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ual dutie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4초

대구지역(大邱地域) 학교주변(學校周邊) 환경(環境)에 대한 교사(敎師)의 인식(認識)과 유해업소(有害業所) 실지조사(實地調査) (Teacher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round Schools and Actual Survey in Prejudical Business in Taegu City)

  • 양명숙;김상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5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주변환경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환경개선에 도움울 주고자 93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 사이에 대구시내 초 중등학교 학교정화업무담당교사 275명 중 설문지가 회수된 220명을 대상으로 학교주변한경 정화에 대한 인식과 정화구역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동년 8월 10일에서 9월 20일 사이에 국민학교 72개교의 학교주변의 유해업소를 실지조사한 결과를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한 것이다.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교사가 학교주변의 나쁜 환경이 학교교육에 영향을 미치며 환경정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학교의 연간계획 중 정화업무의 중요시 정도는 다른 업무보다 비교적 중요시되기 보다는 중요시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현재 매월 첫째 토요일에 시행되고 있는 환경정화의 날이 적당한지에 대해서는 52.3%가 적당하다고 응답했고 39.5%는 적당치 않다고 응답했으며, 적당치 않은 이유는 행사를 자주 실시해서 형식적이라는 의견과 토요일은 개인적인 계획이 많기 때문이라는 반응이 많았고 횟수는 연 4회 정도로서 오후수영 마친 후가 좋다는 의견이 많았다. 정화담당교사가 생각하는 학교주변업소의 유해한 순위는 전체적으로 전자오락실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만화가게, 주류판매점, 소음, 공해유발업소 등의 순이었다. 지금까지 추진해 온 학교환경정화 사업의 결과에 대해서는 57.3%가 실패했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는 감독기관의 업무 집행 소홀이 60.3%, 업주들의 지나친 상행위가 30.2%를 차지했다. 학교에서 할 수 있는 주변환경 개선의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유해업소에 출입하지 않도록 지도하고 건전한 학생 놀이문화를 보급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72개 국민학교 환경위생 정화구역에 대해 실지조사한 결과 발견된 1,258개 유해업소 중 비디오가게가 398새로 가장 많았고, 숙박업소 213개, 전자오락실 193개 순으로 많았으며 학교별 유해 업소수는 1개교당 평균 17.5개로 업소는 0개에서 77개까지 분포가 다양했고 절대정화구역내에는 37개, 상대정화구역 내에는 1.221개가 있었다. 유해업소는 대체로 중구, 서구 소재학교에 밀집해 있었고 학생수가 증가할수록 업소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교주변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토지 이용상 용도구역제(用度區域製)를 엄격히 실시하고 도시개발 시에는 교육환경평가를 거치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이와 함께 국민의 올바른 교육관 정립을 위한 노력과 관련부처간의 긴밀한 협조가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 PDF

공군 전투조종사 비행복 착용특성 및 만족도 조사 (Research on Actual Usage and Satisfaction of ROKAF Fighter Pilot's Flight Duty Uniform)

  • 이아람;남윤자;홍유화;임소정;임채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69-68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fighter pilot's usage and satisfaction of a flight duty uniform (FDU).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4 to March 2015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s. FGI collected qualitative data about duty and requirements; subsequently, surveys were performe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bout wear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with FDU. The results of the FGI and the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Type of pilot dut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light duty and ground dut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duties as well as factors related to survival when developing FDU.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and wearing size, the basic size for apparel grading should be changed from actual size, 'M95XL' to 'M100L'.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whole sizing system. Further studies about body form changes in pilot's m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mobility because the respondents perceived some restrictions at several body parts in movement with the coverall uniform. Summer FDU had a low satisfaction level in vent hole function and appearance. Furthermore, protection problems in the vent hole were also an issue. Making a seasonal classification of FDU fabric will be more effective than a vent hole to increase a pilot's thermal satisfaction. Respondents had a passive stance towards FDU reform (including pocket change); therefore, a new FDU design strategy should concentrate on improving current FDU functions like mobility (or comfort) rather than dramatic changes. Pilots complained about the quality stability of FDU; therefore, quality control by military administration as well as concrete and clear design instructions by the developer should be attain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FDU.

