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on Mental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Park, Ju-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5.31
  • Accepted : 2016.08.10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on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whether social support acts as a moderator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rough this process, I intended to provide a reference base to suggest substantial interventions for family welfare by helping students to overcome negativ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s and adapt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composed 747 college students in 8 colleges in Seoul. The mai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substantial experience of violence at home and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These students scored 3.83 points in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mplying that these students had a higher awareness of social support. Moreover, their mental health score was 3.50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ndicating a somewhat positive tendency toward mental health. Seco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child viole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gender, age, financial status, academic-performance, child abuse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in the first step, and then buffering effects were examined by entering an interaction term to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having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ird,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the first step. By contrast, the interaction term of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ce, indicating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second step. To sum up, social support served as a moderator for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with child abuse experience, bu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experience.

Keywords

References

  1. 금명자. 남향자(2010).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인간이해, 31(1), 105-127.
  2. 김근정(2004). 빈곤지역 가정폭력 경험 아동의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난영(2008).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사회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주(2003). 아내폭력에 노출된 청소년 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경(2011a). 대학생의 가족학대경험, 가족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 사회지 지와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41-54.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041
  6. 김민경(2011b). 대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부정적 정서와 사회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2),101-130.
  7. 김세원(2003).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상옥(2010).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숙자(2003). 부모의 이혼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 및 심리사회성숙도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순규(2007).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복지학, 59(2), 251-275.
  11. 김연옥. 박인아(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103-127.
  12. 김재엽. 이서원(1999). 청소년의 부모폭력 실태와 원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3), 1-14.
  13. 김재엽(2001). 부부폭력과 아동학대., 연세사회복지 연구. 6/7권, 1-32.
  14. 김재엽. 조학래. 양혜원(2003).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문제와 개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5, 27-54.
  15. 김재엽. 양혜원. 김희수(2005). 아내폭력 노출이 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0, 67-101.
  16. 김재화(2007). TV 코미디 선호도와 수용자의 생활 만족도 및 정신건강 관계의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지현(2012).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한나. 김혜련. 최윤신(2011).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부모의 알코올 중 독이 대학생 자녀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8(5), 117-129.
  19. 김형모. 이숙진. 서해정. 최은정. 김은정. 문순희(2007).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18(1), 53-77.
  20. 김태순. 강차연(2008). 고등학생 우울과 공격성.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8(1), 85-100.
  21. 남영옥(2008).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중재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2), 199-218.
  22. 박명실(2005). 대학생 자살위험 집단유형의 분류, 평가 및 집단 상담치료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법제처 www.moleg.go.kr/
  25. 신선인(2008).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 23, 153-182.
  26. 여성가족부(2010). 2010 가정폭력실태조사 보고서.
  27. 여성가족부(2013). 2013 가정폭력실태조사 보고서.
  28. 이경은. 정덕희(2000). 폭력가정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7(1), 95-123.
  29. 이상민. 남숙경. 이미경(2009). 정신건강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대학상담활동 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363-384.
  30. 이상준(2006).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영미. 민하영. 이윤주(2005). 부모간 갈등과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후기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53-62.
  32. 이영자. 김태현(1999).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韓國老年學, 19(3), 79-93.
  33. 이옥형(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34. 이은희(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48.
  35. 이정숙. 구형선. 조인주(2013). 대학생의 성장기 아동학대 경험이 우울에 미 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아정체감의 매개효 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1(1), 143-168.
  36. 이지혜(2014).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 자아분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혜순(2010).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가족기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6(4), 297-303.
  38. 이호택(2012).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연구, 83(2), 101-147.
  39. 유은영. 윤치근. 양유정(2012).일부 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3(1), 274-283.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74
  40. 장덕희(2001). 가정폭력경험 자녀의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방안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장덕희(2010). 보호요인이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1), 21-43.
  42. 장성화. 진석언(2009). 기독교 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사회 적지지 및 정신건강 비교.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7, 179-200.
  43. 장수미. 김주현(2012). 가정폭력피해경험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관계 : 긍정적 태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35(1), 173-202.
  44. 장온정(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5. 정승교. 김춘길(2010). 대학생의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2(1), 41-50.
  46. 정인숙(2003). 가정폭력경험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 및 보호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정진아(2005).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심리적성장 환경에 따른 학습 태도의 차이.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최송미(1999). 한. 중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Aneshendel, C. S. & Stone, J. D.(1982).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buffering model of social suppor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12), 1392-1396. https://doi.org/10.1001/archpsyc.1982.04290120028005
  50. Bancroft, L. & Siverman, J. G.(2002). The batterer as parent: Addressing the impact of domestic violence on family dynamics. New York: Sage.
  51. Boles, S. M. & Miotto, K.(2003). Substance abuse and viol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ggressive and Violence Behavior, 8(2), 155-174. https://doi.org/10.1016/S1359-1789(01)00057-X
  52. Bridge, J. A., Goldstein, T. R. & Brent, D. A.(2006).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3/4), 372-394.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6.01615.x
  53. Drum, D. J. & Denmark, A. B.(2012). Campus suicide prevention: Bridging paradigms and forging partnerships.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20(4), 209-221. https://doi.org/10.3109/10673229.2012.712841
  54. Brunstein-Klomek, A., Sourander, A. & Gould, M.(2010). The association of suicide and bullying in childhood to young adulthood: A review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 finding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5), 282-288. https://doi.org/10.1177/070674371005500503
  55. Cohen, S. & Wills, T. A.(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 Bulletin, 98(2), 310-357.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56.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57. Cohen, S. & McKay, G.(1984).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S. E., Tayler, & J. E., Singer (Eds.), pp. 253-267.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 NY: Hillsdale.
  58. Godblatt, H.(2003). Stratiges of coping among adolescents experiencing interparental violen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4(8), 839-870. https://doi.org/10.1177/088626099014008004
  59. Holt, S., Buckley, H. & Whelan, S.(2008). The impact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literature. Child Abuse & Neglect, 32(8), 797-810. https://doi.org/10.1016/j.chiabu.2008.02.004
  60. Hunt, J. & Eisenberg, D.(2010). Mental health problems and help-see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6(1), 3-10.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9.08.008
  61. Ibrahim, A. K., Kelly, S. J., Adams, C. E., & Glaenbrook, C.(2012).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depression preva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7(3), 391-400.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2.11.015
  62. Kitzmann, K. M., Gaylord, N. K., Holt, A. R. & Kenny, E. D.(2003). Child witness to domestic violence: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1(2), 339-352. https://doi.org/10.1037/0022-006X.71.2.339
  63. Lyubomirsky, S., Kasri, F. & Zehm, K. (2003). Dysphoric rumination impairs concentration on academic task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3), 309-330. https://doi.org/10.1023/A:1023918517378
  64. Ringeisen, H., Casaneuva, C. E., Urato, M. & Stambaugh, L.F.(2009). Mental health service use du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for adolescents reported to the child welfare system. Psychiatric Services, 60(8), 1084-1091. https://doi.org/10.1176/ps.2009.60.8.1084
  65. Stets, J. E.(1991). Cohabiting and marital aggression: The role of social isol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669-680. https://doi.org/10.2307/352742
  66. Straus, M. A. & Gelles, R. J.(1990).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 to violence in 8,145 families.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67. Thoits, P. A.(1985).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 cal well-being: Theoretical possibilities. Social Support :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24, 51-72.
  68. Wolfe, D. A., Crooks C. V., Lee, V., McIntyre-Smith, A. & Jaffe P. G.(2003). The effects of childr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 meta-analysis and critiqu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6(3), 171-187. https://doi.org/10.1023/A:1024910416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