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o-cultural Meanings in Advertise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s -Focused on Women`s Images-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Yang, Sook-Hi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Hahn, Soo-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Fashion luxury products, which used to mean high-quality, handcrafted not-so-trendy items, are nowadays regarded as expensive fashion merchandise produced under the name of imported well-known brands. People cunsuming fashion luxury products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people according to the luxury fashion brands they are using, and as a result,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re taken as a kind of international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consuming fashion luxury products, by analyzing images shown in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focusing on women's images. To do so, this study is based on general theoretical background on fashion, consumer culture advertising and analysis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shown in fashion magazines in recent three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images of the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could be categorized as (1) elegance, (2) kitsch and (3) fetish. Elegance is a taste of high society, aesthetically chic and feminine. Fashion luxury products, which are merchandise of extravagance, dignity, refinement, feminity and harmony, exhibit high-quality grace through their advertisements. Kitsch represents the vulgar and popular images of trivial commodities of industrial society. In the advertisement of fashion luxury product, it is shown as inappropriateness, excessiveness, stereotyped pleasantness, exaggeration an playful satisfaction. Finally, fetish images represent erotic or perverted sexuality, based on psychoanalytic fetishism which objects are regarded s substitute of sexual orgasm. The ad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 are characterized as (1) popularization of luxury, (2) objectification of sex and body, and (3) re-aestetification of anti-aesthetics. The asvertisements of fashion luxury products are actually targeted to the middle class with successful career women's images. They objectify female bodies through fetishistic images. Also, the deviant subcultural style, represented a new kind of cultural capital, is now reproduced as a new commodity aesthetics.

Keywords

References

  1. 강준만. (2003). 대중문화의 겉과 속 II. 서울: 인물과 사상사
  2. 고현진. (2003). 복식에 표현된 엘레강스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덕자. (1989). 광고와 에로티시즘. 서울: 미진
  4. 김민수. (1997a). 광고 이미지에 나타난 키치적 속성과 문화석 상징성의 해석. 광고학 연구, 6(2), 52-80
  5. 김민수. (1997b).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서울: 솔
  6. 김용숙. (2003).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물질주의 성향과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복식, 53(8), 11-20
  7.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홍탁. (2000). 광고, 대중운화외 제 1원소. 서울: 나남
  9. 노성숙. (2000). 문화산업의 지구화와 성불평등. 여성학논집, 18. 3-24
  10. 로셰크, 잉그리트. 여성들은 다시 가슴을 높이기 시작했다: 20세기 패션문화사. 이재원 옮김 (2002) 서울: 한길아트
  11. 미술비평연구회 대중시각매체연구분과 (1992). 상품미학과 문화이론. 서울: 눈빛
  12. 맥로비, 안젤라. (1996). 모어!: 소녀 및 여성잡지에서의 새로운 섹슈얼리티. 제임스 커런 외 편. 대중문화와 문화 연구. (1999). 서울: 한울. 316-358
  13. 몰르. 아브라함. (1971). 키치란 무엇인가. 염광현 옮김 (1995). 서울: 시각과 언어
  14. 박수진, 박길순. (2003). 남성화장품 광고에 나타난 내용특성 및 소비 가치 분석. 분석 53(8), 53-63
  15. 신명품주의 'Masstige' 전방위로 확산. (2004, 1). 패션비즈, 116-120
  16. 원용진. (2000). 성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재현, 그 상징적 폭력의 폭로. 광고정보, 230, 74-79
  17. 원용진 (2002) 신자유주의 시대의 광고전략. 디자인문화비평.05. 서울 안그라픽스. 108-123
  18. 유난희. (2003). 명품 골라주는 여자. 서울: 중앙 M&B
  19. 이동연. (2002). 상품미학 비판과 감수성의 정치. 문화과학, 29, 73-88
  20. 이의정, 양숙희. (1998) 페티시즘. 서울: 경춘사
  21. 이영자. (1996). 소비사회와 여성문화. 한국여성학, 12(2), 43-77
  22. 이영자. (2000). 소비자본주의사회의 여정과 남성. 서울: 나남
  23. 정은숙, 김선우. (2002). 히피 패션이 보보스 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2), 45-57
  24. 조진애. (2002). 이것이 명품이다. 서울: 시지락
  25. 최선형. (2001). 패션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6. 하수진. (2003). 해외명품 소비자의 세분화 및 양면적 소비 행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황지영. (1999). 패션과 패션광고의 의미분석-바르뜨의 패션의복의 구조개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신문방송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Baudriard, Jean. (1998). 소비의 사회. 임은영 옮김.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9. Brooks, David. (2000). 디지털 시대의 보보스. 형선호 옮김 (2001). 서울: 동방미디어
  30. Hebdige, Dick. (1993). Subculture: The meaning of style. 이 동연 옮김 (1998). 서울: 현실문화연구
  31.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1989). 2nd Ed., Oxford Clarendon Press
  32. Twitchell, James B. (2002). Living it up: Our love affair with luxury. 최기철 옮김 (2003). 서울: 미래의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