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rylic Adhesiv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2초

포스트 접착 시멘트의 종류와 적용 방법에 따른 접착 효율 비교 (Comparison of the post cementation efficacy using different cements and methods)

  • 조옥인;이상진;박정길;허복;김현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9호
    • /
    • pp.680-6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ost cementation efficacy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cement delivery methods. A total of 40 extracted human single-rooted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two luting agents of Unicem applicap (3M ESPE, St. Paul, MN, USA) or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and cement delivery methods of direct cement application or lentulo spiral application. After restoration using glass?fiber posts, the samples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Three sections of 2 mm thickness were prepared from each specimen, and the post in each section was subjected to a push-out test.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t significant level of 95%. The Unicem had significantly higher push-out bond strength than Variolink and the lentulo spiral application made higher bond strength (p<0.05). Adhesive failure between cement and dentin was predominant in all groups. The Unicem of self-etch system and cement delivery using lentulo spiral showed clinically acceptable and comparable bonding strength for the fiber post.

The effect of thermocycling on the bonding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to access opening through porcelain fused to metal restorations

  • Al-Moaleem, Mohammed M.;Shah, Farhan Khalid;Khan, Nausheen Saied;Porwal, Ami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4호
    • /
    • pp.186-189
    • /
    • 2011
  • PURPOSE. Porcelain fused to metal (PFM) crowns provide the best treatment option for teeth that have a large or defective restoration. More than 20% of teeth with PFM crowns or bridges require non-surgical root canal treatment (NSRCT). This may be due to the effect of restorative procedures and the possible leakage of bacteria and or their by-products, which leads to the demise of the tooth pulp. Thus, this study was planned to compare the ability of the restorative materials to seal perforated PFM specimen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valuates the ability of amalgam, composite or compomer restorative materials to close perforated PFM specimen's in-vitro. Ninety PFM specimens were constructed using Ni-Cr alloys and feldspathic porcelain,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malgam (A), composite + Exite adhesive bond (B) and compomer + Syntac adhesive bond (C). All the PFM samples were embedded in an acrylic block to provide complete sealing of the hole from the bottom side. After the aging period,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3 equal subgroups according to the thermocycling period (one week for 70 cycles, one month for 300 cycles and three months for 900 cycles). Each subgroup was put into containers containing dye (Pelikan INK), one maintained at $5^{\circ}C$ and the other at $55^{\circ}C$, each cycle for 30 sec time. The data obtained was analyzed by SPSS, 2006 using one way ANOVA test and student t-test and significant difference level at (P<.01). RESULTS. The depth of dye penetration was measured at the interfaces of PFM and filling materials using Co-ordinate Vernier Microscope. The lowest levels of the dye penetration for the three groups, as well as subgroups were during the first week. The values of dye leakage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y time intervals in subgroups A and C. CONCLUSION. It was seen that amalgam showed higher leakage than composite while compomer showed the lowest level of leakage.

임시접착 후, 치면세마에 따른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의 레진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Resin Bond Strength of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by Surface Cleansing Method after Temporary Cementation)

  • 정승화;이진한;오상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3호
    • /
    • pp.259-268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 by removable method of temporary cement on the abutment tooth. Material and Method: Sixty molar teeth of human with the occlusal surface up were mounted in acrylic resin blocks. The 45 specimens were prepared to exposure dentin by diamond bur and the eugenol-containing temporary cement($Cavitec^{TM}$ ($KERR^{(R)}$, U.S.A)was applied to the dentin surfaces. After initial removal of the cement with a dental explorer,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15 specimens each. The dentin surfaces of the specimens were treated by rotary instrument with as follow pastes: $Zircate^{(R)}$ prophy paste(Dentsply, U.S.A), Radent Prophy Paste(Pascal company,inc. U.S.A), and Dental pumice(Wip mix corporation,U.S.A). An adhesive resin luting agent(Variolink $II^{(R)}$, Ivoclar Vivadent, Leichtenstein) including Monobond-S and $Excite^{(R)}$ was applied to all specimens. The ceramic specimens were made with an A1 ingot of IPS Empress $II^{(R)}$ (Ivoclar Vivadent, Leichtenstein). After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48hr, the shear bond strength(MPa) was measured by a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145641, Zwick, Germany) at a 1mm/min cross-head spee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In al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p>0.05). The pattern of most failure showed the mixed type of cohesive and adhesive failure. Conclusion: Resin bond strength of IPS Empress $II^{(R)}$ was not affected by removal method of the temporary cement.

