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dolescents female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7초

High-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wing sarcoma family of tumors

  • Seo, Juhee;Kim, Dong Ho;Lim, Jung Sub;Koh, Jae-Soo;Yoo, Ji Young;Kong, Chang-Bae;Song, Won Seok;Cho, Wan Hyeong;Jeon, Dae-Geun;Lee, Soo-Yong;Lee, Jun Ah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9호
    • /
    • pp.401-406
    • /
    • 2013
  • Purpose: We performed a pilot study to determine the benefit of high-dose chemotherapy and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HDCT/autoPBSCT) for patients with Ewing sarcoma family of tum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data of patients who received HDCT/autoPBSCT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Patients with relapsed, metastatic, or centrally located tumors were eligible for the study. Results: A total of 9 patients (3 male, 6 female), with a median age at HDCT/autoPBSCT of 13.4 years (range, 7.1 to 28.2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underwent conventional chemotherapy and local control either by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and had achieved complete response (CR, n=7), partial response (n=1), or stable disease (n=1) prior to HDCT/autoPBSCT. There was no transplant-related mortality. However, the median duration of overall survival and event-free survival after HDCT/autoPBSCT were 13.3 months (range, 5.3 to 44.5 months) and 6.2 months (range, 2.1 to 44.5 months), respectively. At present, 4 patients are alive and 5 patients who experienced adverse events (2 metastasis, 2 local recur, and 1 progressive disease) survived for a median time of 2.8 months (range, 0.1 to 10.7 months). The 2-year survival after HDCT/autoPBSCT was $44.4%{\pm}16.6%$ and disease status at the time of HDCT/autoPBSCT tended to influence survival ($57.1%{\pm}18.7%$ of cases with CR vs. 0% of cases with non-CR, P=0.07). Conclusion: Disease status at HDCT/autoPBSCT tended to influence survival.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fine the role of HDCT/autoPBSCT and to identify subgroup of patients who might benefit from this investigational treatment.

여고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조수희;유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9-53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Kunsan, and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eneral nutrition knowledge is relatively low, with an average of 0.57. It was shown that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kipped breakfast rather than lunch or dinner, with a skipping rate of 28.9% for breakfast, 0.7% for lunch, and 8.6% for dinner. Regarding snacks, 35.5% of all the surveyed students had 1 snack per day, with 31.9% having them between lunch and dinner. The most popular snacks include biscuits (22.3%), noodles (18.3%) and bakery (13.3%). The most popular response was that students 'sometimes checked' the food label of processed domestic and imported processed foo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ood labels is moderate, with an average of 2.96, out of 5. The most satisfactory title about food labels was 'helpful for food selection' with 3.19.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atisfactory title was 'understands the label' with 2.78.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nutrition labeling, the highest response was 'sometimes watched, sometimes not' with 40.5%. Products which were most often checked were milk/milk products (3.44), snacks/bread (3.33), and soft drinks (3.07). Among nutrition labeling items, total calories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at, carbohydrate, cholesterol and calcium. The question regarding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rated an average of 0.58 (out of 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dietary attitude score, along with the nutrition labeling knowledge and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knowledge on nutrition label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ence, it is of the opinion that education on properly reading nutrient information is necessary to enable adolescents to apply that in real life. Furthermore, labeling nutritional information on processed fred through a more comprehensive method is deemed necessary as a supporting measure.

