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Understanding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ts Instructional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 최승현;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19-44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2013년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의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 요인에 대한 의미 및 교육적 함의를 간략히 살펴보고, 또 지금까지 수학교육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던 몇몇 주요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학 교과에 적용 가능한 흥미, 자아효능감, 가치인식의 세 가지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각각에 대한 수업 지도 방안을 탐색하여 마련하였다.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情意)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287-3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수학 학습과 관련하여 정의적인 면에서 갖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Hannula(2012)가 수학 학습자 개인의 정의적 요인 분석을 위해 개발한 설문지를 적용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조사 대상 학생의 성취 수준, 학년, 성별에 따라 기술통계 및 일원분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정의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일 설문지로 이미 핀란드와 칠레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Tuohilampi et al., 2013; Tuohilampi et al., 2014b)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조사한 초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학년 변인이 정의적 요인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정의적 요인의 인지와 동기 측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높은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연구 결과와 우리나라, 칠레, 핀란드 3개국의 초등학생들 사이에 나타나는 수학 학습의 정의적 특성 면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초등교사로 하여금 정의적인 면에서의 수학 수업 개선에 필요한 방법론적 고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학생들의 태도 특성 분석을 통한 학생 집단 구분에 대한 연구: TIMSS 2015 결과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Korean Students' Different Profiles of Affective Constructs and Engagements: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TIMSS 2015)

  • 황지현;고은성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07-225
    • /
    • 2018
  •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국제비교연구들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높은 수학 학업 성취도에 비해 정의적 요인과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런 일반적인 결과에 더해, 본 연구는 TIMSS 2015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에 대한 지각에 대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과 관련하여 질적으로 다른 다섯 그룹들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서 정의적 요인들에 비해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서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두 그룹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각 그룹의 서로 다른 특징은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측면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학업 성취도뿐만 아니라, 정의적 특성 및 교사특성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을 반영한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10th Grad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 이재영;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385-4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을 반영한 수학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이질통제집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를 통해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의 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5차시의 정규 수학 수업 시간에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을 반영한 수업 방식이 전통적인 문제해결에 중점을 둔 수업 방식보다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문제제기 활동을 반영한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성찰적 학습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습한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보다 확고히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문제제기 활동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수학적 사고력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적 특성과 관련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다.

수학교과 통합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mathemat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o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 정혜진;김원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2호
    • /
    • pp.167-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mathemat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o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3 hours of lesson materials of the mathemat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65 students of the 10th ~11th graders selected in two high schools. After 3 hours of lessons, the following research findings are obtained. Fisrt, it is revealed from the pre-post test of 65 subjects that the mathematics integrated career education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mathematical attitude and belief. Second, it is shown from the interview with 4 students that they became not only to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value of mathematics, but also got changed their self-concept for mathematics.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 비교 (A Comparison on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of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 배지현;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161-175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추론 능력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5학년의 영재 97명과 일반학생 144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정의적 특성 검사지와 추론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인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수학불안, 학습습관에서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지녔고, 수학적 추론 능력에서도 일반학생보다 능력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수학영재는 정의적 특성의 학업적 자아개념, 태도, 흥미, 학습습관은 추론 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수학불안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수학영재는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 중 수학불안이 수학적 추론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수학 영재들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학 불안을 줄이는 실질적인 여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학생들은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소 중 흥미가 수학적 추론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따라서 교실 수업에서 일반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교수 학습 구안 및 적용을 통해 수학적 추론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 강신포;김판수;유화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441-457
    • /
    • 2003
  • 영재 교육에서 우선되는 영재의 선발에서 교육에 이르기까지 영재의 지적 특성과 함께 비지적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다. 최근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가운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이 교과에 대한 태도와 자기 효능감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정의적 영역에서 보이는 수학영재 아동의 특성을 일반아동의 것과 비교해 본다. 그리고 일반 아동을 급지별로 분류하여 급지간 특성 및 영재 집단과의 차이도 알아보면서 성차에 대한 통계적 분석도 병행했다. 일원변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과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 감에서 남학생들은 급지간 및 집단 간의 차가 뚜렷하였으나 여학생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자기효능 감에서 영재집단과 경합급지 사이에는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 영재아의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메타정의적 관점에서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rom meta-affect viewpoint on problem-solving activitie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 도주원;백석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19-530
    • /
    • 2019
  • 선행연구에 의하면 수학 학습활동에서 인지적, 정의적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메타정의는 메타인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수학적 능력과 긴밀한 역학적 관련성을 유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수학 영재아의 소집단 문제해결 사례를 메타정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영재아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메타정의적 활동을 통해 문제해결 활동에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문제해결자의 정의적 역량은 정서나 태도 형태의 메타정의로 문제해결 활동에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수학에서의 정의적 성취 판단을 위한 기준 점수 설정 및 중2 학생들의 성취 특성 (Establishment of Affective Achievement Criteria and Investigation of 8th Grade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 김선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5-163
    • /
    • 2011
  •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본 연구는 준거 참조 평가의 준거인 기준 점수를 설정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표준화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에 대하여 변형된 Angoff 방법을 적용하였고 수학교사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합의된 점수가 설정되었다. 이 점수는 학습지향성, 자기통제, 불안, 흥미, 가치인식, 자신감의 6가지 요소에 대하여 각각 설정되었다. 학습지향성은 20점 만점에 기준 점수가 12점, 자기통제는 24점 중 14점, 불안은 16점 중 11점, 흥미는 20점 중 13점, 가치 인식은 24점 중 16점, 자신감은 16점 중 10점이었다.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을 성취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성별이나 수준별 수업 시행 여부 별로 정의적 성취 비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특성화고 학생의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Apply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유상은;손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09-3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소모형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 수업이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Jigsaw 모형을 적용한 수학수업의 특징으로 동료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에 학생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짐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호기심과 동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수학 개념과 공식의 가치인식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