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bscisic Acid on the Number of Somatic Embryo Cotyledons in Tissue Cultures of Aralia cordata Thunb.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의 조직배양에서 체세포배의 자엽 수 변화에 미치는 ABA의 영향

  • 이강섭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교 생물학과) ;
  • 소웅영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4.09.01

Abstract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abscisic acid (ABA) on the abnormality of somatic embryos, somatic embryos were induced from embryogenic cell clumps derived from cotyledon segment of Aralia cordata. When embryogenic cell clumps were pretreated medium containing 0.2 mg/L ABA for 3 weeks before transferring to MS basal medium, the frequency of embryos with normal cotyledons enhanced 68% as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when clumps pretreated in medium containing 0.2 mg/L ABA were transferred to medium containing 0.1 mg/L ABA, the Sequency decreased to about 29%. In the case of globular embryos cultures in medium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ABA (0.01 to 1.0mg/L), the frequency of dicotyledonary embryo formation decreased propotionally to ABA concentration. Also, when somatic embryos at various stages were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ABA, those with polycotyledons appeared at higher frequency.

땅두릅에 있어서 이상체세포배의 형성에 미치는 ABA의 영향을 구명하기위하여 체세포배는 1.0 mg/L 2,4-D가 첨가된 M 기본배지상에서 자엽유래 배발생 세포괴로부터 유도되었다. 배발생세포괴에 0.2 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가 첨가되지않은 기본배지에 2주간 계속 배양한 경우에 2개의 정상적인 자엽수를 갖는 배는 68%. 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않은 MS 기본배지에 5주간 배양한 대조구에(59.4%)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0.2mg/L의 ABA를 처리하여 3주간 배양한 후 ABA의 농도를 0.1 mg/L로 반감한 배지에서 2주간 배양한 경우에는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는 28.6%로 감소된 반면에 3개 이상의 자엽을 갖는 다자엽배의 형성률이 높게 나타났다. 구형배에 ABA를 농도별(0.01-1.0 mg/L)로 처리한 경우에 정상의 자엽을 갖는 배의 형성률은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장형, 어뢰형 및 자엽시기 등 배발생 단계별로 배에 ABA를 각각 상기와 같이 단기간 처리하거나 계속처리한 경우에도 다자엽배의 형성률은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