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Image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1초

남성 잡지 광고의 섹슈얼 이미지 내용분석 -메트로섹슈얼, 레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을 중심으로- (Content Analysis of Sexual Images in Men's Magazine Advertisements -Metrosexual, Retrosexual, Homosexual-)

  • 이은선;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80-90
    • /
    • 2013
  • 빠르게 성장하는 니치 시장으로 게이 소비자들의 인기도는 계속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성별, 인종, 성적 이미지에 대한 광고 콘텐츠를 분석한 연구들과 비교할 때, 게이 소비자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잡지 광고들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세 가지 남성 표적들(메트로섹슈얼, 호모섹슈얼, 레트로섹슈얼)을 겨냥한 광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를 위하여 GQ, Out, Maxim이라는 대표적인 남성 잡지들을 선정하여 제품별(제품군, 가격, 명품)과 모델 효과(기본정보, 섹슈얼리티, 사회적 위치, 남성성)에 따라 광고 콘텐츠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Q와 Out은 Maxim보다 더 고가의 명품 브랜드들의 광고들을 게재하였으며 남성을 더 성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지성 및 집단감성을 활용한 유해 콘텐츠 판별 시스템 모델 (A Discrimination System Model of Harmful Content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Emotions)

  • 윤미선;김보라;김명주;문영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7-45
    • /
    • 2012
  • 아동 청소년도 이용 가능한 국내 인터넷신문에 불법 유해 광고가 난무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자율규제 실현 장치로서, 집단의 지성과 감성을 활용한 유해 콘텐츠 판별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유해 콘텐츠 판별 시스템 모델은 이미지의 내용(스토리)과 형식(크기), 텍스트(카피), 심상(감정과 연상)을 집단검사의 판별 요소로 사용하여 유해 콘텐츠에 대한 레벨을 구축한다. 구축된 레벨은 다시 일반화 과정을 거쳐 유해 콘텐츠 판별의 기준으로 확립된다. 본 유해 콘텐츠 판별 시스템은 유해성 판별이 모호한 인터넷신문 광고 배너를 집단지성과 집단감성을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ugmented Reality Logo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 정은영;정운국;임선진;문창배;김병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4호
    • /
    • pp.181-192
    • /
    • 2011
  • 스마트 폰의 등장과 모바일 인터넷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폰은 음성통신 수단이 아닌 웹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구 또는 각종 게임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놀이 수단으로도 발전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용량도 증가하였다. 사용량의 급증으로 인하여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증가 하였지만, 한정적인 출력 화면에 의하여 광고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로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이를 구현하여 실제 스마트 폰에 탑재한 후 다양한 성능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그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현 하드웨어 성능상 실시간으로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레퍼런스 클럭을 이용한 객차 PI 시스템 동기화 및 자막 편집기 개발 (Synchronization of the Train PIS using the reference clock and development of a subtitle authoring tool)

  • 김정훈;장동욱;한광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0
    • /
    • 2007
  • 본 논문은 열차 내에서 승객의 편의를 제공하고 긴급 상황에 대한 대피 안내 방송 및 자막 서비스와 광고 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승객 안내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존 시스템은 영상 및 자막 그리고 음성 안내 등의 정보를 방송하기 위해 VGA 신호 분배기를 이용하고 있다. UDP와 TCP/IP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고, 이 경우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 및 차량 간의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퍼런스 클럭을 이용한다. 열차의 운행 스케줄에 따른 자동 안내 방송과 광고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3D 효과로 자막을 재생 하도록 XML 기반의 자막 편집기를 개발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 한다.

  • PDF

Suggestion on Chinese Clothing Market Launching : Focused on Foreign Students's Clothing Buying Behavior in Korea

  • Koo, In-Sook;Liu, Dashua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6호
    • /
    • pp.1-22
    • /
    • 2011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developing Korean clothing products intended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 and for opening markets of Korean clothing and brands in China. It analyses the buying behaviors, purchasing ability, the favourite apparel type for clothing,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clothing and brand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with which it seeks a program for South Korea branding to enter into the Chinese clothing market. Three hundred fifty seven students of Hannam University and PaiChai University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in Daejeon-city took part in this study. This paper adopts Descriptive Analysis, Crossing Analysis, Bivariate Correlations, and One-way ANOVA in SPSS 17.0 with Post Hoc Multiple Comparisons to know about the impact of demographic variabl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on buying information sources, the criteria for store selection, buying capacity, praise degree on various properties of Korean clothes produc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clothes products. The first proposal of expanding China market for Korean merchants is to achieve maximum sales based on sales promotion strategies, such as the credit card corporations, the store display and sales person service development, SPA, design size development, and to upgrade consumption values. The second proposal is Korean clothes corporations should open the Internet shopping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stor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formation source of Chinese students is the network, from the age distribution of Internet users in 2008 in China, population above 10 and below 30 accounts for 66.7% of all users, In recommending clothes made in Korea to Chinese young people, on-line advertising will get better effects than other strategies, specially during advertisement, they should take good use of Korean television shows and variety shows or help Chinese poor areas to do the social contribution hereby to improve the public image of Korean clothes corporations, which can bring good sale promotion effects as well.

