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5초

음악과에서의 환경 교육 체계화와 강화 방안 (The Systematization and Intensifi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 장기범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205-224
    • /
    • 1999
  • This is a study of strengthening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music program. Since the world war II, the environmental situation has been getting worse and worse. So it is now a global issue to conserve energy and solving the ecological problems we are confronting.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not just a scientist's task nor a specific school education subject's either, but a responsibility of all human beings.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for every school subject, including music, should include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its education contents.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has tried to point out some reasonable asp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lines which would be pursued through school music programs. In the music subject the following eight environmental education strategies could be suggested: 1. An affective aspect of music should be used in educating students to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blems. 2. The effectiveness of employing music for various educational purposes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students environmentally enlightened individual. 3. The main issue of environmental problem must be us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such as singing, implementing, composing and appreciating music. 4. By employing an alternative materials for making musical instruments, students and musicians can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ctively. 5. Music is analogues to life and nature. Thus it is highly suggested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music more sincerely In a way of studying music more seriously, students could achieve environmental education goals by discovering the similarities of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 and music as a human environment. 6. By appreciating many musical works of deal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ecological problems, one could achieve the necessary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7. By enlarging the boundary of music including the sounds of nature such as birds' singing, sounds of winds and various streams and tree's trembling, music could achieve the major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8. By recognizing sounds as an important human environment, school music program could attain the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earcher also has mentioned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as a schooling subject. and has provided with some detailed curriculum guidelines for strengthen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music classes. Some model lesson plans implement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and 10th grade music classes are also suggested followed by six specific teaching & learning metho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관한 전향적인 연구 (A Prospective Stud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김지연;조숙행;곽동일;박용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52-62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in gynecological outpatients, and also attempted to compare premenstrual change characteristics, functional impairment due to premenstrual changes and frequency of risk factors reported by women with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PMC^+)$(n=17) and those without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PMC^-)$(n=23). Forty gynecological outpatients who complained of premenstrual discomfor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menstrual history, obstetric-gynecological history, and premenstrual change and functional impairment. The women were also asked to complete a daily rating form based on DSM-IV diagnostic criteria for one menstrual cycle. Absolute severity method, effect size method and percent change method were used to assess changes between follicular phase and luteal phas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ccording to each of the three methods was 5% for the absolute severity method, 15% for the effect size method, and 27.5% for the percent change method. 2) The frequently reported symptoms were as follow: physical symptoms(64.7%) : lethargy, easy fatigability, or marked lack of energy(41.2%) : decreased interest in usual activities(29.4%) ; and marked affective lability(23.5%).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set ages of premenstrual changes, regularities of premenstrual changes and changes of severity and duration of premenstrual symptoms over time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However, women with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reported both physical and emotional symptoms as earliest symptoms most frequently, while women without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reported only physical symptoms most frequently. 4) functional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than those without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but impairment was not severe. 5)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in risk factors including demographic data, menstrual and obstetric and gynecological hist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varies with scoring methods. The women with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reported physical symptoms most frequently(64.7%). functional impair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ith confirmed premenstrual changes, but impairment was not severe.

  • PDF

과학교육 개혁운동에 관련된 과학성취 개념의 비교 분석-미국과 한국의 연구 보고서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in Major Reform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 백성혜;이옥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1-58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개혁운동에 관련된 미국과 한국의 연구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과학교육 개혁운동에서 주장하는 과학 성취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과학 성취의 개념에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보고서에서는 과학, 기술, 사회, 환경에 관련된 지식과 능력에 있어서의 높은 성취를 요구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여러 단계로 성취를 정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차이정도 분석되었다. 연구 보고서에 따라 과학 성취의 내용과 과정 중에서 강조하는 영역이 달랐다. 특히 한국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수학의 세계, 과학의 본성, 역사적 시각, 통합 개념, 과학적 의사소통 등의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두가지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첫째, 교육자와 대중이 공통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과학 성취의 일반적인 개념이 정의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의 경우에는 보다 포괄적인 과학 성취의 개념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PDF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정서 분석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 김동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44-46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분석하여 실제 과학 수업 상황에서 다룰 수 있는 정의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해 추출한 14개 정서들에 대해 초등학교 6학년 642명에게 설문을 실시했고 각 정서의 핵심 유발 상황 및 강도와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정서 유발 핵심 상황이 각 정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면 긍정 정서는 대체로 실험의 상황에서 나타났으며 부정 정서는 평가, 자신, 타인, 교수학습 방법 등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고 정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 수업 전략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강도와 빈도 분석에서 긍정 정서의 강도와 빈도가 부정 정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정 정서 중에서 강도와 빈도가 높게 나타난 지루함, 귀찮음, 답답함과 같은 부정 정서에 대해서는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거나 긍정 정서 유발을 통해 이러한 부정정서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살펴봄으로써 정의적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점성토(粘性土)의 응력(應力) - 변형(變形)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tress-Strain Prediction of Silty Clay)

