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Park, Gwang Hun;Park, Jae Ho;Eo, Hyun Ji;Song, Hun Min;Lee, Man Hyo;Lee, Jeong Rak;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4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A. distichum decrease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downregulation of the NF-${\kappa}B$ and ERK pathway. Our data indicated that A. distichum leaf inhibits the overexpression of iNOS in protein and mRNA levels, and subsequently blocked LPS-mediated NO overproduction in RAW264.7 cells. A. distichum leaf inhibited $I{\kappa}B-{\alpha}$ degradation and p65 nuclear translocation, and subsequently suppressed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appa}B$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A. distichum leaf suppressed LPS-induced ERK1/2 activation by decreasing phosphorylation of ERK1/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distichum leaf show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rough suppressing ERK-mediated NF-${\kappa}B$ activation in mouse macrophage.

Induction of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by Branch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Park, Gwang Hun;Park, Jae Ho;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2-689
    • /
    • 2015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 distichum) has been reported to exert the inhibitory effect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dose reductase. Recently, our group found that branch extracts of A. distichum (EAFAD-B) induce apoptosis through ATF3 activation in human colon cancer cells. However, anti-cancer reagents exert their activ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various molecular targets. Therefore, the elucidation of potential mechanisms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may be necessary. To elucidate the potential mechanism of EAFAD-B for anti-cancer activity, we evaluated the regulation of cyclin D1 in human colon cancer cells. EAFAD-B decreased cellular accumulation of cyclin D1 protein. However, cyclin D1 mRNA was not changed by EAFAD-B. Inhibition of proteasomal degradation by MG132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and the half-life of cyclin D1 was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EAFAD-B. In addition, EAFAD-B induced cyclin D1 phosphorylation at threonine-286 and the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EAFAD-B-mediated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Inhibitions of both ERK1/2 by PD98059 and NF-κB by a selective inhibitor, BAY 11-7082 suppressed cyclin D1 downregulation by EAFAD-B.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EAFAD-B-medi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may result from proteasomal degradation through its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via ERK1/2-dependent NF-κB activa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new mechanistic link between EAFAD-B and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colon cancer cells.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A new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김동갑;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73-582
    • /
    • 2008
  • 충북 영동군 설계리 인근의 산지에서 새롭게 밝혀진 한국특산속 식물인 미선나무의 자생지를 조사하였다. 미선나무는 전 세계 1속 1종인 식물로 한국에만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 중 한 종류이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총 7곳의 미선나무 자생지가 보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자생지가 남한 중부지역의 충북지역과 중서부지역의 전북지역에 집중되어 위치하고 있다. 7곳의 미선나무 자생지 중 5곳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현지 내 보존 및 관리되고 있다. 새롭게 조사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설계리 인근의 구릉성 산지의 북서사면에 위치하며, 작은 하천이 자생지 하단부에 흐른다. 자생지의 토양은 전형적인 전석지와 암석이 많은 사력지의 형태이고, 토양의 깊이는 약 10~25 cm, pH는 5.0~6.5에 해당되며, 미선나무의 생육지 면적은 약 $3,800 m^2$에 이른다. 생육하는 미선나무 다수가 2~5 개체씩 영양번식과 같은 무성번식방법을 통해 무리지어 있다. 미선나무의 총 개체 수는 700여주에 달하지만, 오직 흰색 꽃을 갖는 기본종만이 분포한다. 이형예현상을 나타내며 종자결실과 깊은 관련이 있는 단주화와 장주화의 분포 비율은 각각 63%와 37%로 관찰된다. 설계리 미선나무 자생지의 상층부 식생은 신갈나무와 물푸레나무가 혼재된 양상을 나타내며, 미선나무가 위치하는 관목층에는 다른 자생지와 유사하게 친화성이 높은 국수나무, 쥐똥나무, 회잎나무, 청가시덩굴 등이 분포한다.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ion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Callus Derived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Jang, Tae-Won;Choi, Ji-Soo;Mun, Jeong-Yun;Im, Jong-Yun;Park, Min-Jeong;Lee, Seung Hyun;Kim, Do-Wa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4-74
    • /
    • 2018
  • Abeliophyllum distichum is Korea Endemic Plants and its genetic resources found from Korea only. Bioactivities of A. distichum such as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studies have been proved through many researches. Whereas, there are no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its callus extra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allus extracts derived from A. distichum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essed using radical scavenging assays with DPPH, ABTS, and reducing power assay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were measured using ${\varphi}-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In addition, callus extracts derived from A. distichum showed high antioxidant acitivties and no cytotoxicity in NIH/3T3. Also, it has significantly suppressed expression of ${\gamma}$-H2AX and p53 protein and mRNA levels in NIH/3T3 cell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Therefore, the callus extracts derived from A. distichum has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that can provid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oxidative DNA damage caused by free radicals.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valuable as cosmetics and medicine for antioxidant and cancer preventive materials.

