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te ion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초

슈도모나스 sp. X-8의 베타락타마제 억제제의 생산 조건과 특성 (Production Conditions and Characterization of ${\beta}$-Lactamase Inhibitor from Pseudomonas sp. X-8)

  • 김경자;김태성
    • 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58-665
    • /
    • 1997
  • Identification of a soil microorganism strain X-8, producer of ${\beta}$-lactamase inhibitor, based on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The strain X-8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The beta-lactamase inhibitor produced by this strain was highly achieved in fermentation medium contained glucose 0.5%, urea 0.25%, $K_2HPO_4{\cdot}3H_2O\;0.5%,\;MgSO_4{\cdot}7H_2O\;0.5%,\;FeSO_4{\cdot}7H_2O\;0.01%,\;CuSO_4,\;ZnSO_4,\;MnSO_4\;0.02%$.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not extracted by organic solvent such as n-butanol and ethyl acetate but remained in aqueous layer. The n-but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 smegmatis.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stable at pH 7.0~8.0 and 4$^{\circ}C$ for 24h. The ${\beta}$-lactamase inhibitor was bound on ion exchanger Diaion WA-30 and HP-20 and eluted with 2N-$NH_4OH$ and acetone, respectively.

  • PDF

$MoH_2O_2(NCS)_3(C_5H_5N)_2$의 합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ynthesis of $MoH_2O_2(NCS)_3(C_5H_5N)_2$)

  • 최규원;오준석;이광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0-173
    • /
    • 1963
  • A tri-thiocyanate molybdenum (Ⅴ) complex containing pyridine has been prepared by one step process; namely, the solvent extraction of molybdenum (Ⅴ)-thiocyanate complex into organic solvents followed by precipitation of the compound by addition of pyridine to the extract. It is concluded that the compound has a definite composition regardless of the various mole ratios of molybdenum to thiocyanate ion employed in the preparation. The use of hydrazine as the reducing agent eliminates the necessity of working under inert atmosphere and of further purification of the product. Molybdenum (Ⅴ)-thiocyanate (1:3) complex can be quantitatively and selectively extracted with slightly polar organic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and the pyridine complex is quantitatively obtained due to the insolubility of the compound in them. The oxidation state of molybdenum in the compound is + 5 and the formula appears to be $MoH_2O_2(NCS)_3Py_2$ from the contents of Mo and NCS in the compound. The solubility of the compound in various has been studied at $25^{\circ}C$.

  • PDF

Antioxidant Properties of Ginseng (P. ginseng C.A. Meyer) Extracts by Organic Solvent Fractionation

  • Kim, Ji-Sang;Moon, Gap-Soon;Kim, Hyun-Oh;Lee, Young-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67-272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Panax ginseng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including n-hexane, chloroform, EtOAC, n-butanol and water. Among the various ginseng extracts, ethyl acetate (EtOAC) extracts showed the most powerful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radicals. Among the other solvent extracts, the butanol extract seemed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scavenging activity, followed by chloroform, water and hexane extracts. Moreover, the highest reducing power and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were found in the EtOAC extract followed by other extracts of ginseng. EtOAC extracts, which exhibited the best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 solvent extracts of ginseng, possesse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phenolics (777.61 mg/100 g) than other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OAC extracts of ginseng (P. ginseng C.A. Meyer) have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n-hexane, chloroform, n-butanol and water tested in this study, and has important applications for the pharmaceutical and food industries.

Suppression of Co-intercalation on the Carbon Anode by MA Addition in a PC-base Electrolyte

  • Kim, Woo-Seong;Park, Dong-Won;Jung, Hwan-Jung;Choi, Yong-K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82-86
    • /
    • 2006
  • Propylene Carbonate (PC) has the interesting properties of being able to dissolve and dissociate lithium salts, thus leading to highly conducting electrolytes even at low temperatures. Moreover, electrolytes that contain PC are stable against oxidation at voltages up to ~5 V. However, it is known that, when lithium is intercalated into graphite in pure PC based electrolytes, solvent co-intercalation occurs,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the graphite structure. (i.e., exfoli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ppress PC decomposition and prevent exfoliation of the graphite anode by co-intercalation.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using Kawasaki mesophase fine carbon (KMFC) in different 1 M $LiPF_6$/PC-based electrolytes. Electrochemical experiments were completed using chronopotentiometry, 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rom the observed results, we conclude that the MA and $Li_2CO_3$ additive suppressed co-intercalation of the PC electrolyte into the graphite anode. The use of additives, for reducing the extent of solvent decomposition before exfoliation of the graphite anode, could therefore enhance the stability of a KMFC electrode.