자외선 경화형 2-EHA/AA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실리카 함량 및 경화제 효과 (Effect Of Silica Concentration and Crosslinking Agent on Adhesion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UV Cured 2-EHA/AA PSAs)

  • 김호겸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55-62
    • /
    • 2015
  • 자외선 경화를 통한 2-EHA/AA 점착제 제조 시 나노 충전제로 실리카를 도입하는 경우 실리카의 표면 처리 여부와 실리카 함량이 점착제의 점착 물성 및 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반복단위 길이를 가진 경화제에 따른 실리카의 보강 효과 차이도 관찰하였다.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과 고분자 매트릭스 간 계면 상호 작용으로 고분자 매트릭스 내 분산 정도를 높여 겔 함량의 저하 없이 0.3 wt%의 농도까지 점착 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화제로 PEGDMA를 사용할 때 분자 내 상대적으로 긴 에틸렌옥사이드 반복단위에 기인하는 분자 유연성으로 EGDMA를 사용한 계에 비해 실리카 보강 역할에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 분해 후 잔존량을 통해 실리카와 고분자 간 강한 계면 결합으로 인한 열 장벽 효과로 점착제의 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과용 접착제(Dental adhesive)를 사용한 제5급 복합레진수복물의 변연누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MARGINAL LEAKAGE OF THE CLASS V COMPOSITE RESTORATION WITH DENTAL ADHESIVE)

  • 정근철;박동수;이찬영;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135-144
    • /
    • 198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toration with 3 brands of dental adhesives by means of the dye penetration at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150 cavities of class V were prepar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75 extracted anterior and premolar teeth, which were devided into 3 groups.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composite resin, Silar$^{(R)}$ (3M) and Heliosit$^{(R)}$ (Vivadent) after application of the dental adhesives, specifically Scotchbond$^{(R)}$ (3M) which is essentially composed with halophosphorus ester of Bis-GMA, Dentin Adhesit$^{(R)}$ (Vivadent) which is polyurethane resin, and Enamel Bond$^{(R)}$ (3M) which is a product of Bis-GMA with low viscosity at internal surfaces and margins of the cavities.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37^{\circ}C$, 0.5%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after thermocycling at $4^{\circ}C$ and $60^{\circ}C$,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sectioned with diamond disk into two parts. The sectioned specimens observed with the light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group filled with Scotchbond$^{(R)}$-Silar$^{(R)}$ the other two groups at the enamel margins. 2.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marginal leakage had appeared between Dentin Adhesit$^{(R)}$-Heliosit$^{(R)}$ group an d Enamel Bond$^{(R)}$-Silar$^{(R)}$ group at the enamel margins. 3. Severe marginal leakage with penetration of dye to the floor of cavity had appeared from the all three group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existed between the three groups at the dentinal margins.

  • PDF

반응성 유화제를 이용한 피부용 수성 아크릴 점착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of Water-based Acryl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kin Using Reactive Emulsifier)

  • 이상철;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52-3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3-butenoic acid와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테르를 사용하여 비닐기를 가진 반응성 유화제를 합성하였다. 합성 반응성 유화제는 FT-IR 및 $^1H-NMR$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에서 합성된 반응성 유화제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여 각각의 점착제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56.8~57.4%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초기 접착의 경우, 반응성 유화제로 제조된 S20BA는 $^{\sharp}13$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접착제의 박리강도는 $0.66{\sim}1.05kg_f$의 범위에서 측정되었고 S20BA를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내열성 시험 결과, S20BA의 내열성이 $840^{\circ}C$로 가장 높았다. 피부용 접착제에 대한 응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H는 중성 7로 측정되었으며, 일차 피부 자극 시험의 결과로 비자극성으로 측정되었다.

점탄성 테이프를 적용한 적층형 블레이드 기반 충격저감장치 (Development of Laminated Blade Based Shock Absorber Using Viscoelastic Adhesive Tape )

  • 최재섭;박연혁;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6-93
    • /
    • 2023
  • 일반적으로 발사체의 페어링, 위성체 및 단 분리와 더불어 위성체의 전개형 구조물 분리 시 높은 신뢰도의 화약폭발 기반 파이로 분리장치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로부터 발생되는 파이로 충격은 짧은 시간에 높은 진폭의 하중이 발생함으로써, 위성 전장품 등 주요 탑재장비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상을 유발하여 임무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 구속분리장치의 폭발 시 전달되는 충격하중 저감을 목적으로 저강성 블레이드 기반 충격저감장치를 제안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은 저강성 블레이드 적용에 따라 발사진동환경 하 구조건전성 확보에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댐핑 특성 구현이 가능하도록 점탄성 테이프를 이용한 적층형 구조를 적용함에 있다. 상기 충격저감장치의 설계 유효성은 낙하추를 이용한 충격시험을 통해 입증하였으며, 발사진동환경 하 구조건전성은 전개형 구조물 모사 모델을 적용한 하중조건에서의 구조해석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All-in-one 접착제에서 초음파진동이 법랑질과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레진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LTRASONIC VIBRATION ON ENAMEL AND DENTIN BOND STRENGTH AND RESIN INFILTRATION IN ALL-IN-ONE ADHESIVE SYSTEMS)

