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hangover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콜 분해 효과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ropolis on Ethanol Oxidation)

  • 한승관;김희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8-201
    • /
    • 2004
  • 천연발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알콜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폴리스 농축액과 다양한 약용식물의 농축액을 사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였다. 배합원료 각각의 알콜 분해 능력을 검토한 결과, 프로폴리스와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가장 큰 분해 능력을 보였다. 타 회사 제품과의 알콜 분해 능력을 비교한 경우 급성 주정 중독량 (kg당 4g)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정중독량 지표보다 약 1/3을 감소시킨 kg당 1.8 L의 술을 경구 투여한 경우, 프로폴리스 음료는 270분이 경과했을 때 0.026%, 360분이 경과했을 때에는 0.000%의 혈중알콜농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프로폴리스 음료는 섭취알콜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일정량의 알콜을 섭취할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알콜 분해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nhancement of Alcohol Metabolism by Sprouted Peanut Extract in SD Rats

  • Seo, Ji Yeon;Kim, Seong Soon;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1-4
    • /
    • 2014
  • Excessive ethanol intake is known to induce a number of physiological symptoms, including headache, dizziness and vertig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ttenuation effect of sprouted peanut extract (SPE)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ethanol only; the ethanol plus SP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administered ethanol and 100, 200, or 400 mg SPE/kg b.w.;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ethanol plus DAWN808$^{(R)}$, a commercial product. SPE-suspended water was delivered to rats via gavage 15 h and 30 min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ethano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tail 0, 1, 3, and 5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rum ethan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PE treat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hepatic alcohol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enhanced by SPE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 could be useful in attenuating hangover after alcohol consumption.

Effect of the Mixture of Pueraria lobata and Sorbus commixta Extract on the Alcohol-induced Hangover in Rats

  • Hong, Se Chul;Yoo, Ji Hyun;Oh, Myeong Hwan;Lee, Hwan;Park, Young Sik;Parthasarathi, Shanmugam;Park, Jong Dae;Pyo, Mi Ky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98-103
    • /
    • 2015
  • Pueraiae Radix (PR), Pueratia Folium (PF) and Sorbus commixta (SC) mixture, namely GS-SP (PR (1)/PF (2)/SC (0.5): v/v/v) was developed as hangover-relieving elixir and its effects on alcoholic metabolism have been investigated. The enzymatic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of GS-SP was shown higher than those of single treatment with PR, PL, SC,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YM-808). The survival rate of mouse liver cell line NCTC clone 1469 in the presence of acetaldehyde was 30.6, 22.2, and 8.7% at the GS-SP dosage level of 50, 100, and 200 μg/mL respectively. Different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mg/kg of GS-SP showed efficient activity for ADH and ALDH than YM-808 in rat fed with 25% ethanol. The levels of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kg of GS-SP showed efficient activity of 11.7% and 37% than those of YM-808. These results have been supported to the potential for GS-SP to serve as an excellent potential in providing hangover relief and liver protection.

콩나물의 Asparagine이 숙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sprout Asparagine on Hangover)

  • 정연신;;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7권
    • /
    • pp.53-58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as well as its effect on the regulation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body. Asparagine content and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were analyzed using the amino-acid analyzer and alcohol tester, respectively. Asparagine content in soybean sprout soup was highly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prout soups sampled from different restaurants, although the boiling time and amount of sprout used were different among the samples. Significantly higher asparagine content was observed in soups with higher amounts of sprouts (2.81% in 500 grams of sprout) and 10 minutes after boiling with other solid ingredients in the soup. Lower concentration of alcohol in blood was recorded in persons with higher body weight. The asparagine+soybean extract (eaten immediately after drink) lowered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significantly followed by only asparagine and control.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fter drinking become zero earlier (by 30 minutes), when asparagine+soybean extract or only asparagine was consumed as compared to control.

  • PDF

한약재 조성물이 흰쥐의 알코올성 숙취 및 사염화탄소 유발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 Oriental Herbal Composition, Jang Baek Union (JBU), on Alcohol-Induced Hangover and CCl4-Induced Liver Injury in Rats)

  • 양동식;홍성길;최선미;김복남;성현제;윤우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8-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숙취제거 및 간기능 개선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재로 구성된 조성물 JBU의 효능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숙취제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과 그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결과, 혈중 알코을 농도에서 JBU 추출물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 특히 숙취의 원인물질로 지목되는 아세트알데히드 감소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 간기능개선 효능의 확인을 위하여서는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동물모델에서 GPT와 GOT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간손상 정도를 확인하였고,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통하여 간의 병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사염화탄소는 확연하게 간손상을 유발시켰고, JBU 추출물은 GPT 및 GOT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조직학적으로도 간조직의 손상을 뚜렷하게 억제하였다.

