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scisic acid (ABA)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9초

전기영동에 의한 피마자 자엽과 뿌리에서 Abscisic acid(ABA) 처리에 의한 단백질의 분석 (Electrophoretic Analysis of Cotyledons and Roots of Ricinius communis L. by Abscisic Acid(ABA) Treatment)

  • 조봉희;박선영;이종호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13-19
    • /
    • 1996
  • 피마자 자엽을 ABA로 처리하였더니 53, 54, 56, 58과 73.5kD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유도되었다. 이 중 54와 56kD는 외부배지에 주어진 ABA의 농도가 증가되면 더 증가되었다. 뿌리는 ABA로 처리하면 35, 49, 53, 54, 62, 65 와 79kD가 유도되었다. 자엽에서는 73.5kD와 뿌리에서는 62kD를 제외하면 이들 유도 단백질들도 저온처리 때 유도되는 단백질들과 같지 않았다. 49, 58와 79kD는 단백질 합성 방해물질인 cycloheximide(CH)와 상관 없이 계속 유도되어 미래의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 PDF

Improvement of ex vitro acclimatization of mulberry plantlets by supplement of abscisic acid to the last subculture medium

  • Huh, Yoon Sun;Lee, Joung Kwan;Nam, Sang 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31-437
    • /
    • 2017
  • Mulberry (Morus sp.) of the family Moraceae is very economically important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because its leaf and fruit have been commercially used in sericulture and horticultural indus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optimal production system for rapid and cost-effective propagation of mulberry. Our studies focused on establishing an acclimatization method for the successful plantlet production of new cultivar 'Cheongsu' which was transferred ex vitro after in vitro culture. In particular, effect of abscisic acid (ABA) addition into the last subculture medium on plantlet response to subsequent ex vitro transfer and its growth was investigated. During acclimatization,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of ABA-pretreated plantle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n-treated plantlets. Net photosynthetic rate of ABA-pretreated plantlets decreased after ex vitro transfer but increased after 14 days, and it was mostly higher than that of non-treated plantlets. Moreover, relative water content as well as chlorophyll contents and its ratio were also higher in ABA-pretreated plantlets. On the other hand, proline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in control plantlets. After 1 month of ex vitro transfer, survival rate of ABA-pretreated plantlets was 85.6%, which increased by 29.1% in comparison with control (56.5%). More vigorous growth was also observed in ABA-pretreated plantlet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application of ABA to the last subculture medium could improve acclimatization and promote survival of mulberry plantlets after ex vitro transfer, inducing water stress tolerance and alleviating abiotic stresses.

주요 경제 수종의 수분 특성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 토양수분 조건 및 ABA 처리에 따른 참나무류와 물푸레나무 기공의 시계열적인 변화 반응 -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 - Temporal Changes of Stomatal Responses to Soil Moisture Regimes and Exogenous Abscisic Acid in Oaks and Ash -)

  • 권기원;이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410-423
    • /
    • 1994
  • 지속적인 수분 stress 또는 ABA 처리에 따른 주요 경제 수종들의 생리생태학적 수분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육기 및 일중 측정 시간대 별 기공증산저항과 증산율을 조사하였다.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포함하는 4종의 참나무류가 시험재료로 이용되었으며 물푸레나무 또한 참나무류와 함께 분석되었다. 건, 습 두가지의 토양 수분 조건으로 처리된 1년생 실생 용기묘를 대상으로 Li-Cor사의 LI-1600 Porometer를 이용하여 6, 8, 9월에 기공증산저항을 반복 측정하였다. 기공의 움직임과 증산에 미치는 ABA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7월에 0.5mM, 8월에 0.05mM의 ABA 용액을 용기 실생묘에서 절단한 줄기에 흡수시켰다. 대부분의 기공증산저항 측정치는 처리 종류에 관계없이 일출 후 오전에 약 5s/cm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 값들은 건조구에 속한 묘목에서 오후 중에 자주 20s/cm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변동했다. 여러 가지 처리 및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굴참나무의 기공증산저항은 졸참나무 또는 상수리나무의 경우보다 안정된 값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의 측정치들은 참나무류에 비해 더욱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다. 묘목 절단지에 흡수된 ABA 용액은 대부분의 대상 수종에서 기공증산저항을 증가시켰다. ABA 처리에 대한 기공의 반응은 7월에 굴참나무 및 상수리나무에 비해 졸참나무에서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8월에는 ABA 처리의 영향이 상수리나무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물푸레나무에서 ABA에 대한 반응은 다양한 변화 양상 때문에 분명하지 않았다.

  • PDF

ABA Increases Susceptibility of Pepper Fruits to Infection of Anthracnose by Collectotrichum acutatum

  • Hwang, Soo-Kyeong;Kim, Joo-Hyung;Kim, Young-Ho;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400-406
    • /
    • 2008
  •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 hormones and the development of pepper anthracn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veral plant hormones on the progression of disease symptoms. Of the five plant hormones examined, abscisic acid (ABA) increased the lesion length and disease incidence on detached fruits of Capsicum annuum cv. Nokkwang.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ABA with inocul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JC24 resulted in increased lesion length, depending the concentration of ABA applied. Additionally, application of ABA caused the development of pepper anthracnose in fruits of Capsicum baccatum cvs. PBC80 and PBC81, which were previously resistant to the disease. Furthermore, ABA administration rendered increased pathogenicity of other isolates of C. acutatum BAC02063, PECH10, and TCBNU3 obtained from the Chinese matrimony vine, peach, and tea tree, respectively. Our data suggest that exogenous ABA may result in the suppression of defense mechanisms of pepper fruits against anthracnose, which leads to a change in the susceptibility of pepper fruits and the development of pepper anthracnose.

