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n Applicable Consolidants for Archival Objects of Copper Alloy

동합금 행정박물에 적용 가능한 표면강화처리제 비교 연구

  • Park, Chang-Su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Ky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Nam-Chul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ang, Dai-Ill (Department of Conservation Scienc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박창수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현경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강대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2.02.06
  • Accepted : 2012.03.07
  • Published : 2012.03.20

Abstract

The archival objects are tangible evidence related to the public service. They are unique and offer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specific events, time or person. The archival objects as modern cultural heritage do not have the guideline to classify, manage and conserve them.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apply general conservation process for burial artifacts, because there are few study example of conservation for metal archival objects and they have complex administrative value. We tried to find suitable material and application method for consolidation of copper alloy archival object. We choose three kinds of wax and acrylic resin for burial artifacts and had done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haracterizations following kinds and coating methods. As a result of evaluation by several surface analysis such as optical microscope, measuring film thickness, adhesive strength, contact angle and yellowing test, acrylic resin can use to archival objects of copper alloy, effectively but the method of heating after dip-coating with Wax B used before can get best effect of consolidation.

행정박물이란 공공기관의 업무수행과 관련된 유형적 증거물로, 독특하고 유일하며 특정 사건, 시간, 또는 인물을 표현하는 정보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근대문화유산으로써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행정박물은 그 중요성에 비해 체계적으로 분류 관리 보존하는 지침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 중 금속제 행정박물의 경우 보존처리 및 연구사례가 적고 복합적인 행정적 가치를 지니고 있어 일반화된 발굴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을 적용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강화처리에 초점을 두어 동합금 행정박물의 표면강화처리에 알맞은 재료와 적용방법을 실험을 통해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Wax 3종과 발굴유물에 사용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선정하여 종류와 코팅방법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면관찰, 박막 두께, 접착력,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 황변실험 등 일련의 분석을 통해 코팅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아크릴계 수지를 행정박물에 사용해도 무방하나 기존에 사용하던 Wax B를 Dip-coating 한 후 가열처리하여 강화처리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행정박물 관리체계 구축 방안 ",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07).
  2. 강대일, "행정박물의 근대문화유산적 가치와 보존방향", 보존과학회지, 26, p69-76, (2010).
  3. 강대일, "행정박물의 보존과 미래가치 ", 보존기술 공동학술세미나, 국가기록원, (2009).
  4. 오승준, "대기오염에 의한 금속 코팅제(Wax)의 물성변화 연구-유해성 가스와 산성비의 영향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 Renaissance Wax, http://www.samheung.com
  6. Shellac, http://shellac.cafe24.com
  7. O. Chiantore, M. Lazzari, "Photo-oxidative stability of paraloid acrylic protective polymers". Polymer, 42, p17-27, (2001). https://doi.org/10.1016/S0032-3861(00)00327-X
  8. Rohm&Hass Company, "Acryloid(R) Thermoplastic solution Grade & solid grade Acrylic Resins for Solvent-borne Industrial Finishing", Rohm&Hass. (1992).
  9. 조현경, 조남철, "표면분석을 활용한 청동문화재 보존처리용 Paraloid B72의 용제별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22, p61-76, (2008).
  10. 조재흥, "파동광학". 테크미디어, (2003).
  11. Guilherme Veloso, Heleno Rocha Alves and Jose Roberto Tavares Branco, "Effect of Isothermal Treatment of Microstructure and Scratch Test Behavior of Plasma Sprayed Zirconia Coatings", Material Research, 7, p195-202, (2004). https://doi.org/10.1590/S1516-14392004000100026
  12. M. Barletta, A. Gisario, G. Rubino, L. Lusvarghi, "Influence of scratch load and speed in scratch tests of bilayer powder coating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Available online 5, (2008).
  13. Frank Butz, Hideki Aita, Kazuo Takeuchi, Takahiro Ogawa, "Enhanced mineralized tissue adhesion to titanium over polystyrene assessed by the nano-scratch test", Journal of Biomedical Materials, Research Part, 74A, p164-170, (2005). https://doi.org/10.1002/jbm.a.30281
  14. 김영호, "접촉각 측정 및 표면에너지", 공업화학전망, 8, 3, (2005).
  15. 허윤현, 금속유물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의 용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6. SK Energy, "물질안전보건자료", (2008).
  17. 박진구, 차남구, 신형재, 박장호, "접촉각 측정을 통한 불화 유기박막의 특성 평가", 한국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6, p39-49, (1999).
  18. 김신희, "에폭시수지의 자외선 노화 거동에 관한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