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경제 수종의 수분 특성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 토양수분 조건 및 ABA 처리에 따른 참나무류와 물푸레나무 기공의 시계열적인 변화 반응 -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 - Temporal Changes of Stomatal Responses to Soil Moisture Regimes and Exogenous Abscisic Acid in Oaks and Ash -

  • 권기원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 이정호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 Kwon, Ki Won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ung Ho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4.06.13
  • 발행 : 1994.09.30

초록

지속적인 수분 stress 또는 ABA 처리에 따른 주요 경제 수종들의 생리생태학적 수분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생육기 및 일중 측정 시간대 별 기공증산저항과 증산율을 조사하였다.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를 포함하는 4종의 참나무류가 시험재료로 이용되었으며 물푸레나무 또한 참나무류와 함께 분석되었다. 건, 습 두가지의 토양 수분 조건으로 처리된 1년생 실생 용기묘를 대상으로 Li-Cor사의 LI-1600 Porometer를 이용하여 6, 8, 9월에 기공증산저항을 반복 측정하였다. 기공의 움직임과 증산에 미치는 ABA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7월에 0.5mM, 8월에 0.05mM의 ABA 용액을 용기 실생묘에서 절단한 줄기에 흡수시켰다. 대부분의 기공증산저항 측정치는 처리 종류에 관계없이 일출 후 오전에 약 5s/cm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 값들은 건조구에 속한 묘목에서 오후 중에 자주 20s/cm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변동했다. 여러 가지 처리 및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굴참나무의 기공증산저항은 졸참나무 또는 상수리나무의 경우보다 안정된 값을 보였다. 물푸레나무의 측정치들은 참나무류에 비해 더욱 불규칙한 변화를 보였다. 묘목 절단지에 흡수된 ABA 용액은 대부분의 대상 수종에서 기공증산저항을 증가시켰다. ABA 처리에 대한 기공의 반응은 7월에 굴참나무 및 상수리나무에 비해 졸참나무에서 보다 예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8월에는 ABA 처리의 영향이 상수리나무에서 보다 크게 나타났다. 물푸레나무에서 ABA에 대한 반응은 다양한 변화 양상 때문에 분명하지 않았다.

Seasonal and diurnal changes of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S.D.R.) and transpiration rate(T.R.) were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the ecophysiological water relations of economic tree species subjected to chronic water stress or exogenous abscisic acid treatment. Four species of oaks including Quercus serrata, Q. mongolica.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materials and also Fraxinus rhynchophylla was studied together with oaks.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s were repeatedly measured on the containerized 1-0 year seedlings subjected to two kinds of soil moisture regime (wet and dry) in June, August, and September by LI-1600 Steady State Porometer of LI-Cor, Inc.. Exogenous abscisic acid (ABA) solutions of 0.5 mM and 0.05 mM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were absorbed into shoots cut from the containerized seedlings for determining their effects on stomatal behavior and transpiration. Most of measurements in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maintained about 5 s/cm in the morning after sunrise despite of different treatments. But the values fluctuated frequently to high level above 20 s/cm through the afternoon until sunset in the seedlings subjected to dry soil moisture regime. Despite of various treatme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s of Q. variabilis were more stable than those of Q. serrata or Q. acutissima. Their values of F. rhynchophylla changed more irregularl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ak species. Exogenous abscisic acid absorbed into shoots cut from seedlings increased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obviously in most of the species studied. The stomatal responses to abscisic acid treatment were more sensitive in July especially in Q. serrata than in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But the effects of ABA treatment were presented more remarkably in Q. acutissima in August. The responses to abscisic acid were not certain in F. rhynchophylla because of their various fluctuation patter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