도시지역주민의 영양제 복용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Nutrition Intake Realities to an Affect Influence Factors for Dweller in City Area)

  • 최종생;변정환;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4-51
    • /
    • 1991
  • In the research and analysis for survey practice on stability on the nutrition intake relities to an affect influence factor for variable reason to discovers dweller in cities area which is in order to prevent an unfortunately influence that thus obviously restricted by nutrition intake would be restoration. And then attempted to avhivement of stability fulfil to correct nutrition intake needed under the establish for effectiveness measured to provide the primary required resources be considerations must accomplish certain survey of goals. Therefore subject of criticism for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anuary 4 1990 to January 24 1990 through 20 days adapted place were Seoul, Taegu and Pohang cities dweller 1206 person be conducted under the expert survey personnel by directl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al form has atapted for its survey conclusion of result be summarixed as bellow. 1) The subject of criticism for survey was ferformed to personnel adapted age group 40 to 49 were 24.9%, Age group 50 to 59 were 18.4% shows most adult group has significant higher value rate appearenced. In consideration the education level were evaluated the college grauated ; 48.8% and High School graduated: 30.1% shows that more educated level has significant higher rate value were appearenced. 2) On the subject of criticism to evaluation for adapted personnel by native place such as larger citypeople ; 29.6%, Farming and fishing village people were 28.4%, although the classfication of job analysis for estimation appearence rate were ; students 27.4%, Sales and service field personnel rate ; 15.1% and expert technique field personnel were ; 90% comprehensively appearenced. Although consideration for ecnomics situation review to the middle level shows of rate ; 61.7% and lower level was appearenced rate ; 23.9% of each others. 3) The people of resident in cities were appearenced nutrition intake has more than 2 weeks continuousely practiced by experiance rate shows ; 72% thus intake has experianced rate were 74.6% and female was 68.5% affact is comprehensively male has more many higher rate valued. In the classfication by age group 60 year old has 100% they have experiaced of nutrition intake and age group 50 to be appearenced its rate ; 76.4 % and age group 40 were 75.5% Thus result of survey for comparative rate shows in generally say more aged group has intake significant higher than younger age of group. Nevertheless, age group 10 years old be experienced of nutrition of intake rate ; 63.2% and age group 20 shows 73.9% was comparative more significant higher than age group 30 years old level adolescents.

  • PDF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on Mental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31-149
    • /
    • 201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on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whether social support acts as a moderator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rough this process, I intended to provide a reference base to suggest substantial interventions for family welfare by helping students to overcome negativ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s and adapt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composed 747 college students in 8 colleges in Seoul. The mai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substantial experience of violence at home and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These students scored 3.83 points in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mplying that these students had a higher awareness of social support. Moreover, their mental health score was 3.50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ndicating a somewhat positive tendency toward mental health. Seco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child viole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gender, age, financial status, academic-performance, child abuse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in the first step, and then buffering effects were examined by entering an interaction term to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having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ird,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the first step. By contrast, the interaction term of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ce, indicating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second step. To sum up, social support served as a moderator for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with child abuse experience, bu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experience.

음주효과에 대한 기대와 한국 고등학생들의 음주행위간 관계 (Alcohol Expectancies in Relation to their Drinking Practice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윤혜미;김용석;장승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153-179
    • /
    • 1999
  • 청소년기의 음주는 정상적인 발달과업과 안전 및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기타 약물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비행과 범죄로 연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건전한 인격체로의 발달을 위해서는 이들의 음주실태를 파악하고 음주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첫째, 전국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학생 1,6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음주행위와 음주문제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둘째, 청소년의 음주와 이들이 음주효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은 성별과 학교계열을 배경변인으로 하여 교차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RAPI로 측정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알코올로 인한 문제는 그리 심각하지는 않았으나 남학생의 87.6%, 여학생의 83,3%가 음주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술을 자주 마시지는 많지만 마실 경우 폭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음주빈도, 취한 빈도, 음주량, 음주로 인한 문제 등에서 남학생 비율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실업고 학생비율이 인문고 학생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의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 및 음주문제와 같은 모든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음주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술을 자주 그리고 많이 마시며 음주로 인한 문제도 더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더 많이 기대하고 있었고 실업고 학생의 음주의 사교적 기능과 공격성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치가 인문고 학생보다 더 높았다. 조사결과는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개입방법으로 음주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수정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암시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음주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주효과에 대한 기대에 관한 더욱 정교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초기 청소년기의 ADHD 성향과 정서적 음악사용 및 삶의 기대 간의 관계: 대인관계 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DHD Trait, Emotional Music Use, and Expectation for Future Life in Early Adolescence: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Initiation)

