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Motivation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7초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Choice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areer Maturity)

  • 문은조;오지원;김용석;박정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61-168
    • /
    • 2023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C도 소재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전공선택 개인적동기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전공선택 개인적동기(r=.417, p=.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공선택 사회적동기, 학업성취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로성숙도의 영향요인은 전공선택 개인적 동기, 경제활동, 전공계열 순이었으며 설명력은 24%이었다. 따라서 전공과 관련있는 분야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대학차원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여지며 전공선택시 개인적동기가 중요한 만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체험이나 미래 직장체험등의 기회를 폭넓게 제공하여 전공선택시 개인적 동기를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중·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High School Student)

  • 김청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48-1156
    • /
    • 2013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 및 학업성취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의 중 고등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검사와 자기결정성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 고등학생 모두 자기효능감 합계와 학업성취와 정적상관이 있었다. 자기결정성 동기에서는 중학생은 자기결정성 동기의 하위 요인 모두가 학업성취와 상관이 있었던 반면에, 고등학생은 하위 요인 중에서 동일시조절, 통합조절, 내적 동기와 학업성취 사이에 정적상관이 있고, 무동기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에서 중학생은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이, 고등학생은 과제 난이선호도와 자기조절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자기결정성동기 하위요인 중에서 중학생은 내사조절이, 고등학생은 동일시조절이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Changes in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Test Scores by Private Tutoring Hours)

  • 정윤경 ;이민혜 ;우연경 ;봉미미 ;김성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03-12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교과별 학습동기 및 인지·행동전략으로 이루어진 학습전략 사용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5년 당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의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사용에 도움을 준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으며, 학업성취도 역시 영어와 수학교과에 한해서만 통계적으로 미미한 수준에서 사교육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사교육보다 오히려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러닝 프로그램의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효과 - 외재적/내재적 학습동기 향상을 중심으로 (The Academic Effect of G-learning Method on the Motivation of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태연;위정현;이순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3-51
    • /
    • 2012
  • 이 연구는 G러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내재적/외재적 학습동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나누어 G러닝 학습방법으로 수학수업을 진행한 후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학습동기의 하위유형 중 학습 자체에 대한 자신의 흥미를 의미하는 내재적 동기의 향상도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집단은 타인의 영향에 의한 외재적 동기의 향상도가 실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G러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자발적 학습동기를 증진시킨다는 점을 시사한다.

대학신입생 학업동기 향상을 위한 동기유발학기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K 대학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Motivation Semester" Program among University Freshmen : Focused on K-University)

  • 한우석;김진경;이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522-530
    • /
    • 2013
  • 본 연구는 K 대학에서 실시한 동기유발학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K 대학의 동기유발프로그램은 전국 대학 최초로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동기 증진을 위해 실시되었다. 4주간 리더십 캠프, 전공몰입교육, 진로탐색 캠프 등의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가한 K 대학 병원관리학과 및 사회복지학과 등 4개 학과의 신입생 196명을 대상으로 단일 사전-사후설계(one group pre-post test design)를 실시하였다. 학업동기의 사전, 사후 평균차이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전과 후의 학업동기 평균은 t값 -2.523으로 유의수준(p<.05) 이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동기유발학기 프로그램이 대학신입생의 학업동기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대학신입생의 학업동기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산이 요구된다.

게임 제작을 통한 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 대한 경로분석 (Path analysis for academic self-efficacy, the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on the learning through game making activity)

  • 박형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3-40
    • /
    • 2012
  • 본 연구는 게임제작 활동을 통한 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컴퓨터 학습태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게임을 통한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참여와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과제난이도,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동기와 컴퓨터 학습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학습자의 신념, 과제 수용태도, 학습과정을 조절하는 요인이 활동중심 학습이 중심이 되는 디지털 게임을 통한 학습에서 중요한 요인이었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 성취도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 김태훈;윤태형;김요섭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7
    • /
    • 2011
  • 목적: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상관이 있는지와,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과 낮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K대학교 보건계열 1학년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를 활용하여 45분 동안 183문항을 조사하였다. 결과: 성격적 특성 중 효능감과 실천력이 학업성취도와 의미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동기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학업성취도가 학습동기와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회피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여 주었다. 학업성취도와 행동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8개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높은 학업 성취군과 낮은 학업성취군 사이의 학습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성격적 특성에서는 두 그룹사이에 효능감과 실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적 특성에서는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이 우울을 느끼는 정도가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적 특성에서는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은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회피 동기에서는 반대로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동적 특성의 사용능력에 있어서는 8개요인 모두에서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업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이들이 높은 학업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에 비해 학습전략의 사용 능력에 있어서 뒤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대학 교육과정에서 교양이나 전공과목의 개설 뿐 아니라 학습전략의 효과적 사용을 위한 특강이나 세미나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팀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flective journaling in team learning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learners)

  • 박인숙;김미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849-85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eam learning by having learners keep a journal to record, check and reflect on their own learning. It's bas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m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eaching-learning strategy setting tailor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 college sophomores.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of 24 students engaged in team learning from March to June, 2012, and that group was asked to keep a reflective journal every week to determine whether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in every session served to boost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r not. Results : 1.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 reflective journal, that group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learning motivation from a mean of 3.34 in the pretest to a mean of 4.01 in the posttest(p<0.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positiv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2.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kept a reflective journal, they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from 22.7 in the pretest to 23.5 in the posttest(p<0.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s :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keeping a reflective journal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he learners,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new teaching method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 최주영;김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87-9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습무동기 감소와 자아존중감향상에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 3학년 14명의 학생들을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배치하여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 값을 활용하는 대응표본 t 검증과 실시여부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상으로 6회기 운영되었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무동기의 점수가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헙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학습무동기 수준이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했으며, 후속연구를 위해 제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