정보보호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구인광고와 NCS의 비교 (Information Security Job Skills Requirements: Text-mining to Compare Job Posting and NCS)

  • 전효정;박병조;김태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179-197
    • /
    • 2023
  • 산업진흥 정책의 하나로 정보보호 인력양성 및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시장에는 여전히 중고급 이상의 숙련인력은 부족하다. 정보보안 공시제도의 시행 및 확대에 따라, 정보보호를 전담할 전문인력의 확보 및 유지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정보기술 업무와 정보보호 업무 간의 구분은 더욱 애매해지고 있어, 정보보호만의 전문성을 키우고 인정받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규명하여 정보보호 전문성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4년, 2019년, 2022년 게시된 정보보호 인력 구인광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직무 키워드를 비교한 결과, 구축, 운영, 기술지원,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등이 주요 키워드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년도별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기업의 실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구인광고 내용과 국가직무능력표준 정보보호 분야 지식기술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 현업에서는 기술개발, 네트워크, 운영체제 등 기술적인 능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훈련에서는 법제도, 인증제도 등 관리 능력이 우선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비교 연구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ct - Focused on special guards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

  • 노진거;이영호;최경철
    • 시큐리티연구
    • /
    • 제57호
    • /
    • pp.177-203
    • /
    • 2018
  • 1962년에 각종 중요산업시설의 방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원경찰법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에 경비업법 개정으로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경비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특수경비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로써 현행법은 청원경찰제도와 특수경비제도가 이원화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통합의 당위성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와 같은 학계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청원경찰의 신분보장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단일화 주장은 동력을 잃게 되었다. 엄격한 의미에서 청원경찰은 자체경비이며, 특수경비원은 계약경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이제는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의 단일화를 주장하기 보다는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의 장점을 살려 상호 보완하며 발전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한 시발점으로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불합리한 법조문을 다음과 같이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첫째,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의 업무수행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특수경비원과 청원 경찰의 경비대상시설을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경비원의 국가중요시설 경비에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수 경비원의 경우에도 청원경찰과 마찬가지로 경비대상시설 범위 내에서는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경비원의 결격사유는 청원경찰과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경비원의 교육기관도 청원경찰의 교육기관과 동일하게 경찰교육기관으로 단일화하는 것이 타당하며, 특수경비원의 직무교육시간도 청원경찰과 동일하게 매월 4시간 이상으로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다섯째, 특수경비원의 경우에도 무기사용 요건을 '무기 또는 폭발물'에 한정하지 말고, '무기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소지하고 항거하면 무기를 사용하여 위해를 끼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여섯째, 청원경찰에 대한 벌칙의 내용과 벌금의 범위 등도 특수경비원에 대한 벌칙 규정과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면 굳이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을 단일화하지 않고도 불합리한 점을 시정함으로써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이 각 법률 하에서 상호 경쟁을 통하여 민간경비 산업 전체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 시민들에게는 양질의 경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중일 탄소시장 연계의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impacts of linking carbon market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김용건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4호
    • /
    • pp.809-850
    • /
    • 2012
  • 본 연구는 개별 국가 혹은 지역 단위 배출권 거래제도의 국제적 연계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한 중 일 3국간의 배출권 거래제도 연계 시 예상되는 경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산가능 일반균형모형을 통해 3국간 배출권 거래제 도입의 경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 중 일 3국간 탄소시장의 연계는 국가별로 다양한 측면에서 복잡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중 일 배출권 거래제 연계 시행은 3국 전체의 실질 GDP를 증가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계로 인한 이익의 국가간 분배가 불균형적임은 물론 실질 소비나 고용 등의 측면에서는 탄소시장 연계가 3국 전체적으로도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긍정적인 효과만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배출권 매입국인 한국과 일본의 소득 소비 고용 감소 및 에너지 의존도 증가, 배출권 매출국인 중국의 생산 감소 및 해외 이전 가능성은 3국간 탄소시장의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3국간 탄소시장 연계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예상되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배출권 수입 관세나 수입배출권 할인과 같은 보완적 정책수단의 개발 적용이 필요하다.