당귀추출물 전처치가 Rat의 혈중 알코올 및 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on the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Rats)

  • 송재철;박정미;김상우;;정우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4-180
    • /
    • 2002
  • Objectives : Our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can lower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drunken rats. Methods : We divided Sprague-Dawley male rats into 3 groups of a Vehicle control, Positive control and Angelica gigas group.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were checked at baseline, 0.5, 1, 2 and 4 hours after drinking ethanol.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he serum concentrations between the Angelica gigas induc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 Angelica gigas lowered the serum acetaldehyde concentration. However, it did not lower alcohol concentration effect. Conclusions : We assume that Angelica gigas could be effective for alcohol induced hangover.

  • PDF

숙잠 함유 복합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우미선;차지현;김용환;강희택;김현덕;조경원;박성선;이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72-77
    • /
    • 2021
  • 숙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숙취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조절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인 시험식품(CKDHC)의 섭취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대조식품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특히, 30분부터 각 시간별(mg/L),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최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Cmax)의 감소를 통해 30분부터 빠른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원료로 사용된 숙잠은 Ji 등(2016a)에 따르면 18종의 아미노산 및 무기질을 모두 함유하며, 고단백 식용곤충으로 간에 좋은 주요 아미노산인 Alanine, Arginine 등을 많이 함유하여 간의 효소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수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숙잠을 함유하는 시험식품이 숙취해소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음주 전 섭취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분해하여 30분부터 숙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흰쥐에서 어성초 열수 추출물을 포함한 혼합물의 숙취해소 효과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 유양희;이현미;정창식;이민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508-1512
    • /
    • 2016
  • 어성초 열수 추출물, 연잎 열수 추출물, 녹차씨 70%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인 MIX가 흰쥐에서 에탄올 투여에 따른 혈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에탄올 대사 효소들에 작용하는 효과와 직접적인 에탄올 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신규 숙취해소 소재로서 MIX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급성 에탄올을 투여한 EtOH군과 MIX-200군은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은 NC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MIX-200군은 EtOH군에 비교해 혈중 에탄올 농도가 에탄올 투여 3시간부터 감소하였고,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에탄올 투여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다.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인 ADH와 ALDH의 활성은 MIX-200군에서 EtOH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MIX는 높은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IX는 에탄올 대사 효소들의 활성 증가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를 감소시키는 숙취해소 작용을 갖는 신규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식초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Vinegar Extract in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김수정;손황배;박아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5-445
    • /
    • 2023
  • 메밀은 루틴과 콜린을 많이 함유한 기능성 작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의 알코올대사와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혈중 알코올 분해능, 혈액과 간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효소 측정, 간 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농도를 분석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종실에서 일반메밀 종실보다 55배 높았다. 콜린 함량은 쓴메밀 식초 추출물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능은 대조군에 비해 쓴메밀군에서 36.0%의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유의한 알코올 분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일반메밀군은 120분, 쓴메밀군은 90분에 최고치 도달 후 감소하여 숙취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액과 간 조직의 ADH와 ALDH 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메밀처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취해소 효과가 모두 인정되었으며, 일반메밀군보다 쓴메밀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간 조직의 SOD와 Catalase 활성도 일반메밀보다 쓴메밀군에서 각각23%, 37% 고도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은 모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 '황금미소'는 일반메밀보다 숙취해소 소재로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한약재 혼합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on alcohol metabolism in Sprague Dawley rats)

  • 정미진;김소영;도은주;윤종국;김대익;한경수;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74
    • /
    • 2019
  • Objectives : Alcohol hangover is a common phenomenon which basically occurs after heavy drinking. Moreover, heavy alcohol consumption leads to acute and chronic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SJ) on alcohol metabolism in serum or/and liver. Methods : 5W-old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study. To overnight fasted rats, 0.9% saline or SJ extract was administrated per os before alcohol treatment. Then, 40% alcohol was orally administrated to all rats in 30 mins. Ethanol, acetaldehyde concentration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measured by assay kit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were measured by analyzer. Results :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lower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Especially, acetaldehyd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AST and ALT levels tended to increase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 group and SJ groups. ADH activity in serum was higher in SJ groups than CON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ALDH activity in both serum and liver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Conclusions : Treatment of SJ extract showed not only reducing concentr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but also increasing activities of ADH and ALDH. These results suggest SJ may influence in alcohol metabolism via control of me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metabolite. Therefore, SJ, herbal mixture, might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hangover after drinking alcoh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