  • PDF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절편위치 및 치상방법에 따른 기내증식 및 미세삽목 (Effect of explant's position and culture method on shoot proliferation and micro-cuttings for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이나념;김지아;김용욱;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28-234
    • /
    • 2015
  • 본 실험은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인 미선나무의 효과적인 증식을 위하여 줄기 증식,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절편의 위치 효과 및 치상 방법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줄기유도는 BA를 처리한 액아절편 배양이 효과적이었으며 절편 당 2.4개의 줄기가 유도되었다. 정아 및 액아절편을 BA 1.0 mg/L를 전처리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치상하였을 때 줄기유도는 액아 절편의 수직치상으로 절편 당 2.5개로 가장 좋았다. 반면 줄기의 생장, 발근 및 뿌리 발달은 정아절편의 수직치상에서 양호하였고 BA의 전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근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내증식된 줄기의 정아 및 액아를 절편으로 기외에서 미세삽목(micro-cutting)을 실시하여정아절편에서 100% 발근되었고, 뿌리수는 개체 당 평균 6.2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삽목묘는 온실에서 95% 이상 순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선나무의 기내 증식은 액아를 절편으로 BA 처리 후 수직 치상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줄기의 생장 및 발근은 정아를 절편으로 수직치상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아를 절편으로 미세삽목을 통해 효과적인 발근 유도 및 순화가 가능하여 미선나무의 실용적인 묘목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미선나무 꽃 색에 따른 생리활성 화합물 및 항염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bioactive compound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found in different flower color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장태원;최지수;한소연;박혜정;이다윤;민영실;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203-213
    • /
    • 2022
  •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1속 1종의 한반도 고유식물이다. 꽃잎색의 변이에 따라 미선(백색), 분홍미선, 상아미선 그리고 연노랑색의 옥황1호 품종 등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의 꽃 추출물(FAD)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과 항염증 활성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FAD의 생리활성 물질은 LC/MS 분석을 통해 rutin, hirsutrin, 그리고 acteoside를 분석하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따라 유의성 있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FAD는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유발 매개체(산화질소, iNOS, COX-2)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NF-κB와 MAPK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Whitening Activ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ccording to the Ratio of Prethanol A in the Extracts

  • Jang, Tae-Won;Choi, Ji-Soo;Kim, Hoi-Ki;Lee, Eun-Ja;Han, Man-Wook;Lee, Ki-Beom;Kim, Do-Wa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67-674
    • /
    • 201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hitening activity of prethanol A and water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Th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0, 50, 70, and 100% prethanol A at $121^{\circ}C$, 1.2 atm for 15 minutes. To confirm effective extraction, the acteoside content of each extract was analyzed with the HPLC-PDA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assays, and the whitening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inhibitory activities on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in B16 F10 cells. Each extract showed strong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IC_{50}$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each extract were in order of 100%, 70%, 50%, and 0%. In addition, whitening activity inhibit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melanin synthesis factor, following the same pattern as antioxidant activity. In conclusion, water and prethanol A extracts of A. distichum showed effectiv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and are thus considered to be valuable materials for whitening cosme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afe and efficient production of A. distichum as a cosmetic material.

