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Gifted Education in Korea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Received : 2012.11.19
  • Accepted : 2012.12.18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from 2006 to the present, which totalled 422 articles, were analyzed. Also, articles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published in other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orea Research Foundation totalling 228 were analyzed. In addition, 131 doctoral dissertations on gifted education areas were investigated.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subject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studies looked in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ubjects, and the most researched topics of the articles were program development and curriculum, identifica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gnition. The methodology of majority of the articles were quantitative method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a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재교육분야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주요 연구 주제들을 도출해 보기 위하여 영재교육 관련 연구 논문들을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는 총 228개 논문에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연구"에서 연구대상은 중학생, 초등학생, 교사가 많았으며 연구 주제로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인지 정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은 질문지 설문지, 실험적 방법, 사례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등재지 게재 논문은 총 754편으로 연구 주제는 인지, 교육과정 프로그램, 정서 순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관련 박사학위논문은 총 132편으로 역시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고, 논문의 주제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판별, 정서, 인지 순으로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재교육관련 연구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선포된 이후로 논문 수에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일부 연구 주제에만 연구가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연구", 등재지 게재 논문, 박사학위논문 모두에서 프로그램 개발, 효과검증을 주제로 한 연구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물론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수 과학 분야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 프로그램 개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재교육연구"의 경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좀 더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가 이뤄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불어 연구 방법 역시 질문 설문지를 통한 양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질적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 방법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 (검색일: 2012. 10. 19)
  2. 한국영재학회 홈페이지 (검색일: 2012. 10. 19)
  3.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http://www.kci.go.kr/ (검색일: 2012. 10. 19)
  4. Ha, J. D., Moon, J. H., Park, J. H. (2009). Trends of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1980s'-2007) in Korea. 英才敎育硏究, 19(3), 477-501.
  5. Dai, D. Y., Swanson, J. A., & Cheng, H. (2011). State of Research on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A Survey of Empirical Studies Published During 1998-2010 (April). The Gifted child quarterly, 55(2), 126-138. https://doi.org/10.1177/0016986210397831
  6. Husen, T. (1984). Research and policymaking in education: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Reasearcher, 13(2), 5-11.
  7. Kerlinger, F. N. (1977). The influence of research on educational practice. Educational Researcher, 6(8), 5-12.
  8. NAG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White Papers & Position Papers (2012, October 19). from http://nagc.org/index2.aspx?id=375
  9. Park, K. (2010). Frontier in Education: Fostering Potential in Highly Able Students. Paper presented at KERA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
  10. Renzulli, J. S. (1991).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The dream, the design, and the destination. The Gifted Child Quarterly, 35(2), 73-80. https://doi.org/10.1177/001698629103500205
  11. University of Connecticut Neag Center for Gifted Education and Talent Development (2012, October 19). from http://www.gifted.uconn.edu/nrcgt/newsletter/june91/june91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