에 참고해 봄 직하다.

  • PDF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 형성사례 및 교수법 개발에 관한 소고 (An Americ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ward student-centered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15-433
    • /
    • 2002
  • The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ty is seeking to change a teacher-centered class-room culture to a student-centered culture. However, the real transition is not easy, even for teachers who are eager and willing to teach differently. The challenge for teachers is to use the social structure of the classrooms to nurture students' development toward mathematical ways of thinking and communicating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cesses. By introducing a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ong with her classroom episodes,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in which students ma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develop conceptual under stand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his paper first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room flow in terms of general social norms and sociomathematical norm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ave established such a student-centered math-ematics microculture. This paper then analyzes the teacher's teaching approa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에 관한 경향 분석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rends -Focused on 10th Graders-)

  • 김영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83-293
    • /
    • 2006
  • TIMSS나 PISA와 같은 국제적인 수학 성취도 비교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인지적인 영역에 대해서 우리 학생들은 매우 높은 순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자료와 함께 미국의 일부 주에서 시행하고 있는 EMPT 결과를 이용해서 이의 원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 수학교육의 장점과 보완해야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PDF

INTEGRAL FORMULAS FOR EULER'S CONSTANT

  • JUNESANG CHOI;TAE YOUNG SE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683-689
    • /
    • 1998
  • There have been developed many integral representations for Euler's constant some of which are recorded here. We are aiming at showing a (presumably) new integral form of Euler's constant and disproving another integral representation for this constant which were recently proposed by Jean Angelsio, Garches, France, in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By modifying the Angelsio's incorrectly proposed integral form of Euler's constant, we also provide an integral representation for Euler's constant.

  • PDF

COMPLEX SCALING AND GEOMETRIC ANALYSIS OF SEVERAL VARIABLES

  • Kim, Kang-Tae;Krantz, Steven G.
    • 대한수학회보
    • /
    • 제45권3호
    • /
    • pp.523-56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use of the important method of scaling in analysis, and particularly in complex analysis. Applications are given to the study of automorophism groups, to canonical kernels, to holomorphic invariants, and to analysis in infinite dimensions. Current research directions are described and future paths indicated.

한국과 미국 6학년 학생들의 직관적 사고에 의한 수학 문제해결 분석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via Intuitive Thinking of the Korean and American 6th Grade Students)

  • 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1호
    • /
    • pp.21-39
    • /
    • 2016
  • This research examined the Korean and American $6^{th}$ grad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hods via an intuitive thinking. For this, the survey research was used.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problems with intuitive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in number and operation, figure and measurement areas. 57 Korean $6^{th}$ grade students and 60 American $6^{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revealed a higher percentage than American students in correct answers. But it was higher in the rate of Korean students attempted to use the algorithm. Two countries' students revealed higher rates in that they tried to solve the problems using intuitive thinking in geometry and measurement areas. Students in both countries showed the low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 in problem solving to identify the impact of counterintuitive thinking. They were affected by potential infinity concept and the character of intuition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ultures.

한국과 미국의 유치원 수학교육의 내용과 과정에 관한 비교 (A Comparison of Mathematical Contents and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U.S.)

  • 계영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40
    • /
    • 2010
  • 교육과정은 역사적으로 각 시대의 사상과 철학, 문화의 영향으로 교과중심, 경험중심, 학문중심, 인간중심, 관계중심 교육과정으로 변천하여 왔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을 고찰하고,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과 미국 NCTM (National Council of Mathematics)의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현재 연구 중인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수학영역에서 내용과 과정, 계열을 정하는데 있어서 문화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적합하고 적절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