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college life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3초

논 재배 콩의 재배조건에 따른 생장 분석 (Growth Analysis of Soybean depending on Cultivating Method in Paddy Field)

  • 김용욱;조준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31
    • /
    • 2005
  • 콩의 논 재배시 생육반응은 밭에서와는 다른 결과가 예상되므로, 논재배 콩의 휴립조건에 따른 생장분석을 분석 하고자 화엄 풋콩 등 5품종을 고휴와 평휴로 재배하여 생육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립조건에 따른 콩의 지상부 생육은 경장의 경우 전 생육기에서 평휴재배시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분지수와 경직경은 생육 후기로 갈수록 고휴조건에서 큰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상부 생육은 재배조건에 따른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논에서 휴립 조건에 따른 생육단계별 콩의 지상부생육은, 생육초기인 V5 stage에서는 평휴재배시 건물 생산능력이 고휴재배시 보다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될수록 고휴로 재배할 때 건물중 생산이 높았으며, 전 생육기간 동안 품종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재배조건에 따른 콩의 논에서의 지하부의 생육은, V5, R2 및 R5 stage 등 전 생육기간동안 고휴 재배시 지하부의 생육이 평휴재배조건 보다 왕성하였으며,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컸다. T/R율은 평휴로 재배할 경우 높았고, 재배방법에 따른 고휴재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품종간 차이는 인정되었다.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한 소포체 신호전달 (Endoplasmic Reticulum Signaling for Recombinant-protein Production)

  • 구태원;윤은영;강석우;권기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47-858
    • /
    • 2007
  • ER-Golgi 분비 경로를 통해서 정확한 구조를 가지면서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과정을 거친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을 최대화하는 것은 ER stress반응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상태라도 ER stress signaling은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량을 제한하고 품질을 떨어뜨리는 여러 가지 조건을 만들게 된다. ER stress signaling을 막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표 2는 이러한 방법들 중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pro-survival 경로에 관련되어 있는 인자를 촉진하고 pro-apoptosis에 관련되어 있는 인자를 억제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ER stress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적응과 사멸 기작(adaptation and elimination mechanism)의 중간 역할을 하기 때문에 ER stress에 관련된 주요 인자를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선 이들의 기능에 대해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재조합단백질의 생산량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방법은 ER stress 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fed-batch process를 개선하고 세포 사멸 기작을 조절하며 단백질의 glycosylation 처리를 하는 것이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 T.)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항암활성 (Cytotoxicity of steroid-saponins from the tuber of Liriope platyphylla W. T.)

  • 조성지;방면호;이인자;박창기;김무성;김금숙;성재덕;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90-394
    • /
    • 1998
  • 맥문동 괴근을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암세포 A549, SK-OV-3, SK-Mel-2, XF-498 및 HCT-15에 대한 각 분획물의 생장억제활성을 SRB 법으로 측정한 결과 n-BuOH 분획에서 암세포 생장억제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n-BuOH 분획으로부터 Amberlite XAD-II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사포닌을 분리하였고, NMR, IR 데이터의 해석과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spicatoside A와 B로 동정하였다. Spicatoside A가 암세포에 대한 생장억제활성을 보여 A549, SK-OV-3, SK-Mel-2, XF-498 및 HCT-15에 대한 $IC_{50}$ 값이 각각 17.3, 21.7, 14.9, 18.8 및 $15.6\;{\mu}g/ml$를 나타내었다.

  • PDF

양마의 제주지역 지역 적응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tion,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Value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on Jeju Province)

  • 황경준;김문철;강시용;유장걸;송상택;박남건;김종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7-296
    • /
    • 2002
  •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양마의 적응성과 생산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해서 양마 Evergrlades 41, China Chong-pi 3 및 수수$\times$수단 교잡종 Pioneer 947를 이용하여 2000년 5월부터 11월까지 제주의 4개 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성산 수산 및 한림 금악)에서 수행되었다. 건물수량은 수수$\times$수단 교잡종 (pioneer 947), 양마 (Everglades 41) 및 (China Chong-pi 3)을 비교시 각각 7,313, 4,653 및 5,238 kg/ha로서 Chong-pi 3이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P<0.05) 지역별(제주, 서귀, 성산 및 한림)로 각 각 5,040, 5,663, 7,283 및 4,950 kg/ha서 성산지역이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P<0.05). 양마 두 품종 모두에서 1회 수확이 2회 수확 보다 높은 건물수량을 보였다. NDF 및 ADF 함량은 두 양마 품종간 또는 수수X수단 교잡종과 양마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수수$\times$수단 교잡종 Pioneer 947, 양마 Everglades 41 및 China Chong-pi 3에서 각각 12.60, 16.1 및 16.20%를 보여 수수$\times$수단 교잡종 보다 양마에서 높은 조단백질 함량을 보였으며(p<0.05) 지역 간에 차이가 분명치 않았다. 그러나 1회 예취(13.72%) 보다 2회 예취 시(17.75%) 양마의 조단백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한편 NDF(50.61, 42.57%)와 ADF(50.66, 41.61) 함량은 1회 보다 2회에서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 (P<0.05). 수확이 끝난 후 수수$\times$수단 교잡종(Pioneer 947)과 양마 2 품종(Everglades 41, China-chong-pi 3)을 재배했던 4개 지역 토양에 대한 중금속 함량을 조사한 결과 처리간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다. 결론적으로 양마는 수수$\times$수단 교잡종 보다 건물수량이 높지 못하였으나 조단백질 함량이 수수$\times$수단 교잡종 보다 높았고 그 중 1회 보다 2회 예취를 하므로 더 높은 조단백질 함량 을 보였다.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s of Health-Related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 조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23-3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자 함이다. 보건계열 학생 중 학사경고의 경험이 있는 5명의 대상자를 눈덩이 방법을 통하여 표집 하였고, 현상학적 방법 중 하나인 Colaizzi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6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의미에서 39개의 주제, 15개의 주제모음, 그리고 6개의 범주가 추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등 떠밀린 내 인생', '내게 맞지 않는 옷', '작아지는 나', '나를 믿어보기', '나를 버티게 하는 힘', 그리고 '불굴의 의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학사경고를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학교생활과 학과공부의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지체계 구축이 절실하며 졸업과 취업에 대한 긍정적인 강화를 지속하여 학사경고를 경험한 보건계열 대학생들이 중도에 탈락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고지방과 고당질 식이 섭취 마우스에 있어서 산채나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anchae-namul in Mice Fed High-Fat and High-Sucrose Diet)