  • 박알렉산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9-6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의 ADHD 성향, 정서적 음악사용, 대인관계 형성 및 미래의 삶에 대한 기대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삶의 기대를 설명할 수 있는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중학생 347명이었으며, 그들의 평균연령은 13.35(SD=.91)세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으로 ADHD 성향을 측정하였고, 음악사용 척도와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하위척도로 정서적 음악사용과 대인관계 형성을 측정하였으며, 삶의 만족 척도를 변형한 문항들로 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ADHD 성향은 대인관계 형성이나 삶의 기대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적 음악사용은 대인관계 형성과 삶의 기대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대인관계 형성도 삶의 기대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매개경로모형 검증 결과, 대인관계 형성이 ADHD 성향과 정서적 음악사용을 매개하여 삶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이 아닌 거기에 ADHD 성향과 삶의 기대 간의 직접경로가 추가된 경쟁모형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후속연구나 초기 청소기에서 삶의 기대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 향상을 위한 가정과 여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Travel Education Program in Home Economics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신지혜;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1-110
    • /
    • 2023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한 후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이 향상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가정과 '너와 나의 행복 여행' 교육 프로그램을 ADDIE 설계 모형에 따라 개발하고 실행한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은 '너와 나의 행복 여행'이라는 제목으로 시간관리, 식생활, 주생활 내용 요소를 통합하여 설계하고 총 6차시의 교수·학습과정안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너와 나의 행복 여행' 은 청주시 소재 B중학교 1학년 남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6차시 실행하였고, 실행 결과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삶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가정과의 여행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4.03으로 매우 높았으며, 수업 내용 만족도, 수업 흥미도, 수업의 중요성 인식에서 70% 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과에서 여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효과를 검정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가정교육 분야에서 여행 및 여가 교육의 확장 및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12주간의 3D패브릭 보조기 착용에 따른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의 Cobb's Angle, Angle of Trunk Rotation (ATR), 신장 변화의 단일사례 연구 (A Single Case Study of Cobb's Angle, Angle of Trunk Rotation (ATR), and Height Changes in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Patients following 12 Weeks of Wearing a 3D Fabric Brace)

  • Sang-Gil Lee;Eun-Taek Oh;Ji-Eun Ka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3-83
    • /
    • 2023
  • Objective: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patients make up 40% of all scoliosis patients, and it is likely to increase even more because of the increase in sitting times due to the pandemic.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16-year-old female student. The Cobb's Angle at initial value was 42° at the thoracic and 33° at the lumbar. The subject's height was 161.6 cm, and the type of scoliosis was 3CL. The brace was built with fabric materials with the size information from the X-ray information and actual measurements. The brace was made for the adolescents to wear for a longer time by making them put pressure on the same pressure points of the existing braces. The subjects were required to wear the device for 16 hours every day for three months. Additional features to check the pressure and time were synchronized through an app for easier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with the responsible investigator. Results: After wearing the 3D Fabric brace, Cobb's angle changed from 42° to 33° at the thoracic and 33° to 23° at the lumbar. The ATR changed from 9° to 8° at the thoracic and 11° to 6° at the lumbar.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ATR angle do relate to the decrease of Cobb's angle, which made the angle of scoliosis that is bent in a three-dimensional way improve, making the height of the subject increase from 161.6 cm to 163.5 cm.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developing a brace that is made in the form of the 3CL to align the strap direction and putting pressure on the proper pressure points makes Cobb's angle and the ATR smaller. This means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in height. A brace made of light fabric material is a good brace to help treat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is more comfortable to wear than existing braces, but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a quantitative study about the before and after of wearing the brace and a survey for Korean specific cases.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DEVELOPMENT TO CONDUCT DISORDER IN ADOLESCENTS)