Abscisic acid가 $Cd^{2+}$에 의한 닭의장풀이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bscisic Acid (ABA) on $Cd^{2+}$-induced Physiological Responses in Commelina communis L.)

  • 이준상
    • 환경생물
    • /
    • 제23권1호
    • /
    • pp.47-51
    • /
    • 2005
  • 3주간 정상적으로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 용액 (대조구, 100 μM Cd/sup 2+/, 100 μM Cd/sup 2+/ + 100 μM ABA, 100 μM Cd/sup 2+/+50 mM KCl)에서 1주간 수경재배 한 후 생장,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수분 스트레스와 Cd/sup 2+/의 축적을 조사하여 Cd/sup 2+/ 축적과 식물의 생리적 반응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식물의 생장에서 Cd/sup 2+/과 Cd/sup 2+/+ABA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71%와 81%생장이 감소하였고, Cd/sup 2+/+KCl 처리구는 Cd/sup 2+/ 처리구와 생장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함량은 Cd/sup 2+/, Cd/sup 2+/+ABA, Cd/sup 2+/+KCl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각각 32%, 41%, 29% 억제되었다. 엽록소 형광 측정의 경우 Cd/sup 2+/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광도에서 Fv/Fm 비율이 14∼20% 감소하였다. Cd/sup 2+/+ABA 처리구는 Fv/Fm 비율이 23% 내외에서 감소하였으며, Cd/sup 2+/+KCl 처리구는 Cd/sup 2+/ 처리구와 Fv/Fm 비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수분 스트레스에 대한 Cd/sup 2+/과 ABA 처리 효과는 Cd/sup 2+/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2.5배, Cd/sup 2+/+ABA 처리구에서 3배, Cd/sup 2+/+KCl 처리구에서 2.25배 각각 수분 스트레스가 증가하였다. Cd/sup 2+/ 수송에 대한 ABA의 효과를 살펴보면, Cd/sup 2+/+ABA 처리구에서 ABA는 Cd/sup 2+/ 수송을 억제하거나 촉진시키지는 않았지만 Cd/sup 2+/의 뿌리 축적을 약 13% 심화시켰다. 반면에 KCl은 뿌리 내 Cd/sup 2+/ 축적을 약 60% 억제시켰다. 따라서 대표적인 스트레스 내성 호르몬 ABA는 Cd/sup 2+/축적으로 인해 발생된 식물의 생리적 독성을 완화시켜 주지 못했으며. 오히려 독성을 증가시켰다.

Abscisin산 정량분석을 위한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bscisic Acid)

  • 황태익;임현옥;김용재;이민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2
    • /
    • 1985
  • Abscisin산(ABA)의 정량분석을 위한 방사면역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pm$)-ABA를 사람혈청 albumin에 conjugate 시킨 항원을 만들고 이를 가토에 접종하여 얻은 항혈청은 ABA에 대하여 높은 친화성을 나타냈다(Ka=3.28$\times$$10^{13}$$\ell$/mol ) $^3$H-ABA를 추적자로 사용하고 dextran-coated charcoal을 유리 ABA와 항체결합 ABA의 분리에 사용한 본 방사면역측정법은 ABA를 0.5$\times$$10^{-12}$mol 까지 측정할 수 있었고 측정범위는 14$\times$$10^{-12}$mol 까지 포함되었다. 이 면역측정법은 특이성이 높기 때문에 분석전 시료로부터 ABA를 미리 정제할 필요가 없었다. 시료 1개의 분석에는 2시간 정도 소요되어 하루 수백개의 시료률 분석처리할 수 있었다.

  • PDF

담배(Nicotiana tabacum L.) 잎의 몇가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Abscisic Acid의 영향 (Effects of Abscisic Acid on Som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Leaves in Nicotiana tabacum L.)

