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Dry Cupping Treatment Applied to Back-shu Point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rough HRV

흉배부(胸背部)에 시행한 부항요법(附缸療法)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 심박변이도 측정을 통한 연구 -

  • Hwang, Eun-Mi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Wang, Kai-Hsia (Dep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Dong-Guk University Oriental Hospital) ;
  • Bae, Jae-Ik (Dep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eum, Dong-Ho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황은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왕개하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침구과) ;
  • 배재익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금동호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ry cupping treatment applied to back-shu point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Two groups of sympathicotonia and normal with each 30 volunteers were set up for this experiment. The sympathicotonia group was selected by the criterion for sympathicotonia by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11 items. After 10 minutes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first HRV(heart rate variability) test was conducted, and then, dry cupping therapy was applied to back-shu points for 5 minutes to stimulate sympathetic ganglia lying along the spine. The second HRV test was carried out just after the cupping therapy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then, the third test was repeated after two hours based on the first test time. Results : 1. In sympathicotonia group, SDNN(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RMSSD(the square root of the mean of the sum of the squares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normal R-R intervals), Ln(HF)(high frequency power), nmHF(normalized high frequency power) increased and mHR(mean heart rate), nmLF(normalized low frequency power) de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dry cupping therapy which means dry cupping affect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effect lasts in these items of nmLF, Ln(HF), nmHF, rLHF(rate ratio of LF/HF). 2. In normal group, SDNN, RMSSD increased and mHR decreased significantly right after dry cupping therapy, too. But, Ln(LF)(low frequency power), nmLF, rLHF unexpectedly increased and nmLF, rLHF stay increased up to 2 hours.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ry cupping therapy has effect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t is effective to stabilize hyper-sympathetic tone of people diagnosed as Sympathicotonia and activate parasympathetic tone.

Keywords

References

  1. 최창민, 선종주, 김석민, 정재한, 이승엽, 최원 우, 홍진우, 박성욱, 정우상, 문상관, 박정미,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우황청심원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4):717-26.
  2. 김대필, 최유석, 박영회, 금동호. 심박수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를 이용해 고찰한 자율신경실조증 환자의 치험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4;14(3):173-85.
  3. 임재원, 임현주, 정인철, 이상룡. 가미온담탕으로 호전된 자율신경실조증 환자 1례. 대전대학교 한의학석사 논문집. 2009;18(1):101-7.
  4. Kamath MV, Fallen EL.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a noninvasive signatur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Crit Rev Biomed Eng. 1993;21(3):245-311.
  5. 동혁, 형례창, 김락형, 정승일, 서의석, 장인수. 마황 복용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작위적 배정 이중맹검 임상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7;28(1):105-16.
  6. 임준규. 부항요법이 건강한 성인남자에게 미치는 혈액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7;1-15.
  7. 오재근, 김성수. 배부 경혈에 부항요법 시술이 남자대학생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1999;20(1):75-83.
  8. 김수병, 이나라, 주예일, 이용흠, 정병조. 부항 자극에 대한 背腧穴 어혈 평가를 위한 색소침착 변화 분석. 경락경혈학회지. 2011;28(1):53-60.
  9. 김민수, 곽민아, 장우석, 이기태, 정기삼, 정태영, 서정철, 서해경, 안희덕. 전침 자극이 정상 성인의 심박변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3;20(4):157-69.
  10. 설현, 육태한. 견정혈 황련해독탕 약침이 심박 변이율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6):37-50.
  11. 박진수, 안민섭, 이정주, 최병선, 박민철, 양현주, 박가영, 김민철, 조은희. 단중혈 침자극이 정상 성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1;28(2):13-23.
  12. 조성연, 장진영, 김소정, 남상수, 김용석. 내관 애구가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한 성인의 심박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0; 27(2):51-8.
  13. 천왕보심단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4):127-35.
  14. 김현우, 김호준, 박영회, 금동호, 이명종. 교통 사고 환자에서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문헌 고찰-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1):35-47.
  15. 남동현, 박영배. 연령별 맥박변이도 표준화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1;5(2):93-101.
  16. 노민희. 인체해부학. 서울:도서출판 정담. 1994: 298-301.
  17. 안영기. 경혈학총서. 서울:성보사. 1999:321-2, 347-72.
  18. 금동호. 교감신경계의 배부분포와 背腧穴의 비교연구.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3;9(2):15-27.
  19. 이은정, 전태동, 윤일지, 오민석. 수면 전 부항요법이 교통사고로 유발된 수면장애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1):193-208.
  20. AI Esakov, TM Dmitrieva. Mechanism of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tactile receptors of the skin.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1968;65(4):357-9. https://doi.org/10.1007/BF00785614
  21. Kent E. Chernetski. sympathtic enhancement of peripheral sensory input in the frog. J Neurophysiol. 1964;27:493-515. https://doi.org/10.1152/jn.1964.27.3.493
  22. K Fuxe, BY Lilson. Mechanoreceptors and Adrenergic Nerve Terminals. Experientia. 1965;21(1):641-2. https://doi.org/10.1007/BF02144053
  23. TM Dmitrieva, AI Esakov. Changes in activity of tactile receptors under sympathetic influences.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1969;67(6):581-4.
  24.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185-202.
  25. 황의완. 동의정신의학. 서울:현대의학 서적사. 2000:607-89.
  26. Horn EH, Lee ST. Electronic evaluations of the fetal heart rate patterns preceding fetal death: further observation. Arm J Obster Gynecol. 1995;87:824-6.
  27. Yeragani VK etc.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Phychiatry Res. 1991;37:35-46. https://doi.org/10.1016/0165-1781(91)90104-W
  28. Yeragani VK etc. Decreased HRV in panic disorder patients: a study of power-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Phychiatry Res. 1993; 46:89-93. https://doi.org/10.1016/0165-1781(93)90011-5
  29. 박영선, 김석중, 김종대. 일개 사업장 근로자 들의 한방건강검진에서 심박동변이도 측정을 통한 음주와 흡연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결과 분석. 대한한의학회지. 2008;29(1):134-45.
  30. 손인철 외. 오장배수혈 부위의 신경영역 및 혈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1998;8(1):78-9.
  31. WR Loewenstein. Facilitation in a tactile receptor due ro sympathetic stimulation. Federation proceedings. 1955;14:94-5.
  32. 권경남. 심혈관 조영술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증과의 관계. 한국 산업 응용학회 논문집. 2004;7(4):319-23.
  33. Haber JD, Moss R, Kuczmierczyk A, Garrett JC.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tress in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a model for analysis. J Oral Rehab. 1983;10: 187-96. https://doi.org/10.1111/j.1365-2842.1983.tb00112.x
  34. 곽창규, 손은혜, 이의주, 고병희, 송일병, 황욱. 침자극 후 사상체질별 자율신경활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 16(3):76-84.
  35. 남기봉, 정석희, 김성수. 점진적 근육이완법이 건강인의 경근전도와 자율 신경계, 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 18(1):125-40.
  36. 이정호, 김호준, 이명종. 요근 긴장이 자율신경계 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8;3(1):73-82.
  37. 민성길. 최신정신의학. 서울:일조각. 2000: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