Crystal Structure of β-Carbonic Anhydrase CafA from the Fungal Pathogen Aspergillus fumigatus

  • Kim, Subin;Yeon, Jungyoon;Sung, Jongmin;Jin, Mi 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9호
    • /
    • pp.831-840
    • /
    • 2020
  • The β-class of carbonic anhydrases (β-CAs) are zinc metalloenzymes widely distributed in the fungal kingdom that play essential roles in growth, survival, differentiation, and virulence by catalyzing the reversible interconversion of carbon dioxide (CO2) and bicarbonate (HCO3-). Herein, we report the biochemical and crystallographic characterization of the β-CA CafA from the fungal pathogen Aspergillus fumigatus, the main causative agent of invasive aspergillosis. CafA exhibited apparent in vitro CO2 hydration activity in neutral to weak alkaline conditions, but little activity at acidic pH. The high-resolution crystal structure of CafA revealed a tetramer comprising a dimer of dimers, in which the catalytic zinc ion is tetrahedrally coordinated by three conserved residues (C119, H175, C178) and an acetate anion presumably acquired from the crystallization solution, indicating a freely accessible "open" conformation. Furthermore, knowledge of the structure of CafA in complex with the potent inhibitor acetazolamide, together with its functional intolerance of nitrate (NO3-) ions, could be exploited to develop new antifung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vasive aspergillosis.

박달나무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연구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ctivity of Phenolic Components Isolated from Betula schmidtii)

  • 왕다혜;정하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53-559
    • /
    • 2021
  • The aim of study to investigate the phytochemicals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bark of Betula schmidtii. The studies consisted of the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the isolation of phenolic components 1~3 from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Betula schmidtii Bark.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arbutin (1), ρ-coumaric acid (2) and ferulic acid (3) using Ultraviolet-Visible (UV-Vis) Spectrophotometer,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negative ion mode),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13C-NMR, 1H-1H Correlation Spectroscopy (COSY) and 1H-13C Hetero Nuclear Multiple Quantum Correlation (HMQC) spectral data. Compounds 1~3 shows the anti-oxidant effect with IC50 values of 29.74±1.52, 21.32±1.07 and 34.41±1.24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lso, compounds 1~3 exhibit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31.14±1.07, 42.54±1.46 and 69.22±1.43 µM, respectively.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0-2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천연 소재를 찾고자,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수득율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은 23.9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2.66%, 아글리콘 분획은 1.60%으로 나타났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력($F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2.27{\mu}g/m$)에서 비교적 큰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활성산소 소거활성($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3{\mu}g/mL$)에서 비교물질로 사용한 L-아스코르빅산($1.50{\mu}g/mL$)의 총항산화능보다 약 5배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추출물 역시 비교물질과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추출물의 ${\mu}g/mL$ 농도 범위($5{\sim}50{\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5{\mu}g/mL$의 농도에서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인 (+)-${\alpha}$-토코페롤과 비교했을 때, 약 3 배정도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IC_{50}$)은 $29.20{\mu}g/mL$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226.88{\mu}g/mL$)보다도 약 7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는 Gram (+) 세균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TLC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한 다양한 성분의 peak 중에서 2개의 peak (TLC, AP 1-1 및 AP 1-3)를 확인하였으며, LC/ESI-MS/MS의 negative ion 모드에서 HPLC peak 1 (AP 1-3)은 분자 이온 $[M-H]^-$이 m/z 329.1, HPLC peak 2 (AP 1-1)는 m/z 343.3로 나타났다. 따라서 AP 1-1은 eupatilin으로, AP 1-3은 jaceosidin 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효능 그리고 피부 상재군에 대한 항균활성 등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된다. 추가적으로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성 성분을 이용한 피부 흡수 증진 시스템 개발과 제형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흐름주입분석법에 의한 음용수 중 알루미늄 이온의 분광광도법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Aluminium Ion in Drinking Water by Flow Injection Analysis)

