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and Devi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8초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핵심역량 도출 및 근무지 특성별 중요도 인식 비교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 성영희;정정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6-9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re components required of nurses to provide quality nursing care to patients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se components in the hospital's various units to maintain a high level of competence among nurses. Method: The study evaluated 3 categories included 35 subcategories with 148 core components that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of nursing professionals. The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included 18 subcategories with 98 components,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y included 4 subcategories with 16 components, and the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included 13 subcategories with 34 components. The study included 335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hospital experience and measured disparities among different hospital units.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0.0,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eneral trait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trait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ANOVA and subsequently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liability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ools were evaluated using the Cronbach's ${\alph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e three categories,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and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y. Among the ten most important subcategories within the three categories,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as well as responsibility were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romotion of physiologic adaptation, document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elf-control, ethics, observance law, coping with emergency, humanity, and medication. 2.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ies within the hospital unit were as follows : 1) The units that rated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mother-child unit, emergency room, intensive care unit, and operating room, in that order. 2) The units that r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mpetencies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mother-child unit,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emergency room, operating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in that order. 3) The units that rated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emergency room, mother-child unit, operating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in that order.

  • PDF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의 국내적용을 위한 번역연구 (Transl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Study on a Korean of Sensory Processing Measure Home Form)

  • 이혜림;유은정;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1
    • /
    • 2021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가정용 Sensory Processing Measure(SPM)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 번역과정을 거친 후 내용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내용타당도 연구를 위해 번역, 역번역 과정에서 항목을 수정하였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각 지역별 작업치료학과 교수 3명을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내용타당도는 각 항목에 대하여 의미성와 구조성으로 나누어 4점 척도로 실시하였으며 1점은 매우 타당하지 않음, 2점은 타당하지 않음, 3점은 타당함, 4점은 매우 타당함으로 점수화하였다. 역번역은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2명이 참여하여 2개의 역번역본에서 일치하는 않는 부분을 확인한 다음 전문가 집단에서 토의 후 보완하였다. 이렇게 번역된 한국어판은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부모 13명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원본 SPM과 한국어로 번역한 SPM을 비교한 결과 평균 3.54± .74(리커트 4점 척도), 의미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S-CVI/Avg)는 .92, 구조성에 대한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86이었다. 역번역 결과, 내용 일치도는 평균 3.77± .47로 나타나 내용이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역번역 및 수정을 거친 SPM을 부모 집단을 대상으로 이해도 검증 결과 평균 3.48 ± .63(리커트 4점 척도)이었으며 평균방식의 척도 내용타당도 지수(S-CVI/Avg)는 .94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개발된 SPM을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내용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한국어판 가정용 SPM을 우리 문화권에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열가압성형도재의 사용이 금속도재관 치경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and press-on-metal technique on marginal fit of metal-ceramic crown)

  • 김지은;김세연;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0-96
    • /
    • 2014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열가압성형기법이 금속도재관의 치경부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에 앞서, 4개의 금속 주모형을 형성하였다. 각 모형은 각각chamfer, heavy chamfer, shoulder with bevel, shoulder (collarless)변연을 형성하였다. 각 변연당 10개씩의 금관을 제작하여, 총 40개를 제작하였다. Coping 단계에서, 그리고 금속도재관 완성 단계에서 주모형과 금관 사이의 변연간극은 100배율의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Data분석은 paired t-test along with one-way ANOVA와 Duncan multiple comparison test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변연간극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금속 코핑과 그 후 완성된 금속도재관, 모든 경우에서 변연부 간격은 임상적 허용범위 안에 있었다. Chamfer 변연 실험군의 경우 Heavy chamfer 변연 실험군에 비하여 금속도재관 완성 후 변연부 간격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그리고Shoulder 변연 실험군에서 도재로 처리된 변연이 Chamfer와 Shoulder변연 실험군의 금속변연에 비하여 변연부 간격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결론: 열가압성형기법을 통하여 제작한 금속도재수복물의 변연적합도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금속도재수복물의 변연적합도와 유의한 차이점이 없었다. 제작과정의 효율성으로, 열가압성형기법은 임상에서의 효과적인 사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도덕적자아, 도덕적행동,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이 융복합시대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oral Self, Moral Behavior, Self-Control,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Age of Convergence)

  • 제남주;박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61-37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간호대학생 16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5일부터 4월 30일이며, IBM SPSS 21.0으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를 사용하였다. 도덕적자아는 3.39점, 도덕적행동은 3.72점, 자기통제력은 3.68점, 공감은 3.53점, 대인관계능력은 3.69점, 간호전문직관은 3.90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자기통제력, 공감, 대인관계능력와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 전문직관에 영향요인은 전공만족도-만족함(β=.232, p=.002), 공감(β=.222, p=.003), 대인관계능력(β=.178 p=.016)순이었다. 설명력은 18.5%이었다(F=13.69, p<.001). 간호전문직관 향상과 올바른 확립을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공감, 대인관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성격과 학과적응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간호전문직관 향상을 확인하는 추가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흉배부(胸背部)에 시행한 부항요법(附缸療法)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한 연구 - (The Effect of Dry Cupping Treatment Applied to Back-shu Point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rough HRV)