  • PDF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및 배경요인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Practice, and Background Factors in Us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ce)

  • 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35-645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교수과정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과 관련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그 배경요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교직경력, 성별, 성장지역, 연령 등 각각의 특성이 다른 네 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을 하기 위해 수업의 도입부에 일상경험을 상기하도록 학생들에게 발문하였다. 교사들은 과학수업에 일상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우호적이었고 더 높은 수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기억', '자녀교육 경험', '유년기의 성장환경', '개인의 학습양식', '불충분한 지식 열정', '일상생활의 과학 교육적 의미', '교사의 의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중요성', '실험의 어려움', '일상경험 도입 시 학생의 반응', '교과용 도서의 체계', '교수학습 시간 부족', '국민공통기본 교육 구현', '담당 학생의 특성', '타 교육주체의 요구', '일상경험 도입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직무관련 외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인식과 다른 실행을 하고 있으며, 일상경험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하여 교과용 도서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국제 경쟁력과 의류산업의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arel Products Performance Effecting the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 김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65-182
    • /
    • 1994
  • Korea's clothing industry which has been country's leading export industry and basic strategical industry is now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omestically it is faced with continuing shortage of manpower in both production line and management high labour cost causing increase in price putting more weight on behavior of consumers resulting in change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continuing structural problems of industry itself. Internationally it is faced with strengthening of import regulations and protectionism of developed countries and rapid emergence of underdeveloped countries as leading exporting nations. In reality export plays the most essential role in our economy and is especially sensitive to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lready economic bloc phonomenon can be seen everywhere and is continuing to accelerate in place such as E. U in Europ, North & South America as NAFTA, and South East Asian contries which recent tendency of economic unity effort is present. These countries of such economic blocs are imposing heavy custom duties reinforcing provision of country origin and acting out strict inspection regula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interest of their own industry. Therefore it is vital to manufacture excellent quality goods For these reasons study in this area has brought attention in Korea as well as worldwide in the recent years. Apparel industry which requires professional technology and ability is the most competitive international business. In order to challenge the international market the high level of intelligence is most required to produce high quality g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s and roles of marketing and to approach problems in more efficient manner. Apparel industry is composed of various programs such as design pattern making merchandising and textile science. To succeed in the business is to give the highest satisfaction to the targeted market. Hence this study will exampl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st Quality and Performance of apparel products. The study will involve following steps; firstly establish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concept and productivity of apparel products Secondly inquire in to marketing strategy laying stress on apparel production related factors focusing on merchandising marketing production and operations Thirdly prospect 21st century apparel industry focusing on garment production and trade and also other countries structural improvement Fourthly establish the new dimension of competitive factors by grasping the actual circumstance of Korea's apparel industry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e research method will include; First reality approach method by analysing the present state of industry Second literal analysis such as marketing comparisons between leading apparel exporting countries.

  • PDF

조직후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 Commitment)

  • 이홍기;장명복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7-168
    • /
    • 2014
  • 본 연구는 이직율의 원인 특히 기업의 종사자들이 갖고 있는 조직 내의 직무 그리고 조직과 관련된 지각 그리고 그로 인해 형성되는 태도가 그들의 이직의도 그리고 그에 따른 이직과 성과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들의 태도 변수로는 종업원들이 지각하는 그들에 대한 그들이 근무하고 있는 조직으로부터의 후원인식과 그 조직에 대한 그들의 몰입도를 변수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검토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수립된 5개의 연구가설 중 4개의 가설이 기대했던 대로 검증되는 결과를 얻었다. 결국 조직후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을 높일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정서적 몰입은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기불황과 함께 이직을 고려하는 현상이 증가하는 시기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후원인식 행위를 적극 권장하여 몰입의 향상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근로자들의 조직내 근로의 질을 향상시켜 이직의도를 줄여나가는 방향에서의 인적자원관리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제법상 동북아해저환경보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Northeast Asian Seas in International Law)

