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ng Training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The Place of Action from David Mamet's Concept for Performer Training

  • Son, Bo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80-187
    • /
    • 2021
  • This thesis explores the place and role of a performer's action from a perspective of a director and playwright David Mamet's concept for performer training. This thesis takes inspiration from the idea of Mamet's simple and practical investigation specifically in text-based approach with a performer's bodily function on stage. For Mamet, the writings and practices of many different body-centered training are not rooted in the principle and nature of acting/performance. Reconsidering complicated approaches particularly psychological-oriented theory, practice, and assumption draw on several practitioners takes us beyond the field of visible and/or outer appearance of a performer which in turn leads the performer's body to be as abstract therefore not to being in the moment on stage. Arming the points, we argue that whatever disciplines and/or methods necessarily need to meet the principles and demands of acting/performance/theatre to connect to the materials, an action/objective given by a specific playwright which the performer must inhabit through his/her body. Out of the context, any 'method' serves no purpose. That is, the mechanics of an action is an extension of addressing what a performer's specific needs which shifts his/her bod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theatrical demands. Taking this argument further, we claim that the purpose of performer training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earning and improving techniques or skills for his/her self-perfection.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this resembles to the phenomenon that the visible very often precedes the invisible where the performer's body lose a clarity with no more chance to happen and/or change the event(s). Rather, it is a process of learning what/how to learn which in turn brings us back to the central question of why we do training for what purpose in this contemporary era. Exploring and answering these questions is not only a way to employ the key materials applicable to the theatrical demands but also to achieve the identify as a professional performer/doer on stage.

기초연기 교육과정에서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reathing Training Method at the Pre-phonation Stage in Beginning Acting Class)

  • 최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8-87
    • /
    • 2015
  • 배우로서 좋은 화술을 구사하기 위해 자연스런 호흡과 발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발성 이전 단계인 호흡 훈련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논구하고 있다. 기존의 호흡과 발성훈련에 대한 연구는 성악, 요가, 단전호흡, 의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 주류를 이룬 반면에, 배우의 연기훈련의 일환으로 되어진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더구나 그러한 연구도 대체적으로 호흡과 발성, 화술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연구 법위를 좁혀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특히 배우의 상상력과 이미지를 통해 극 속에서 존재할 법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호흡하는 훈련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배우 박중훈의 연기 패턴 분석 및 인물 표현 방식 연구 -영화<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박중훈)역 중심으로- (Acting Pattern and Character Expression Methodology of Actor Park Jung Hoon -In-depth analysis of Park's Character, Dong-Chul, in the Movie -)

  • 어일선;정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08-116
    • /
    • 2013
  • 박중훈은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 후 바로 영화 현장에 뛰어들어 현재까지 영화계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국민 배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의 연기를 이쯤에서 재조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본고에서는 그의 연기에서 독특한 몇 가지 패턴을 찾아내고, 내면적 연기가 가장 잘 되었다고 평가되는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을 중심으로 인물 표현 방식의 개략적인 경향을 분석해보았다. 그의 연기 패턴은 크게 박중훈식 코믹연기, 마초적 남성성의 표현연기, 잘 드러내지 않는 내면의 연기로 구분하였고,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동철 역의 인물 표현 방식은 엉터리 삼류 깡패 역할부터 착한 내면을 지닌 남성으로 변화되는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해 내는 그의 연기 기술을 분석해보았다. 아울러 불가능한 거리감을 가능하게 만드는 그만의 연기 기술도 찾아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영화배우들의 다양한 인물 표현 방식 연구와 그들의 훈련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하고 싶으며, 이를 통해 많은 배우들의 연기 훈련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Features Of The Implementation Of Distance Educatio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In Ukraine

  • Soroka, Maryna;Shtefiuk, Valeriia;Tatarenko, Maryna;Babchenko, Yanina;Ivashchenko, Ir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266-270
    • /
    • 2021
  • The article clarifies and divorces the concepts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distance technologies", "open education". The central concept of the DO system is "distance learning"; - an assessment of the use of distance technologies in the system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n Ukraine was carried out, which showed that the dominant teaching technology at the moment is the technology of teaching using cases (case technology on paper and electronic media). It is determined that distance technologies based on the active use of technical teaching aids (network technologies,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find little use in the system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n Ukraine.

Communicative Model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in the Realities of (Post) Modernity

  • Opanasyk, Oksana;Popova, Yana;Matiiv, Ihor;Radenko, Yuliia;Mozharovska, Han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45-251
    • /
    • 2022
  •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educational institutions had to ensure an instant transition to remote technological model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new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academic paper lies in determining the role of the communicative model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in the realities of (post) modern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a survey of 120 students from 10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HEIs) of Ukraine through an online form regarding the importance of live communication during a pandemic. Results. The communicative model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andemic - the interaction was mainly due to technologies. The research has identified four communication models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depending on learning models. The first traditional model of distance learning involves distance learning; the second model involves contact remote training using remote educational technologies; the third model is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remote and traditional learning format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des of interaction; the fourth model is traditional contact training. The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models proves that live communication remains extremely important for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aterials by students, and technology has provided support for such communication. Along with this, seminars and video lectures with presentations combining liv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as important as digital learning tools.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mastering and memorizing educational material was a live dialogue with a teacher at seminars in ZOOM, followed by individual written assignments on the studied topic.