  • 황은미;왕개하;배재익;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4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y cupping treatment applied to back-shu point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Two groups of sympathicotonia and normal with each 30 volunteers were set up for this experiment. The sympathicotonia group was selected by the criterion for sympathicotonia by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11 items. After 10 minutes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first HRV(heart rate variability) test was conducted, and then, dry cupping therapy was applied to back-shu points for 5 minutes to stimulate sympathetic ganglia lying along the spine. The second HRV test was carried out just after the cupping therapy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then, the third test was repeated after two hours based on the first test time. Results : 1. In sympathicotonia group, SDNN(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RMSSD(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the squares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ormal R-R intervals), Ln(HF)(high frequency power), nmHF(normalized high frequency power) increased and mHR(mean heart rate), nmLF(normalized low frequency power) de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dry cupping therapy which means dry cupping affec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effect lasts in these items of nmLF, Ln(HF), nmHF, rLHF(rate ratio of LF/HF). 2. In normal group, SDNN, RMSSD increased and mHR de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dry cupping therapy, too. But, Ln(LF)(low frequency power), nmLF, rLHF unexpectedly increased and nmLF, rLHF stay increased up to 2 hour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ry cupping therapy has effect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t is effective to stabilize hyper-sympathetic tone of people diagnosed as Sympathicotonia and activate parasympathetic tone.

주색도 분석을 적용한 비음수 행렬 분해 기반의 광원 추정 (Illumination Estimation Based on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with Dominant Chromaticity Analysis)

  • 이지헌;김대철;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8호
    • /
    • pp.89-96
    • /
    • 2015
  • 인간의 시각은 색순응을 통해서 사물의 색을 광원의 색에 영향 없이 인지 할 수 있다. 반면에, 카메라는 입력 값을 그대로 기록하기 때문에,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에 희박성 제약조건의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with sparseness constraint; NMFsc)를 이용한 광원추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낮은 희박성 제약조건을 사용해서 광원을 추정하고, 높은 희박성 제약조건을 사용해서 반사율을 추정한다. 하지만, 희박성 제약조건의 비음수 행렬분해를 이용한 광원 추정 방법은, 영상의 전역적인 정보를 사용하므로, 영상에서 동일한 색이 넓은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추정된 광원이 큰 오차를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영상에서 주색도 분석과 희박성 제약조건의 비음수 행렬 분해를 이용한 광원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주색도를 분석하기 위해 영상을 색도 좌표계로 옮기고 색도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유사한 색도를 가지는 영역들로 영상을 분할한다. 다음으로 영상의 주색도는 분할된 영상들 중 색도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은 영상의 색도로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주색도 분석 결과와 희박성 제약조건의 비음수 행렬 분해를 이용해 입력 영상에서 주색도 성분을 제거하고 최종적인 광원을 추정한다. 실제 촬영 영상에 대한 평균 각오차를 사용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평균 각 오차는 5.5를 나타내어 영상의 주 색도를 포함하여 광원을 추정한 기존 방법의 평균 각 오차 5.7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일제강점기 월미도유원지를 통한 행락 문화의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tion and Change of Amusement Culture on the Case of Wolmido Pleasure Grou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김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34-147
    • /
    • 2014
  • 일제강점기 도입된 유원지는 새로운 행락활동이 조직되는 장이었으며, 대규모 사적 공간인 동시에 새로운 유형의 공공 공간으로 발전해갔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당시 대표적 유원지였던 월미도유원지를 통해 유원지의 경관과 수용, 행락 문화의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당시 월미도는 수목과 어우러진 이국적 건물, 해수욕장, 임해학교, 공설운동장, 동물원 등 서구 및 일본 유원지의 요소들이 섬 곳곳에 배치되어 종합적인 오락/놀이 공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과 경인선으로 연결되었던 월미도유원지는 당시 대표적 행락지로 떠오르면서, 행락 문화의 대중화와 상품화 과정을 보여준다. 행락의 대중화 과정을 보면, 유원지를 통해 수려한 풍경을 찾아 여가를 즐기는 행락 활동이 다양한 계층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신분제가 철폐되고, 유원지의 이용은 비용만 지불하면 누구라도 이용할 수 있었고, 그 이용요금도 다양하였으므로, 유원지에서의 행락은 남녀노소, 조선인과 일본인 등 계층의 구분이 점차 사라져갔다. 또한 유원지는 서구적인 취미-스포츠 활동이 펼쳐지는 공간이었으며, 여름학교와 각종 운동경기가 열리면서 집단적이고 역동적인 활동을 보편화하는 매개가 된다. 동시에, 유흥시설과 복합되어 기존의 사회적 규범에서 일탈하는 공간이 되기도 했다. 행락의 상품화는 인위적 환경 속 인공적 오락문화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첫째, 인위적으로 경관을 조성하고, 이를 매개로 '매혹적인 여름 휴양지', '물나라' 등 낙원이라는 장소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는 관광을 통해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고, 지역개발을 꾀하려는 식민당국과 철도회사, 유원회사의 의도가 결합한 결과이다. 둘째, 자연을 배경으로 한 인위적인 스펙터클을 조성한다. 월미도 유원지에는 다양한 양식의 건물들이 조합되어 선진화되고, 이국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특히 방파제나 아케이드 등의 인공물들은 자연과 군중을 새로운 시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볼거리를 창출했다. 셋째, 유원지는 주어진 용도와 이용방법을 벗어남 없이 따르는 수동적인 이용자를 등장시켰다. 이처럼 유원지가 역동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조성되면서 현재 관광 단지나 놀이공원, 테마파크 등의 대중적 오락 공간의 원형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