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 level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8초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 Koo, Min Ju;Park, Jong K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62-173
    • /
    • 2022
  •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5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t university A on the variables (behavioral control,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cognitive learning)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relatively larg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The average values of non-face-to-face teaching-learning for each variable were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of face-to-face teaching-learnin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on the detailed factors of each variable, negative responses were relatively high in factors such as 'concentration of behavior' in behavioral control, 'level-considered explanation' in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and 'knowledge understanding' in cognitive learning.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중학교 수학과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10 to 2012)

  • 이광상;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2호
    • /
    • pp.237-25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의 도출을 통해 교수 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계속 출제된 성취기준에 해당하는 문항을 심층 분석하였다. 각 성취수준별 학업성취 특성을 도출한 결과, 우수학력은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용어와 기호의 의미, 수학적인 여러 가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통학력의 경우에는 일차함수의 활용, 평면도형의 성질과 입체도형의 성질을 활용 하는 문항에 대해서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의 경우에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 파악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학습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가정환경 변인과 학업성취에 관한 어머니의 교육신념이 유아의 사교육 실태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ed on Home Environment Factors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1-9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ributor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home environmental factors(financial capital,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nd maternal belief about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child's effort, child's ability, teacher's instruction, and maternal teaching). One hundred and seventy three mothers whose preschool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u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Kinlaw et al.(2001)'s Importance of Effort/Ability Scale was used to assess the mother's belief about th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Stipek et al.(1992)'s Activities Sub-scales was revised to measure a social capital, that is the mother's formal and informal activities providing to their preschool child. Educational level was utilized as human capital and monthly income was considered as financial capital. Also, using open ended questions, the subjec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number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their child was presently attending, and when he or she began to attend the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n general, the mothers provided informal activities to their preschool child more than formal activities. Also, they believed the teacher's instruc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hild's ability the least important in their child's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predict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belief on their child's ability. The age of star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ere explained by mothers' formal activities and their educational level.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truction with Leveled Reciprocal Peer Tutoring Activ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 Attitudes )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393-417
    • /
    • 2023
  • 본 연구의 필요성은 수준별 상호또래교수를 통하여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또래교수를 위해 단원마다 수준별 수업을 하는데 필요한 학습 방안과 내용의 선정을 모색하고 둘째,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학습 지도 활용에 필요한 수준별 활동지를 개발하며 셋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를 신장시킨다. 연구 대상을 00광역시 00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60명으로 하였다.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성적으로 평균이 매우 유사한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1반을 실험군 다른 1반을 비교군 으로 나누어 2020년 5월 1일부터 7월 4일 까지 13차시 수업을 실시하였고 학습량은 같이 하였다. 실험군(30명)은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한 반이고 비교군(30명)은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을 한 반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원에 따른 학습 내용을 설정하고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으로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한 실험군은 상위군, 중위군, 하위군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하여 수업한 비교군과 비교하여 보면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수준별 상호또래교수 활동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하위군 학생들도 수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수학학업성취도에 향상을 보였다.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용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Effective Use of Teaching Aid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 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39-53
    • /
    • 2018
  • 지금까지의 수학 교구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에서 제시한 교구의 활용을 통하여 나타난 학업성취도의 변화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구 활용에 대한 변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중에서 교구의 활용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조사하여,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의 제시하고, 현재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앞으로 교구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7)에서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에 제시한 교구를 기준으로 앞으로 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플립드러닝 기반 PBL 모형 중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 (Effectiveness of 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 원영미;박양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85-19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기반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영어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최근 들어서, 플립드러닝과 PBL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고등학교 교과 수업에의 적용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의 시도는 이론적, 실제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업 모형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구체화시켰고, 수업 개발은 일반적 설계 절차(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를 따랐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영어 학업성취도 검사와 영어과 핵심역량 검사를 수업 처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핵심역량과 성취도 검사 수행 수준(상위, 하위)이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미치는 효과의 양상은 혼합모형 반복측정 분산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모두 상승하였으며, 성취도 검사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플립드러닝 기반 PBL 수업은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수업 방법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 : 빈곤 및 비빈곤 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Using 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 박현선;이현주;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183-206
    • /
    • 2011
  • 본 연구는 학업성취와 학교만족도간의 종단적 관계의 양상이 빈곤집단과 비빈곤 집단에서 어떻게 차이 나는지를 규명하고자 1차년에서 5차년까지의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완전 기회귀교차지연분석(Full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비빈곤 집단은 초등학교 4학년 학업성취수준이 초등학교 6학년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중학교 2학년 학업성취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초등 시기의 학업성취가 학교만족도 및 중등시기의 학업성취에 까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곤집단의 경우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학업성취는 중학교시기의 학업성취 및 학교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다만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학교만족도가 중학교2학년 학업성취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시기에 학업성취가 좋았던 빈곤 아동들도 중등 과정에서는 그렇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비빈곤 아동과 빈곤아동에 대한 학업성취 지원을 위한 교육적 접근도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비빈곤 아동의 경우 직접적인 학업지원을 통해 학업적으로 낙오되는 아동들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학교만족도 증진 전략이 될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로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빈곤아동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학습지원보다 우선적으로 학교와의 애착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 병행 또는 선행되어 학교만족도를 높여주고,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를 높여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중등교육과정의 학업성취 지원전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복지접근의 중요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 임희준;최경숙;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7-14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를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라 비교하였다.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에서는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보다 많이 부여하고, 고급 사고 수준의 활동이 포함된 과제를 학습자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은 소집단 토론을 통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였고, 개별학습 집단은 동일한 활동지를 개별적으로 해결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은 교사 설명 위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남녀 공학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으며,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총 10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협동학습 집단의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개별학습 집단이나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도 협동학습 집단이 보다 긍정적이었다. 모든 변인에서 수업 처치와 학습자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효과적이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과 학업 성취도의 영향요인;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Factors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es: A Mediation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 현일선;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43-34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 능력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G시의 일개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 1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대인관계능력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으며, 대인관계능력과 학업성취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관리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해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중요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리를 위한 교육 전략의 개발과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업성취도 예측 시스템: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Learning Ability Prediction System for Developing Competence Ba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ase of D-University)

  • 김성국;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67-277
    • /
    • 2022
  •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란 대학교육을 통한 결과로서 학생들이 구현한 질적 변화와 발달의 수준이라는 포괄적 의미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창의성, 리더십, 글로벌 역량 등 다양한 인재상에 대한 시대적, 사회적 요구와 연계되어 그 의미를 부여하게 되지만 실질적으로 대학교육의 성과지표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학점으로 귀결 되고 있다. 이러한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측정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평가 방식과 내용 그리고 대학의 서열화 효과 등에 의해 학점을 통한 학업성취도의 표준화는 매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D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의 우수 여부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사용된 변수는 일부 개인정보와 졸업연도, 학번, 학과명, 계열명 등의 학사 정보 등 최대 96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나 개인정보나 학과정보 등은 이미 결정되어 노력에 의해 변경될 수 없는 데이터이므로 분석 대상이 될 항목은 이미 결정된 데이터를 제외한 학과별/학생별 역량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권 소재 전문대학인 D대학의 미션, 비전, 교육목표 및 인재상 등이 반영된 핵심역량의 분석을 통해 학업 성취도 예측시스템을 구현해 보고, 해당 시스템의 도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예측하기위해 진행되었다. 향후 연구결과를 학과에서 진행되는 교육과정 수립 및 학생 지도 등에 적용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데 활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