  • 최하늘;강수정;최은옥;정라나;김정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9-377
    • /
    • 2014
  • Obesity increases oxidative stress, which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sanchae-namul (SN)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Five-week-old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basal or high-fat and high-sucrose (HFHS) diet with or without 3% freeze-dried SN powder composed of chamnamul, daraesoon, miyeokchwi, bangpung namul, and samnamul for 12 weeks after a 1-week adaptation. After sacrifice, serum glucose and insulin were measured and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was determined as well. Hepatic lipid peroxidation, glutathione (GSH), and activiti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were determined. SN given at 3% of the total diet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body weight and food intake in mice fed the HFHS diet.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as well as HOMA-IR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N group than those in the HFHS group.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in the liver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N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HS group. S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SH levels an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the liver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HS group.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N may be useful in alleviating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in mice fed HFHS diet; further,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could partly occur by reducing the oxidative stress.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활실태 및 학생지원 방안 (Assessing Life Surveys of Medical Students and Need-Based Student Services)

  • 김선경;배재훈;이재호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3호
    • /
    • pp.205-21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state, lifestyle, self-management ability, and academic adaptation of medical students, and to present examples of improvement of a student support center based on the results. A medical school in Daegu has been surveying the living conditions of students every year for 6 years since 2016. More than 60% of medical students experienced depression and more than 70% experienced stress, but these rate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over the past 5 years. There were many cases of drinking or smoking to relieve stress, but the frequency of drinking recently decreased substantially. Som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11.5%) and time management (16.6%), and challenges in planning and self-managemen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The satisfaction and adaptability of medical students are high, but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not satisfied with but negative response rate is 2%-3% in every year. However, satisfaction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ndem with curriculum changes and COVID-19. Based on these data, the counseling system was reorganized to support psychological stability,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was improved, and changes in actual quality of life were induc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non-curricular programs. Furthermore, standardized questionnaires will be developed and data from many medical schools will be shared, which is expected to support medical students more effectively.

입학전형 및 학년별 간호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 융합비교연구 (A Convergence Comparison of the Stres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process and Grade)

  • 김정애;강지순;서금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9-112
    • /
    • 2017
  • 본 연구는 입학전형 및 학년별 간호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시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6년 4월에서 5월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chi}^2$-test, ANOVA, $Scheff{\acute{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입학전형에 따른 전체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전체의 입학전형에 대해서는 스트레스(p=.001), 전공만족도(p<.001), 진로정체감(p=.021), 대학생활적응(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한 결과 스트레스는 2,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높았다. 전공만족도는 1학년이, 진로정체감은 3학년, 대학생활적응은 1학년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입학전형별, 학년별로 차별화된 맞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소나무 묘목(苗木)의 Gap내 생장(生長) 및 생리적(生理的) 적응과정(適應過程)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daptation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in the Canopy Gap)

  • 김영환;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452-46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Gap 갱신이 이루어지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조성한 Gap처리구에서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광도의 변화에 따른 광합성속도, 중산속도 등 생리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Gap 생장환경에 대한 소나무 묘목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갱신기작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Open된 생장환경에 비해 광도가 낮고 광질이 다른 Gap처리구에서 소나무 묘목은 근원경보다는 상대적으로 묘고의 생장량이 더 많이 이루어졌고 건중량의 증가비율도 지하부보다는 지상부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비교적 높은 T/R율을 보였다. 소나무 묘목의 지상부 C/F비율(지상부의 비동화기관과 동화기관 건중량의 비율)도 Gap처리구에서는 Open 생장환경에 비해 0.1~0.2정도 높았으며 광포화점은 $300{\mu}mol\;m^{-2}s^{-1}$정도 낮았고 광보상점도 40%정도 낮게 나타나 양수이지만 내음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광도가 $400{\sim}450{\mu}mol\;m^{-2}s^{-1}$보다 낮을 때 소나무 묘목은 비교적 높은 광합성속도와 수분이용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약한 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였다.

  • PDF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적응기술, 일상생활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School Readines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ocusing on Adaptation and Daily Living Skills)

  • 김은지;곽보경;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75-86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준비도의 적응기술 영역과 일상생활 기술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의 만 5세 8개월 남아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2번, 4주 동안 총 8회기 진행되었다.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를 실시하였으며 목표 활동은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였다. 사전-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를 통하여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수행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COPM의 결과는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수행도와 만족도 모두 향상을 보였다. 처리기술은 수업 준비하기에서 7개,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8개의 향상을 나타냈다. 작업 수행 관찰결과 수업 준비하기와 화장실 이용하기에서 사후 검사와 후속 평가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작업치료는 발달지연 아동의 학교준비도 적응기술과 일상생활기술을 향상시키며 학교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