  • 이범의;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8
    • /
    • 2004
  • 초기의 접착 시스템은 여러 단계의 술식을 필요로 하였으며 술자의 기술과 재료의 성질에 크게 좌우되었으나 최근 산부식, priming, adhesive를 한번에 적용할 수 있는 all-in-one adhesive system이 등장하였다. 치과에서의 vibration의 이용은 치석의 제거 및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는데 이용되어왔으며 vibration은 접착제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film thickness를 낮추어 수복물 주위의 미세누출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저자들은 all-in-one adhesive system에서 vibration이 법랑질과 상아질의 접착강도와 레진침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법랑질 시편은 발거 후 실온에서 0.1% thymol 용액에서 보관된 30개의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를 무작위로 10개씩 세군으로 나누고 근원심 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초음파진동여부를 다르게 하였고, 아크릴레진을 이용하여 직경 1-inch의 PVC관에 매몰한 후 협설면이 아크릴봉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220-, 600-grit 연마지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고 군당 10개씩 여섯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과 2군은 Prompt L-Pop(3M-ESPE, Seefeld, Germany), 3군과 4군은 One-Up Bond F(Tokuyama Corp., Tokyo, Japan), 5군과 6군은 AQ bond(Sun Medical Co., Kyoto, Japan)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도포하였다. 2군, 4군, 6군은 초음파 치석제거기를 이용하여 치면에 대고 15초간 진동을 가한 후 광중합하였다. 상아질 시편은 치관부 법랑질을 제거한 후 상아질면을 아크릴 봉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고 법랑질 시편과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후 직경 2mm, 높이 3mm의 Teflon mold(Ultradent, U.S.A.)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40초씩 두 번에 나누어 광중합한 후 24시간동안 실온에서 증류수에 보관하였다. 열순환 시행한 후, 만능측정기(Instron 4465)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Resin tag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각 군의 시편의 치질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사진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질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2, 4, 6군)은 가하지 않은 군(1, 3, 5군)에 비해 평균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 차이는 Ad bond 군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2. 상아질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2, 4, 6군)은 가하지 않은 군(1, 3, 5군)에 비해 평균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차이는 One-Up Bond F군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전자 현미경 관찰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에서 더 많은 법랑질의 소실과 상아질에서 resin tag의 길이가 길었고 lateral branch의 수도 많이 관찰되었다.

  • PDF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different adhesive systems and fiber-reinforced posts)

  • 박준호;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74-81
    • /
    • 2014
  • 연구 목적: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의 미세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술식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형 포스트로 수복한 치아에서의 치근부 미세누출에 대해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근관치료된 상악 영구 중절치를 3가지 포스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Zirconia-glass fiber, Quarze-glass fiber,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포스트 공간이 형성되었고 각 포스트는 세가지 접착시스템으로 접착되었다: 3-stage total-etch adhesive, 2-stage total-etch adhesive, 1-stage self-etch adhesive. 각 시편들을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1주일 동안 담구었다. 세척한 시편을 자가중합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각 시편을 치근단, 중앙, 치관 부위로 수평 절단하였다. 메틸렌 블루가 침투된 각 시편의 절단부를 교합면 측에서 stereomicroscope로 측정하였다. 시료 침투량은 메틸렌 블루 침투 표면과 총 상아질 표면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절단부위에서 모든 군들은 미세 누출을 보였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l Bond 2로 접착한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치아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와 quarze-glass fiber 포스트 간, zirconia-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 간에 미세누출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각각의 포스트의 치근단과 치관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quarze-glass fiber와 polyethylene fiber 포스트에서 치근단과 중앙 부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포스트 종류에 따른 접착 시스템 간에 미세누출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절단 부위별로 접착 시스템에 따른 포스트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일하게 3단계 접착시스템으로 처리한 포스트의 중앙절편에서 zirconia-glass fiber가 다른 포스트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동합금 행정박물에 적용 가능한 표면강화처리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pplicable Consolidants for Archival Objects of Copper Alloy)

  • 박창수;조현경;조남철;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62
    • /
    • 2012
  • 행정박물이란 공공기관의 업무수행과 관련된 유형적 증거물로, 독특하고 유일하며 특정 사건, 시간, 또는 인물을 표현하는 정보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근대문화유산으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행정박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체계적으로 분류 관리 보존하는 지침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 중 금속제 행정박물의 경우 보존처리 및 연구사례가 적고 복합적인 행정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일반화된 발굴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강화처리에 초점을 두어 동합금 행정박물의 표면강화처리에 알맞은 재료와 적용방법을 실험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Wax 3종과 발굴유물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선정하여 종류와 코팅방법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면관찰, 박막 두께, 접착력,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 황변실험 등 일련의 분석을 통해 코팅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아크릴계 수지를 행정박물에 사용해도 무방하나 기존에 사용하던 Wax B를 Dip-coating 한 후 가열처리하여 강화처리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