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in Major Reform Docu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과학교육 개혁운동에 관련된 과학성취 개념의 비교 분석-미국과 한국의 연구 보고서 분석-

  • Published : 1998.12.30

Abstract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th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n reform documents, including those on science content standards(NSES, Porject 2061, and Korean 7th science curriculum), performance standards(New Standards, and Survey of Ec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large-scale assessment framworks(1996 NAEP, TIMSS, The National Assessment of Science Inqury Abilities, The National Assessment of Science Knowledge,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The analysis of these documents indicates that there is an overall agreement on th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The documents consistently emphasize high achievement in terms of knowledge and abilities in scientific, techn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In addition, these documents define science achievement at different developmental levels and at certain depths of knowledge and abilities for all students. Despite the overall agreement, there are also noticeable variations among the documents because of different contexts and purpos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balance of representations or emphases among content and process standards in the documents. Th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in the Korean documents are not as comprehensive or inclusive as those in the United States documents. There is no representation of the mathematical world, the nature of science, historical perspectives, unifying concepts, or scientific communication. From these results, two conclusions are drawn. First, more coherent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are needed for common understanding among educators and the public. Second, efforts are needed for developing more comprehensive and inclusive conceptions of science achievement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개혁운동에 관련된 미국과 한국의 연구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과학교육 개혁운동에서 주장하는 과학 성취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과학 성취의 개념에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보고서에서는 과학, 기술, 사회, 환경에 관련된 지식과 능력에 있어서의 높은 성취를 요구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여러 단계로 성취를 정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차이정도 분석되었다. 연구 보고서에 따라 과학 성취의 내용과 과정 중에서 강조하는 영역이 달랐다. 특히 한국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수학의 세계, 과학의 본성, 역사적 시각, 통합 개념, 과학적 의사소통 등의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두가지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첫째, 교육자와 대중이 공통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과학 성취의 일반적인 개념이 정의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의 경우에는 보다 포괄적인 과학 성취의 개념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