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Principle of a Performer's 'Spontaneity' and its Adaptability in a Process of Text Analysis and Creating a Character Focused on the Concept of Augusto Boal

분석과 인물 창조 과정에 있어 '자발성'의 발현 원리와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보알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

  • 손봉희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 Received : 2020.03.18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thesis interrogates the term a performer's 'spontaneity' as the key principle to approach and enhance contemporary performer's training and acting. Drawing on a number of problematic issues, this thesis particularly examines the paradigm of the subtle bodily movement inform the experience of a performer's spontaneity as embodied and understood in approaching and adapting through text analysis and action. The in-depth proc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former's action and the transformative effects, is central to understanding and adapting the key principle of acting/training that a specific text would pursue through a specific performance by means of what a performer must do on stage. Following the discussion of acting in training and rehearsal, this thesis argues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way(s) and model of the performer's work via how the performer's action is sincerely emerged from the moment-by-moment rather than the performer anticipates what comes in the next and therefore pretend to do/be something/someone. Expanding upon the assumptions mentioned above, this thesis provides some pragmatic and descriptive work(s) from the practitioners' concepts and approaches that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nature of acting and its adaptability for contemporary performers.

본 논문의 목적은 공연자로서 배우의 몸을 통해 발현되는 '자발성'의 원리를 살펴보고 그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시대 배우들이 인물을 창조하기 위한 접근 및 훈련과정에서 흔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점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 그 대안으로 배우의 행동과 텍스트가 추구하는 본질적 기능과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기예술의 토대를 이루는 핵심 원리를 재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자포라를 비롯한 마셜, 브루엘, 존스톤, 보알 등의 연기지도자들은 자발적 반응으로써 행동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들의 공통된 관점을 종합할 때 변화를 추구하고 이를 달성하고자하는 텍스트의 본질적 기능은 역설적으로 배우가 무대 위에서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할 임무와 면밀하게 닿아있는 것이며, 이는 곧 예술가로서 배우 스스로가 선택하고 결정한 표현에 대한 책임과도 직결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분석과 행동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배우의 몸이 자발적 상태에 이르기 위한 접근 방법을 보알의 관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실효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 Brennan. (2016). The Energetic Performer, Singing Dragon, p. 73.
  2. 시실리 베리. (2016). 말에서 연극으로: 연출가, 연기 교사, 배우를 위한 핸드북, 이상욱 역, 서울: 도서출판 동인, p. 35, 53.
  3. B. Merlin. (2007). The Complete Stanislavsky Toolkit, Nick Hern Books, London, p. 19.
  4. V. Spolin. (1999). Improvisation for the Theater, North- western University Press Evanston, Illinois, p. 60.
  5. J. Goodridge. (1999). Rhythm and Timing of Movement in Performance: Dance, Drama and Ceremony, Jessica Kingsley Publishers, London and Philadelphia, p. 43.
  6. R. H. Hethmon. (1965). Strasberg: At the Actors Studio, Theatre Communications Group, New York, p. 180.
  7. B. Astbury. (2012). Trusting the Actor, Create Space In- 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p. 65.
  8. 앤 보가트, 티나 란다우. (2014). 뷰포인트 연기 훈련: 뷰포인트 콤포지션 메소드에 대한 가이드, 이곤 역, 비즈앤비즈, pp. 137-138.
  9. R. H. Hethmon. (1965). Strasberg: At the Actors Studio, Theatre Communications Group, New York, pp. 180-181.
  10. 빌 브루엘. (2018). 내적 행동 테크닉(The Technique of Inner Action), 표원섭 역, 중문, pp. 127-128.
  11. 빌 브루엘. (2018). 내적 행동 테크닉(The Technique of Inner Action), 표원섭 역, 중문, p. 128.
  12. L. Marshall. (2008). The Body Speaks: Performance and Physical Expression, Methuen Drama, London, p. 134.
  13. 메리 로우 벨리, 디나 레이. (2012). 어린 배우를 위한 액팅 가이드(Acting for Young Actors), 이곤 역, 비즈앤비즈, pp. 34-35.
  14. 루스 자포라. (2004). 액션 시어터: 존재의 즉흥, 박명숙, 송미경 역, 현대미학사, p. 44.
  15. 루스 자포라. (2004). 액션 시어터: 존재의 즉흥, 박명숙, 송미경 역, 현대미학사, pp. 41-42.
  16. L. Marshall. (2008). The Body Speaks: Performance and Physical Expression, Methuen Drama, London, pp. 35-36.
  17. 빌 브루엘. (2018). 내적 행동 테크닉(The Technique of Inner Action), 표원섭 역, 중문, p. 112.
  18. 키스 존스톤. (2000). 즉흥연기: 연기와 숨어있는 상상력에 관한 이야기(Impro: Improvisation and The Theatre), 이민아 역, 지호, p. 52.
  19. 아우구스또 보알. (1998).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메소드, 이효원 역, 현대미학사, p. 96.
  20. A. Brennan. (2016). The Energetic Performer, Singing Dragon, pp. 222-223.
  21. P. B. Zarrilli. (2012). '... Presence ...' As a Question and Emergent Possibility in Archaeologies of Presence: Art, Performance and the Persistence of Being, Routledge, p.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