  • 최용욱;진재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22-428
    • /
    • 2000
  • 흐름 주입 누석법에 의한 알루미늄 이온의 최적 부석 조건을 확립하였다. Eriochrome Cyanine R(ECR) 염료는 pH 6.0에서 알루미늄과 반응하여 535nm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이 반응을 흐름 주입 분석법으로 도입하기 위해 혼합 및 반응 코일이 길이, 아세트산 완충용액의 놀도 및 pH, 온도, 시료 주입 부피를 포함한 반응 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그 결과 혼합 및 반응코일의 길이는 각각 0.5 m와 4 m,아세트산 완충용액의 pH와 농도는 각각 0.6 및 1M,ECR의 농도는 0.56 mM, 반응온도는 40$^{\circ}C$,시료 주입량은 300 ${\mu}L$,최대흡수 파장은 535nm 이었다. 이런한 조건하에서 알루미늄 이론의 검출한계는 0.05mg/L 이하이었고, 반복성은 1%이하로 우수하였다. 시료 측정 주기는 시간당 24회 주입이 가능하였다. 또한 $F^-$, HP$O_4^{2-}$, $Fe^{2+}$, $Fe^{3+}$, $Mn^{2+}$ 이온 및 그타 음이온류의 공존시 방해 현상을 알아본 결과 1,000 mg/L까지는 방해를 일으키지 않았고 $SO_4^{2-}$ 이온은 2,000 mg/L까지도 거의 방해를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전주 및 고창 지역의 상수 및 지하수 중 알루미늄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전주 지역 상수 중에는 평균 0.478 mg/L, 고차지역 상수 중에는 0.278 mg/L로서 전주 지역이 높게 나타났고, 지하수는 전주지역이 0.386 mg/L로서 전주지역이 더 낮게 나타났다.

  • PDF

${\iota}$ -Sparteine으로 변성된 Carbon Paste 전극을 사용한 Co(II) 이온의 펄스 차이 전압-전류법 정량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Co(II) Ion with a Chemically Modified Carbon Paste Electrode Containing ${\iota}$ -Sparteine)

  • 정의덕;원미숙;박덕수;심윤보;최성낙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881-887
    • /
    • 1993
  • 코발트(II) 이온의 정량을 위해 ${\iota}$-sparteine(SP)으로 변성된 탄소 반죽 전극(carbon paste electrode : CPE)을 제작하였다. 수용액 중의 코발트 이온을 CPE에 처리시킨${\iota}$-sparteine과 반응시켜서 착화합물 상태로 전극표면에 석출시킨 후, 이 착물을 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또한 변성된 CPE의 전극반응을 순환 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아세트산/아세트산염 완충용액에서 조사하였다. 한번 사용한 전극은 산용액으로 처리하여 5회 이상 재사용할 수 있었다. CPE에 흡착된 Co(II)-SP 착물의 산화환원 전위는 0.17V / 0.27V였으며 산화피이크는 0.17V의 환원피이크를 지나야 나타나는 피크이다. 이는 전극표면의 SP와 용액내의 Co(II)이온이 착물을 형성하여 흡착되고, 이 전극표면에 형성된 착물이 산화환원되어 나타나는 피이크이다. 펄스차이 전압-전류법을 사용할 경우 $2{\times}10^{-7}$M 농도까지 직선적으로 감응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때의 상대표준 편차는 ${\pm}$5.6%이었다. 이 경우 검출한계는 $1.0{\times}10^{-7}$M이었다. 리간드와 착물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금속이온에 대한 방해작용을 조사하였다.

  • PDF

염류집적 유형이 다른 토양의 교환성 양이온 측정 (Determin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n Soils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Salt Accumulation)

  • 이예진;윤홍배;김록영;이종식;송요성;성좌경;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5-142
    • /
    • 2012
  • 염류집적 토양의 교환성 양이온을 분석할 때 수용성 양이온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 교환성 양이온이 높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수용성 양이온을 제외한 교환성 양이온을 측정하여야 한다. 수용성 양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 중 알콜 등으로 세척을 하거나 전체 양이온을 구한 후 포화 용액 중 녹아있는 수용성 양이온을 빼는 방법이 있다. 본 실험 결과 시설재배지 토양의 경우 전처리에서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나, Na 함량이 높은 간척지 토양은 포화용액에 녹아있는 수용성 양이온을 빼야 정확한 교환성 나트륨을 구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EC_e$가 4 이하인 토양에서는 수용성 양이온을 제외할 필요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