반원 형상의 측벽 부근을 항행하는 4,000톤급 어업실습선에 미치는 유체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a GT 4,000 tonnage fishery training vessel in the proximity of semi-circle bank wall)

  • 이춘기;류경진;이유원;김수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4호
    • /
    • pp.336-343
    • /
    • 2023
  • The aging fishery training vessels from the past have mostly been decommissioned, and many universities are introducing state-of-the-art large fishery training vessels. The purpose of these training vessels is to train marine professionals and above all, safety to prevent marine accidents should be of utmost priority as many students embark on the vessel. This study estimated the impact of the hydrodynamic interaction forces acting on the model vessel (fishery training vessel) from the bank when the vessel pass near the semi-circle bank wall in various conditions through the numerical calculation, especially concerning maneuvering motions of the vessel. For estimation, variables were mainly set as the size of the semi-circle shape,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bank and the model vessel, and the depth near the bank. As a result, it was estimated that, in order for the model vessel to safely pass the semi-circle bank wall at a speed of 4 knots, the water depth to the vessel draft ratio should be 1.5 or more (approximately 8 m of water depth), and the lateral distance from the semi-circle bank wall should be 0.4 times the model vessel's length (Lpp) or more (a distance of 34 m or more). Under these conditions, it was expected that the model vessel would pass without significantly being affected by the bank wall.

Media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Space: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 Independence

  • Parshukova, Lesia;Loboda, Olga;Maha, Petro;Solomenko, Lina;Svanidze, Lia;Levytskyi, Volodymy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323-327
    • /
    • 2021
  • The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professional train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media technologies and methods of media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al space of the institution, characterizes the place of media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space in the context of the term "educational space" itself, systematizes the methods of media communications in education. The peculiarities of media education as a set of means and methods of teaching young people adequate media perception are pointed out.

분석과 인물 창조 과정에 있어 '자발성'의 발현 원리와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보알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rinciple of a Performer's 'Spontaneity' and its Adaptability in a Process of Text Analysis and Creating a Character Focused on the Concept of Augusto Boal)

  • 손봉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77-284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공연자로서 배우의 몸을 통해 발현되는 '자발성'의 원리를 살펴보고 그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대 배우들이 인물을 창조하기 위한 접근 및 훈련과정에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배우의 행동과 텍스트가 추구하는 본질적 기능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기예술의 토대를 이루는 핵심 원리를 재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자포라를 비롯한 마셜, 브루엘, 존스톤, 보알 등의 연기지도자들은 자발적 반응으로써 행동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들의 공통된 관점을 종합할 때 변화를 추구하고 이를 달성하고자하는 텍스트의 본질적 기능은 역설적으로 배우가 무대 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임무와 면밀하게 닿아있는 것이며, 이는 곧 예술가로서 배우 스스로가 선택하고 결정한 표현에 대한 책임과도 직결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분석과 행동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배우의 몸이 자발적 상태에 이르기 위한 접근 방법을 보알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실효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브레히트 연기실행도구를 이용한 연기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반복적 재현연기의 현존성 상실의 대안으로 - (A Study on the Modeling of Teaching Methods of Acting Using Brecht's Acting Tools - An Alternative to the Loss of Presence of Repetitive Representational Acting -)

  • 이지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03-116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연기론의 연결링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며 출발한다. 배우뿐만 아니라 연기교육자에 의해서도 수차례 논의되어 온 재현적 반복 연기를 통한 현존성 상실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줄 방안으로 브레히트의 연기론을 연구한다. 브레히트의 연기론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종래의 배우훈련의 대안으로써 이미 언급된 바 있지만 실제 적용이 가능한 연기 훈련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으로 브레히트 연기법의 실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목표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텍스트 기반의 모순 찾기와 신체 중심의 브레히트 연기론을 연구하고 그의 연기론이 텍스트와 신체 중심 연기론의 연결링크로써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텍스트 중심의 재현적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포스트드라마 연기론의 개념과 한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그리고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 중에서 텍스트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와 신체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를 구분하여 그가 사용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연기실행의 과정에서 도달하는 현존적 효과에 대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지도경험을 바탕으로 브레히트의 연기이론을 변형하여 개발한 연기교수법 학습모형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모형은 필자의 지도경험만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브레히트 연기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다양한 연기교수법 모형을 개발을 통해 현대 연기교육의 다양성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배우 훈련 방법의 대안으로서 메이어홀드 '인체역학'의 효용성 II - '인체역학'의 실제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Usefulness of Meyerhold's 'Biomechanics' as an Alternative for a Method of Actor Training II - Focused on the Actual Training Program of 'Biomechanics')

  • 조한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9-101
    • /
    • 2014
  • 배우 자신의 창작재료이자 동시에 표현매체인 정서와 신체를 체계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해 탄생한 '인체역학'은 스타니슬라브스키 '시스템'과 더불어 배우 연기 방법론의 최초의 본격적 접근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자극과 충동, 그로 인한 반응이라는 인간의 본능적인 메커니즘을 배우 스스로 터득하게 하는 '인체역학'의 심리 신체적 특징들은 감정 표현에 지나치게 집중되었던 자연주의식 연기 접근 방법의 새로운 대안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심리 신체적 특징으로서 유사한 출발점을 지닌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신체적 행동의 방법론'에 비해 '인체역학'은 한국 내 배우 교육과 훈련 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20세기 중반까지 러시아 내에서 메이어홀드 연구가 금지되었던 정치적 이유 때문이기도 하고, 연기예술이 갖는 무형의 특징들을 출판물, 특히 번역서에 의존하여 설명될 수밖에 없었던 전달의 문제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역학'을 한국 내 배우 훈련 방법의 새로운 대안으로 보고, 그것의 올바른 이해를 통해 실제 배우 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