한국 남성의 근육 만들기에 대한 관심과 신체만족도에 관한 연구 (Korean Men's Interests in Muscle Building and Their Body Satisfaction)

  • 이윤정;김영미;권순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3-55
    • /
    • 2010
  • With the sex role changes in the post-modern society, men are becoming increasingly interested in appearance and their bodies. Male muscles in particular, which also is a visual manifestation of masculine strengths, has become the focal interest for those men who care about appearanc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Korean culture emphasizes muscles in defining masculine body, and to understand Korean men's perception of muscle building and their bodies. For this purpose, a content analysi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aimed at identifying the ideal masculine image represented in the ads featured in male fashion magazines.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U.S. magazine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male models' images shown in Korean magazin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ale images in American magazines in terms of the body size, muscularity, and the nudity of the models. A survey to 339 men aged between 20 to 50 living in Seoul area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otives of muscle building, the criteria men use to evaluate muscled bodies, and the influence of muscle building on body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and analyses of variances followed by Scheffe multiple comparison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appearance improvement is one of the motives of muscle building especially for younger men. Muscle building in general is foun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men's body satisfaction.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Socio-cultural Meanings in Advertise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s -Focused on Women`s Images-)

  • 양숙희;한수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8
    • /
    • 2005
  • Fashion luxury products, which used to mean high-quality, handcrafted not-so-trendy items, are nowadays regarded as expensive fashion merchandise produced under the name of imported well-known brands. People cunsuming fashion luxury products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people according to the luxury fashion brands they are using, and as a result,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re taken as a kind of international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consuming fashion luxury products, by analyzing images shown in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focusing on women's images. To do so, this study is based on general theoretical background on fashion, consumer culture advertising and analysis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shown in fashion magazines in recent three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images of the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could be categorized as (1) elegance, (2) kitsch and (3) fetish. Elegance is a taste of high society, aesthetically chic and feminine. Fashion luxury products, which are merchandise of extravagance, dignity, refinement, feminity and harmony, exhibit high-quality grace through their advertisements. Kitsch represents the vulgar and popular images of trivial commodities of industrial society. In the advertise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 it is shown as inappropriateness, excessiveness, stereotyped pleasantness, exaggeration an playful satisfaction. Finally, fetish images represent erotic or perverted sexuality, based on psychoanalytic fetishism which objects are regarded s substitute of sexual orgasm. The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 are characterized as (1) popularization of luxury, (2) objectification of sex and body, and (3) re-aestetification of anti-aesthetics. The as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re actually targeted to the middle class with successful career women's images. They objectify female bodies through fetishistic images. Also, the deviant subcultural style, represented a new kind of cultural capital, is now reproduced as a new commodity aesthetics.

온라인 동영상 시청 플랫폼의 정보구조 탐색 - 웹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tructure of Online Video Platform Focused on Web-Drama Case)

  • 차동민;성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웹드라마가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들을 대상으로 접근단계 분석과 광고 노출빈도 측정을 통해,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웹드라마 시장의 점유율을 확인하고 접근단계와 광고회피를 바탕으로 채널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신 콘텐츠에 대한 접근단계는 2~3단계이며 접근단계로 인하여 사용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메인페이지나 검색결과에 노출되지 않아 디렉토리 검색이 필요한 경우 5~6단계의 접근단계가 필요하였다. 광고는 모든 플랫폼에서 2개 이상의 이미지광고가 표시되며, 유튜브와 네이버tv는 동영상 플레이어 내부에서 영상시작 전 프리롤(Pre-roll)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확인했다. 위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정보구조 상에서 디렉토리 검색을 하는 경우 높은 접근단계와 많은 광고노출로 사용자의 이탈률이 증가하고, 재방문 빈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드롭다운(Drop-Down) 메뉴를 활용하여 접근단계를 줄이는 정보구조 개선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구매의 영향요인과 소비자 인식과의 관련성 연구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Consumer Awareness)

  • 김형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11-224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a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and consumer aware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influential factors in Smartphone purchase as advertising effect, brand effect and usability effect and corporate image effect, and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fluential factors and consumer awareness empirical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parts: First, the four factors suggested as the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bigger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the mor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ll increase. Second, among the factors suggested as influential factors in Smartphone purchase, the biggest factor in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Usability Effect' while the biggest factor in influencing customer loyalty was revealed to be 'Brand Effect.'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learn that it's necessary that 'Usability Effect' should be considered more preferentially than other factors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hile 'Brand Effect' should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orderto raise customer loyalty. Third, it can be judg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bigg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ustomer loyalty.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results could be applied as useful materials in time of establishing the marketing strategy. Nevertheless, this paper makes it clear that due to the constraints in the number of sample areas and samples, there is a limit in objectifying the research results into all areas.

색상 정보를 이용한 문자 기반 CAPTCHA의 무력화 (Breaking character-based CAPTCHA using color information)

  • 김성호;양대헌;이경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5-112
    • /
    • 2009
  • 오늘날 캡차(CAPTCHA)는 계정 생성, 광고, 스팸 메일 등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대리자에 의한 다양한 공격을 방어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 캡차의 문자들은 왜곡이 심하지 않아서 사용자들은 캡차 문자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미지 처리,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많은 캡차들이 쉽게 무력화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캡차에 노이즈를 추가하거나 캡차 문자를 왜곡함으로써 문자 기반의 캡차 공격을 어렵게 만들었지만 캡차에 노이즈를 추가하거나 캡차 문자를 왜곡하는 것은 사용자들이 캡차 문자를 읽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 캡차의 가독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몇몇 캡차들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문자를 사용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문자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은 캡차를 공격하기 원하는 공격자에게 이점을 제공했다. 이 논문에서는 색상을 기초로 문자열 캡차의 인식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