  • 김진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41-51
    • /
    • 1986
  • The plants of Nicotiana tabacum L. cv. NC2326 were germinated in 10 cm D$\times$20 cm H polyethylene pot, and sand-cultured with Hoagland solution near by the window of laboratory room(26$\pm$5$^{\circ}C$). The growing plants were spray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BA around 9 : 00 a.m. once in every two days for 12 weeks in summer. As the results, frequency of stomatal number, stomatal opening, chlorophyll content, respiration rate, and protein content in the leaves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concentrations of ABA, respectively. The plant growth was inhibited by exogenous ABA, but leaf abscission was not foun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atio of three to one in chlorophyll a to b was not altered by exogenous ABA. All the stomata were closed within three minutes by 100 $\mu\textrm{g}$ ml-1 ABA and within seven minutes by 1-10 $\mu\textrm{g}$ ml-1 ABA after the spraying of ABA, and then reopended after a few hours in 1-10 $\mu\textrm{g}$ ml-1 ABA and after 24 hours in 100 $\mu\textrm{g}$ ml-1 ABA. The polar movement of chloroplast within the guard cells was found in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10 and 100 $\mu\textrm{g}$ ml-1 ABA, but not found in the lower concentrations than 1 $\mu\textrm{g}$ ml-1 ABA. During the night and weak light, it was fond that the inhibition of respiration rate b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BA was owing to firstly the stomatal closure by the spraying of ABA and secondly the decrease of stomatal frequency by the inhibition of stomatal development with exogenous ABA for the long period of 12 weeks. In the band number of leaf protein by the electrophoresis, most of the protein bands were disappeared by the higher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 ml-1 ABA, but were not altered by the lower concentration of ABA in comparison with control.

  • PDF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의 조직배양에서 체세포배의 자엽 수 변화에 미치는 ABA의 영향 (Effect of Abscisic Acid on the Number of Somatic Embryo Cotyledons in Tissue Cultures of Aralia cordata Thunb.)

  • 이강섭;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7-291
    • /
    • 1994
  • 땅두릅에 있어서 이상체세포배의 형성에 미치는 ABA의 영향을 구명하기위하여 체세포배는 1.0 mg/L 2,4-D가 첨가된 M 기본배지상에서 자엽유래 배발생 세포괴로부터 유도되었다. 배발생세포괴에 0.2 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가 첨가되지않은 기본배지에 2주간 계속 배양한 경우에 2개의 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배는 68%.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않은 MS 기본배지에 5주간 배양한 대조구에(59.4%)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0.2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의 농도를 0.1 mg/L로 반감한 배지에서 2주간 배양한 경우에는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는 28.6%로 감소된 반면에 3개 이상의 자엽을 갖는 다자엽배의 형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구형배에 ABA를 농도별(0.01-1.0 mg/L)로 처리한 경우에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의 형성률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장형, 어뢰형 및 자엽시기 등 배발생 단계별로 배에 ABA를 각각 상기와 같이 단기간 처리하거나 계속처리한 경우에도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 PDF

벼 종실의 휴면 관련 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과의 관계 (Chemical Components Related with Seed Dormancy and Viviparous Germination in Rice)

  • 김용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3-119
    • /
    • 1995
  • 본 실험은 벼종실의 휴면성 관련성분과 휴면성 및 수발아성성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후 20일과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 중 Sucrose 함량은 모두 자포니카형 품종이 샤레형, 통일형 및 인디카형 품종들보다 높았고, 자포니카형 품종에서는 모두 시기간에 그 함량의 변이도 작았다. 출수후 20일 및 40일의 현미 Sucrose의 함량과 수발아율은 정의 상관이 확정었다. 2. 출수 후 20일 및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현미에 함유한 지방산 조성은 자포니카 형이나 샤레형 품종들 보다 통일형 및 인티카형 품종들에서 Oleic acid의 비율이 높은 반면 Linoleic acid의 비율이 낮았으며, 종실의 수발아성은 Oleic acid의 조성비와 부의 상관, 그리고 Linoleic acid 비율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출수 후 40일에 수확한 종실의 주야 25/15$^{\circ}C$ 변온 조건과 4$^{\circ}C$의 저온 조건에 각각 30일간 저장한 후 왕겨에 함유된 ABA함 량을 조사한 것보다 그 함량이 낮았으며, 수발아성성이 높은 자포니카형 품종들이 수발아성이 낮은 통일형이나 인디카형 품종들 보다 ABA 함량이 크게 낮았다.

  • PDF

수분부족이 콩의 질산환원효소 활성과 Abscisic acid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Nitrate Reductase Activity and Abscisic Acid Content in Soybean Plants)

  • 류점호;두홍수;고경남;추병길;이강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31
    • /
    • 1994
  • 콩의 내한발성 품종육성 및 선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팔달콩, 새알콩 및 단엽콩을 공시하여 수경재배에서는 수경액을 PEG처리로, pot 실험에서는 단수처리하여 수분부족을 유기하고 PEG 농도, 품종 및 생육시기별로 엽의 수분 potential, 질산환원효소의 활성 및 ABA 함량을 조사하였다. 1. 엽의 수분 potential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생육시기에 따라서는 제1엽기보다 제3엽기와 제5엽기에 높았는데,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엽의 수분 potential은 단수처리 3일후에 무처리에서보다 약 2.2배가 감소되었다. 2.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제1엽기보다 제3엽기와 제5엽기에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팔달콩이 새알콩과 단엽콩 보다 높았다. 단수처리에서는 처리 3일후에 질산환원효소의 활성이 무처리에서보다 약 47%가 감소되었다. 3. ABA의 함량은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았고 제1엽기와 제3엽기보다 제5엽기에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팔달콩이 새알콩과 단엽콩보다 높았다. 단수처리에서는 처리 3일 후에 ABA의 함량이 무처리에서보다 약 1.7배가 증가하였으며 생육후기보다 생육초기에 더욱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