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ct - Focused on special guards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비교 연구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을 중심으로

  • 노진거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이영호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최경철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8.11.09
  • Accepted : 2018.12.03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ct was legislated in 1962 to solve issue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various staple industrial installations, and in 2001,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was revised to establish an effective security system for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Thereby the Special Guards System was instituted. The current law has two parts, with the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System and Special Guards System, and many scholars have actively discuss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gration of both system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a bimodal system. However, in spite of these discussions taking place in the academic world, the idea of unification lost its power when the guarantee of status regul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Strictly speaking,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is a self-guard, and a special guard is a contractual guard. So, both of them have pros and cons. Thus, it would be desirable to give a legal, constitutional guarantee for both systems by strengthening each of them and making up for the weakness of each of them rather than trying to unify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nd special guard. To begin this process, we need to revise unreasonable legal provisions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ct as below. First, since the actual responsibilities of special guards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are the same, we need to make the facilities which they use equal. Second, legal provisions need to be revised so that a special guard may perform the duties of a police officer, according to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within the facility that needs to be secured in order to prevent any vacancy in the guarding of an important national facility. Third, disqualifications for the special guards need to be revised to be the same as the disqualifications for the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Fourth, it is reasonable to unify the training institution for special guards and for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and it should be the training institution for police. On-the-job education for a security guard needs to be altered to more than 4 hours every month just like the one for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Fifth, for a special guard, it is not right to limit the conditions in their using weapons to 'use of weapon or explosives' only. If one possesses 'dangerous objects such as weapon, deadly weapon, and so on' and resists, a special guard should be able to use their weapon against that person. Thus, this legal provision should be revised. Sixth, penalty, range of fines, and so on for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need to be revised to be the same as the ones for a special guard. If we revise these legal provisions, we can correct the unreasonable parts of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Act without unifying them. Through these revisions, special guards and police assigned to special guard duty may develop the civilian guard industry wholesomely under the law, and the civilians would have a wider range of options to choose from to receive high quality security service.

1962년에 각종 중요산업시설의 방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원경찰법이 제정되었으며, 2001년에 경비업법 개정으로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경비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특수경비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로써 현행법은 청원경찰제도와 특수경비제도가 이원화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학자들에 의해 통합의 당위성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와 같은 학계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청원경찰의 신분보장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단일화 주장은 동력을 잃게 되었다. 엄격한 의미에서 청원경찰은 자체경비이며, 특수경비원은 계약경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이제는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의 단일화를 주장하기 보다는 청원경찰과 특수경비원의 장점을 살려 상호 보완하며 발전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보장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한 시발점으로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불합리한 법조문을 다음과 같이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첫째,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의 업무수행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특수경비원과 청원 경찰의 경비대상시설을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경비원의 국가중요시설 경비에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수 경비원의 경우에도 청원경찰과 마찬가지로 경비대상시설 범위 내에서는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특수경비원의 결격사유는 청원경찰과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특수경비원의 교육기관도 청원경찰의 교육기관과 동일하게 경찰교육기관으로 단일화하는 것이 타당하며, 특수경비원의 직무교육시간도 청원경찰과 동일하게 매월 4시간 이상으로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다섯째, 특수경비원의 경우에도 무기사용 요건을 '무기 또는 폭발물'에 한정하지 말고, '무기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소지하고 항거하면 무기를 사용하여 위해를 끼칠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여섯째, 청원경찰에 대한 벌칙의 내용과 벌금의 범위 등도 특수경비원에 대한 벌칙 규정과 동일하게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면 굳이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을 단일화하지 않고도 불합리한 점을 시정함으로써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이 각 법률 하에서 상호 경쟁을 통하여 민간경비 산업 전체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 시민들에게는 양질의 경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배완 (2010). 민간경비의 직무에 관한 청원경찰법상 제도와 경비업법상의 특수경비제도의 비교 연구. 법학연구, 38, 325-347.
  2. 안황권 (2009). 민간경비학. 인천: 진영사.
  3. 안황권 (2018). 시설경비론. 인천: 진영사.
  4. 이상훈 (2015). 청원경찰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4(3), 91-114.
  5. 이선제 (2007). 청원경찰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윤근 (1992). 용역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통합 및 단일법안화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20(1).
  7. 이윤근, 김창윤, 조용철 (2015). 민간경비론. 서울: 엑스퍼트.
  8. 최경철 (2016). 경비업법령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최선우 (2015). 민간경비론. 인천: 진영사.
  10. 한승훈, 김용근 (2015). 청원경찰의 법적 지위에 따른 권한과 의무.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4, 251-278.
  11. 2018 경찰백서
  12. 2016 경찰통계연보
  13.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10도10256 판결
  14. 헌재 2008. 7. 31. 2004헌바9
  15. 헌재 2009. 10. 29. 2007헌마1359
  16. 헌재 2016. 03. 31. 2013헌마585
  17. 헌재 2017. 09. 28. 2015헌마653
  18. http://www.police.go.kr/portal/main(경찰청)
  19. http://www.law.go.kr/main.html(국가법령정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