  • 조성섭;강예묵;정성규;윤현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65-78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당진지방(唐津地方)의 해성(海成)실트질 점성토(粘性土)를 채취하여 물리적(物理的) 실험(實驗) 및 삼축압축시험(三軸壓縮試驗)을 실시하고, 그 시험결과로 쌍곡선식(雙曲線式) 매개상수(媒介常數)를 구한 후,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응력일변형관계(應力一變形關係)를 검토하여 점성토(粘性土)의 응력일변형(應力一變形)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조밀도(乾燥密度) 및 함수비(含水比)의 증가(增加)에 따른 탄성계수(彈性係數)는 건조밀도(乾燥密度)에 비례하고, 함수비(含水比)는 반비례하였다. 2.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적압력(積壓力)과 건조밀도(乾燥密度)이었고, 점착력과 내부마찰각(內部摩擦角)은 이보다 적은 영향(影響)을 타나났다. 3. 통계적(統計的) 방법(方法)의 추정치를 쌍곡선식(雙曲線式)에 의한 추정치와 비교하였으나, 통계적(統計的) 추정치가 쌍곡선식(雙曲線式) 모형(模型)에 의한 추정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4. 많은 그림과 계산과정(計算過程)을 단순화하여 시간적 노력을 줄이는 실용적(實用的) 전산(電算)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나, 입력되는 기초정수(基礎定數)의 시험오차(試驗誤差)를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 PDF

공업고등학교 공작기계 과목의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 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Standard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Practice CNC Lathe of Work Machine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

  • 이현중;이상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2-113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고등학교 공작기계 과목의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를 위한 기준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CNC 선반 실습을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내 13개 공업고등학교(공립 11개교와 사립 2개교)의 CNC 선반 수행 평가 기준을 수집, 분석하여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 기준을 개발 하였다. 경기도내 13개 공업고등학교에서 조사하여 작성한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 기준을 CNC 선반 실습 현장 교사 26명(각 학교별 2명씩)에게 타당성을 검증 받았다. 그 검증값은 평균 3.77 ~ 4.77로 타당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CNC 선반 실습에 대한 기능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까지를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둘째, CNC 선반 실습 교과에 대한 평가 영역을 전 실습 과정에 대하여 세분화 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 평가 방법을 택하였다. 셋째, 개발된 CNC 선반 실습 표준 수행 평가 기준은 일선 현장에서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로부터 타당성을 검증 받았기 때문에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 박경빈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823-840
    • /
    • 2012
  • 본 연구는 영재교육분야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주요 연구 주제들을 도출해 보기 위하여 영재교육 관련 연구 논문들을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는 총 228개 논문에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에서 연구대상은 중학생, 초등학생, 교사가 많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인지 정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 설문지, 실험적 방법, 사례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등재지 게재 논문은 총 754편으로 연구 주제는 인지, 교육과정 프로그램, 정서 순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관련 박사학위논문은 총 132편으로 역시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고, 논문의 주제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판별, 정서, 인지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재교육관련 연구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선포된 이후로 논문 수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연구 주제에만 연구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 모두에서 프로그램 개발, 효과검증을 주제로 한 연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수 과학 분야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재교육연구"의 경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불어 연구 방법 역시 질문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질적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과학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and Solutions of Free Semester Science Assessment)

  • 김유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3호
    • /
    • pp.166-18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실행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 및 평가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 과학 교사들은 평가 주체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학생 자기평가 학생 동료평가시 정확한 평가 불가능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체적인 평가 항목 제시, 학생의 평가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 기회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가 내용 영역에서 객관적인 평가 기준 부족으로 인한 정의적 영역 평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가 실시 전 학생에게 평가 기준 제시, 교사 간 협의를 통한 기준 선정 등을 제시하였다. 평가 방법 영역의 수행 평가시 어려움으로 관련 자료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 미흡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평가 결과 영역 중 피드백을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많은 수의 학생에게 피드백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가장 많은 교사들이 선택하였고,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 또는 교사의 수업 시수 감소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평가 결과 서술식 기재의 어려움으로 가장 많은 교사들이 언급한 학생의 특성 파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행정 업무 경감 등의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교과 협의회에서는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과 소극적 태도로 인한 어려움이 언급되었는데 꾸준한 토론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이 해결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며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를 위한 연수 관련 어려움으로 학생 수 과다 및 시간 부족으로 연수 내용의 현장 적용의 어려움이 언급되었다.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뿐 아니라 제도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자유학기제 과학과 평가의 성공적 운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EAM 문제 상황에서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나타낸 문제의 발견과 해결 특성 (Features of Problem-Finding and Problem-Solving of the Secondary Gifted Students in the Context of STEAM Convergent Problems)

  • 이은선;심재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23-4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융합적 문제 상황에 대하여 중등영재반별로 나타내는 문제발견과 문제해결 능력의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STEAM 융합적 문제해결력 검사지를 사용하여 중등영재반별로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 과정에 작성한 활동지, 산출물 등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한 문제해결력 검사지가 지닌 전공 특수성이 문항에 대한 선호도와 문제를 발견하는 양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재반별로 특정 과제에 대해 영재반에 따른 문제의 발견과 문제의 해결 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모둠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융합적 문제 상황에서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에 전공 영역보다 개별 창의성과 모둠의 협력적 창의성이 더 크게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문제의 발견과 문제해결력 평가에서 영재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과 협력의 개념을 포함할 필요가 있고, 집단 창의성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협력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상호협조적-독립적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 (The Parent-adolescent Career Congruence Process as a Mediator between Independent vs Interdependen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and Career Identity)

  • 손영미;박정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325-35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서적으로 끈끈한 유대감(부자유친성정)과 권위적 효의식을 지지하는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지하는 독립적 부모자녀관계가 어떠한 부모자녀진로합치과정을 거칠 때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5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병렬다중매개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자유친성정은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권위적 효의식은 진로정체감에는 부정적인 직접 영향을 미치지만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매개하면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자녀관계는 보완합치와 조정합치과정을 완전매개하여 진로정체감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침입성은 진로정체감에 부정적인 직접 효과만을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유사합치과정은 상호협조적 부모자녀관계와 독립적 부모자녀관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지 않았으며, 진로정체감과는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 대한 문화보편적 특성과 문화특수적 특성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