  • 진태원;김사준;이흥표;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163-17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군, 행동장애군,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정상군을 대상으로 하여 가정환경과 도덕발달단계가 행동장애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SM-III-R 기준에 따라 선별된 행동장애군 47명과 소년원군 173명 및 남녀 중고등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가정환경설문과 주제정의검사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정환경은 한국판 가정환경척도(신윤오와 조수철 1994)를 사용하였고 도덕발달단계는 Rest의 주제정의검사(문용린 1986)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환경과 도덕발달의 행동장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cheffe test에 의한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1) 소년원군의 교육수준은 중학교 2, 3학년이 많았던 데 비하여 행동장애군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이 가장 많았다. 세 집단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이 중류층이라고 지각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신체적 학대에 대한 지각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년원군에서 부모의 이혼이나 별거가 가장 많았으며 행동장애군에서도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특히 소년원군의 경우에는 영유아기와 초등학교의 어린 시기에 부모의 이혼과 별거를 경험하였다. 2) 가정환경요인의 비교결과 표현성, 독립성, 지적-문화적 추구, 도덕적-종교적 강조, 조직화 및 조절성 등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족내 응집력은 정상군이 소년원군보다 높았으며 가족갈등은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정상군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또한 성취 지향성이 소년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던 반면 능동적 여가활용성에서는 정상군이 월등하게 낮았다. 3) 도덕적 발달단계를 비교한 결과, 소년원군과 행동장애군이 하위 도덕발달단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소년원군의 반체제 지향성이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윤리와 도덕적 가치를 강조하는 가정환경과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이 체벌이나 사회경제적 변인보다 부모의 이혼과 별거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붕괴와 관련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혼과 별거의 조기발생이 높을수록 비행에 일찍 노출될 가능성이 많았다. 또한 가족구성원간의 정서적 응집력과 가족구성원들의 충동 및 감정통제능력이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행동장애군과 소년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학업부담과 성취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유희와 즉각적 욕구만족을 우선하는 경우가 많았고, 대개 도덕발달 수준이 낮았으며 사회적 규범에 대한 반항성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 PDF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연구 - 질병관리본부 제10차(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based on the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 The Ten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

  • 김향숙;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1-52
    • /
    • 2017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고, 학교에서 알레르기 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증상 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 청소년 712명의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 알레르기 질환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건강행태와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은 음주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7명(37.5%),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164명(23.0%), 약물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명(4.9%), 우울감이 있는 학생은 198명(27.8%)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학생이 259명(36.3), 피로 회복이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학생이 286명(40.2%)으로 나타나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497명(69.8%),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449명(63.1%) 이었으며, 살찐 편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은 251명(35.3%) 이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 중 천식은 중학생이 46명(6.5%), 고등학생이 35명(4.9%), 알레르기 비염은 중학생이 95명(13.3%), 고등학생은 87명(12.2%), 아토피 피부염은 중학생이 67명(9.4%), 고등학생이 53명(7.4%) 이었다. 천식이 있는 남학생은 47명(6.6%), 여학생은 34명(4.8%),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남학생은 81명(11.4%), 여학생은 101명(14.1%),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남학생은 53명(7.4%), 여학생은 67명(9.4%) 이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은 천식이 있는 학생이 81명(11.4%), 알레르기 비염이 있는 학생이 182명(25.5%),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학생이 120명(16.8%)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피부염, 천식 순의 발병률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은 우울감(p<0.001), 음주 경험(p<0.05), 약물 경험(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 체형 인지(p<0.05)에서 천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피로 회복 인지(p<0.001), 건강 인지(p<0.001), 스트레스 인지(p<0.05)에서 알레르기 비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형 인지(p<0.01), 우울감(p<0.05), 피로 회복 인지(p<0.05), 건강 인지(p<0.05), 행복 인지(p<0.05)에서 아토피 피부염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알레르기 질환에 관련이 높은 변인인 건강 인지, 행복 인지, 체형 인지를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우울감, 스트레스 인지, 피로 회복 인지를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도와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