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djustment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18초

3년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 최예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3-432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06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6 to December 13, 2012.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al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v 20.0. Result: The mean scores of ego-identity ($3.53{\pm}48$),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3.41{\pm}.42$), and college life adjustment ($5.27{\pm}.91$) were above average. College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go-identity,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health state. Ego-identity,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health state were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53.2%).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go-identity, academic performance, and perceived health state to help nursing students to adjust to their college life more effectively.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과 청소년의 적응 (Parental Expectation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djustment Behaviors)

  • 이재구;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45-15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ental expectations to adolescents'psychological, behavioral, school-bas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59 adolescents(177 boys and 182 girls) in Cheong-ju C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ffect of parental expectations of academic performance on adolescents'adjustment according to sex of adolescents'. Maternal pressure, support form mothers, and paternal pressure wer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adolescents'relative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upport and pressure from mothers we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behavioral adjustment. The research suggest that maternal pressure was the strongest risk factor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parental expectations of academic performance on adolescents'adjustment.

  • PDF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예원;이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4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여자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인천지역의 전문여대 신입생들 178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을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적응 및 학업 지도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서명자;오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15-82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소득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과 학업수행에 관한 종단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Early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 이은해;이정림;김명순;전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5-82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 terms of both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176 children aged 5 to 7 and their mothers. They participated in follow up studies over the next 3 years. The children were tested using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s and language tests; and classroom teachers rated their levels of both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Mothers reported parent-child relationships, maternal depression, and family economic resource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rect effects of language abilities,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maternal depression up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t was also revealed that language abilitie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 최옥;이우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55-46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G시에 있는 세 곳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 713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로계수와 적합도지수가 유의하여 경로모형이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학업소진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학업요구로 인한 학업소진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개인변인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잘 발달되어있다면 학교부적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기효능감과 같은 심리적 요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이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mployment Capability Reinforcement Programs for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성열훈;김성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55-363
    • /
    • 2013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북 소재 1개 대학교의 보건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수행 후 만족도 및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아진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적응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높아져 향후 취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 적응을 높이고 취업 활성화를 위한 환경 마련을 위해 학과 특성에 맞는 취업관련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 Nursing School)

  • 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0-87
    • /
    • 197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a nursing school. 172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were divided into higher & lower 12 percent. Tools & measure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interest test, personality test, test of self-concept, test of adjustment & school achievement. The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actors affecting school achievement except intellectuality were thus : 1) Artistic interest, literary interest, scientific interest biological & scientific interest -physical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 2) Sociability, reasonability, depression & refractiveness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3) Self criticism, total positive self-score, & personal self - score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4) Adjustment to school, personal economics, health & value Moralit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2. Correlation between school achievement & interest, personality, self-concept or adjustment in the higher 81 lower group were thus; 1)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 the following: artistic interest, scientific interest-biological, scientific interest-physical, out-door interest, refractiveness, sociability, responsibility, depression, self satis faction- score, personal self -score, social self - score, self behavior score, adjustment to school, health & values morality in the higher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factors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ower group. 3. Difference or difference in relationship between higher & lower group in the interest, personality, self-concept & adjustment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er & lower group in artistic -interest. literary interest, scientific interest-biological , out-door interest, sociability, depression, refractiveness, self criticism, total positive self score, personal self score, adjustment to school, personal economics, health & values moralit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s between higher & lower group in artistic interest, scientific interest, scientific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s between higher 8E lower group in artistic interest, scientific interest -biological, out -door interest , sociability, responsibility, refractiveness, depression, self identity score, self satisfaction score, adjustment to school, health, personality & value morality.

  • PDF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 양남영;문선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42
    • /
    • 2013
  • Purpose: The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208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1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mean scores of health status ($3.20{\pm}.56$), social problem ability ($3.20{\pm}.43$), and college adjustment ($2.95{\pm}.57$) were above the average. But health promoting behaviors ($2.31{\pm}.39$) was the average. Health statu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dwelling, and academic achievement.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Colleg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grade, religion, dwelling, reason of nursing department appli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social problem 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social problem ability and college adjustment. Health promoting behaviors, social problem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and gender were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adjustment (47.3%).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considered 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to improve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Will also reflect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desirable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

  • 김성봉;성나미;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45-151
    • /
    • 2017
  • 대입지향의 학교교육의 현실에서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학교생활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한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를 완화하면서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조절변인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주목적을 두고, 제주지역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군집표집을 통해 496명을 추출하고, 변인 간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 그리고 학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반면, 학교생활적응과 자아탄력성 간에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변인 전체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자아탄력성 하위요인의 하나인 낙관성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많은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를 조절하여 학교생활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낙관성 수준을 높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낙관성은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학교생활부적응에 대한 하나의 보호요인이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낙관성을 보다 강화시키기 노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