  • 이윤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97
    • /
    • 1995
  • The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is one of the main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in recent years. In parallel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a great quantity of chemical materials were used and in consequence, mass transportation of oil and other dangerous materials was required on the one hand, and discharge of industrial wasters drew also the attention on the other hand. Furthermore, oil tankers accidents, mass use of nuclear materials, sea-bed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stimulated further deep human concern on the marine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ncern to new and more dangerous sources of marine pollution regarded more strict and legal control on the Oil Tanker(DWT 95, 000tons, Cb=0.805) model. Calculation results are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especially regional level. In particular,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Northeast Asian Seas surrounded by Japan, the Russian Far East,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and Taiwan. These adjacent countries must intensify cooperation regarding the prevention, reduction and control of the contamination of the sea. And this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s concerned should, as much as possible, be aimed at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measures to prevent or abate transbou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To achieve this purpose, States concerned should be imposed upon duties such as duty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duty to inform, duty to consult and duty to assist on the basis of general principle of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customary law and other various resolutions of international bodies. Depending on the nature and extent of actual or potential transboundary pollution with the use of a natural resource or the environment in general the establishment of some form of institutionalized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s concerned may become useful or indispensable. The functions of this Organization are, inter alia, to keep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and the protocals under continuous observation, to make recommendations on regional or sub-regional rules and standards to be elaborated and on measures to be taken by the Contracting Parties, to be notified of any grave and imminent danger from pollution or threat of pollution by the Contracting Parties and to promote in close cooperation with appropriate governmental bodies additional measures to protect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Northeast Asian Seas, and so on. Above mentioned countries, first of all, are located within the Northeast Asian Seas geographically and, therefore, take responsibilities of preserving the clean sea against marine interferences regardless of any difference of the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They must be followed under the UNCLOS and other marine conventions.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Northeast Asian Seas will become dead seas in case that there is no instant and prompt action against pollution. Hence we have an absolute oblig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andatory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which in turn can faciliate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gional cooperation by the neighbouring states within this area.

  • PDF

부산, 경남지역 치과기공사의 직무분석 (The job analysis of dental technicians in Busan, Gyeongnam)

  • 나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7-29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set standard for organizing the curriculum of short-term dental technicians and the change of job environment, as well as the knowledge & training,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and actual job performance of dental technicians following job analysi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of Dep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nd furthermore to foster junior executives to cope with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Methods: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job analysis of research report suggested by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Lee Gyu-seon, 2011), and it consists of general characteristic 7 items. Every competence duty was measured through Likert 5 point gauging, and internal consistency through Cronbach's Alpha. The competence importance of entire questionnaire was .984 and its performance was .874, reflecting considerably high level, and in terms of each competence duty, high credibility was proved and high internal consistency was verified with competence importance ranging from the minimum .655 to the maximum .966 and its performance ranging from the minimum .677 to the maximum .993. Results: Competence importance and its performance in each duty on the job analysis of dental technicians were measured. In competence importance in each duty, the highest was "checking design order form"(average, 4.52), followed by "selling dental prosthesis"(average 4.49), "making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average, 4.48), "open managing dental laboratory"(average, 4.46) in order. However, "making complete denture" was found the lowest(average, 4.23), with importance of all competence dutys was considerably high level. In the performance of its competence duty, "checking design order form"(average, 4.04)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ce competence, followed by "making conservative restoration"(average, 4.00), "making porcelain"(average 3.98), "checking working cast"(average, 3.90) in order. However it was found out that "mak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average, 3.12) was the lowest, and the importance of all competence dutys was quite high level. Conclusion: The duties of dental technicians consist of 13 kinds, in total, and it was found out that "checking design order form"(average, 4.52) was the most important in the competence importance and job performance.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e importance and its performance in the order of "selling dental prosthesis", "open managing dental laboratory", "making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making CAD/CAM prosthesis", and then "mak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