미선나무 품종 옥황 1호의 유전체를 활용한 Acteoside 생화학 합성과정 예측 및 확인 (Predic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chemical Pathway of Acteoside from Whole Genome Sequenc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Cultivar Ok Hwang 1ho)

  • 박재호;시홍;한지윤;이정민;김용성;이준미;손장혁;안정좌;장태원;최지수;박종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6-91
    • /
    • 2020
  • 최근에 한국 고유종인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leaceae) 품종 옥황1호의 유전체가 성공적으로 해독되었다. Acteoside는 다양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며, 여러개의 생화학합성과정이 제시되어왔고, 이들을 통합 검토하여 정확한 생화학합성과정을 완성하였다. 유전체 데이터로부터 2차대사산물을 예측할 수 있는 MetaPre-AITM와 정확한 acteoside 생화학합성과정, InfoBoss Pathway Database를 활용하여, acteoside에 관여하는 모든 효소의 유전자를 옥황1호 유전체로부터 성공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옥황1호는 acteoside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옥황1호의 캘러스 세포를 분석하여 acteoside과 이의 유도체인 isoacteoside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MetaPre-AITM은 유전체로부터 2차대사산물을 성공적으로 예측하였다. 이 방법은 화학물질보다 안정적인 DNA를 분석하여 2차 대사산물을 예측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의 새로운 자생지 보고 - 경기도 여주시 자생지- (Recently Augmented Natural Habitat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Yeoju-si, Gyunggi-do, Korea)

  • 이호영;김태관;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2-70
    • /
    • 2014
  • 본 연구는 새롭게 확인된 경기도 여주시 미선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생현황 및 분포규모와 신규 자생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향후의 보전 및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미선나무는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1속 1종만이 존재한다. 그동안 보고된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남부 지역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여주시 자생지의 발견으로 분포역이 중부지역까지 확장되었다. 대상지는 $37^{\circ}20{\sim}21^{\prime}N$, $137^{\circ}43{\sim}21^{\prime}E$, 해발 99~120m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천을 끼고 있는 산자락 전석지대의 지형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자생지의 규모는 약 $530m^2$로 좁은 면적이었으며, 자생지 내에 미선나무는 약 1,200여 개체가 분포하고 있다. 출현하고 있는 개체들은 수고 0.5m 이하의 어린 개체가 대부분이었고, 1.0m 이상의 성숙한 개체는 약 300여 개체로 확인되었다. 여주시의 미선나무는 뿌리나 줄기를 이용한 영양번식에 의해 개체군이 유지 및 확산되고 있다. 자생지의 식생은 교목층에서는 리기다소나무와 갈참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은 생강나무, 갈참나무, 신나무 등이 출현하고 있다. 관목층은 미선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국수나무, 회잎나무, 쥐똥나무 등이 출현하였으며, 초본층은 낮은 식피율을 보였다.

Embryo, Seed coat and Pericarp Development in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Oleaceae): A Rare and Endemic Plant of Korea

  • Ghimire, Balkrishna;Jeong, Mi Jin;Choi, Go Eun;Lee, Hayan;Lee, Kyung Mee;Lee, Cheul Ho;Suh, Gang U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0-356
    • /
    • 2015
  • Abeliophyllum distichum is a monotypic taxon of Oleaceae and endemic to Korea. A comprehensive study on embryogeny and fruit and seed coat ontogeny in Abeliophyllum was carried out via microtome and light microscopy. The fertilization occurs during mid– to late April and embryo matures by early July. The embryo development follows the general fashion from globular embryo – transition embryo – heart shaped embryo – torpedo embryo – walking-stick embryo to mature embryo. The pericarp clearly differentiates into three histological zones: exocarp, mesocarp, and endocarp. The young seed comprises 10-12 cells thick seed coat and the mature seed coat comprises an exotesta, 6-8 mesotesta and an endotesta. Any crystals, phenolic-like compounds, idioblasts, and the sclereids are not found in pericarp as well as seed coat. An overall development confirms Solanade type of embryogenesis in Abeliophyllum. The endocarp becomes more prominent in mature fruit and all the layers of endocarp are highly lignified. On the basis of mechanical layer the seed coat is of exotestal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