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DH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2초

차나무(Camellia sinensis) 추출물이 아급성 알코올 투여 마우스의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ellia sinensis Extracts on the Antioxidant System and Alcohol Down-Regulation Enzymes in Sub-Acute Ethanol Treated ICR Mice)

  • 구성자;최일숙;공연희;최상윤;조연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34-1139
    • /
    • 2007
  • Mouse에 알코올을 투여한 결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ADH 및 ALDH활성도 모두 감소하였다. 녹차, 홍차, 우롱차 및 보이차의 알코올 섭취 mouse에서의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네 가지 차 모두에서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 촉진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보이차가 간에서의 SOD 및 GR활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MDA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우롱차는 혈액에서의 SOD 및 GSH-PX활성을 크게 증가시켰고 MDA함량을 감소시켰으며 녹차와 홍차의 항산화 효과는 이들에 비하여 비교적 낮았다. 또한 알코올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ADH, ALDH 활성은 녹차를 투여한 군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녹차 다음으로는 우롱차가 ADH 활성측정에서, 보이차가 ALDH 활성측정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고 홍차 투여 군에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네 가지 차 중 우롱차와 보이차를 섭취하였을 때 높은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알코올 분해에는 녹차의 섭취가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에탄올 농도별 당유자 잎의 최적추출조건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for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and investig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s extracted by alternative ethanol concentrations)

  • 나카무라 마사야;라종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5
    • /
    • 2019
  • 제주도 특산물로 알려진 당유자의 잎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용매 농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된 당유자 잎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 에탄올, 물 추출물이 가장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율을 보인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페놀 함량이 나타나 수율에 비하여 많은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환원력과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 ${\alpha}$-glucosidase, ${\text\tiny{L}}$-tyrosine을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ext\tiny{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뛰어난 활성을 촉진시켰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능력이 60%, 80% 에탄올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를 얻고자 할때는 물이나 80% 에탄올로, 그 외 생리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당유자 잎을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Lactobacillus fermentum MG590 on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Rats

  • Kim, Ji-Hyun;Kim, Hyun-Jin;Son, Jeong-Hwa;Chun, Ho-Nam;Yang, Jin-Oh;Choi, Sung-Jin;Paek, Nam-Soo;Choi, Gyoung-Hoon;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6호
    • /
    • pp.919-925
    • /
    • 2003
  • Alcohol consumption has numerous health consequences for the human body. For example, heavy drinking on a daily basis causes liver diseases, and certain products such as acetaldehyde produced from alcohol metabolism are more toxic than alcohol itself.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role of Lactobacillus fermentum MG590 to enhance the removal of the toxic effect of alcohol in alcohol metabolism. The maximum activities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by L. fermentum MG590 were observed after 6 h of culture. The production of ADH and ALDH by L. fermentum MG590 was also confirmed by SDS-PAGE. Six hours after the addition of alcohol to a culture broth of L. fermentum MG590, the alcohol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7.5 to 2.7%. From an in vitro evaluation based on hepatocytes, the viability of hepatocytes in a medium containing alcohol and the cytosol of L. fermentum MG590 was higher than that in a medium containing only alcohol. From an in vivo test using SD rats fed a 22% alcoholic drink,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pyruvic transaminase (GPT) in the rats fed a medium containing L. fermentum MG590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rats fed a medium containing only the alcohol drink.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DH and ALDH produced by L. fermentum MG590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oxicating alcohol in vivo. Therefore, a fermentation broth of L. fermentum MG590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alcohol detoxification drink.

필치가 혈중 알코올농도와 간세포내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lch on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and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Alcohol-Fed Rats)

  • 이오미;예충민;최병철;이지윤;강혜정;최윤경;김창종;심상수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0-346
    • /
    • 2005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lch on alcohol metabolism, we measured both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human and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y in rats.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Feelch-inges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ater-ingested group at 0, 40, and 80 minute after alcohol intake.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taken 300ml of $21\%$ alcohol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eak valu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in male and female were $0.083\pm0.014\%\;and\;0.108\pm0.018\%$, respectively. In alcohol-fed rats, 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was not changed. In both Feelch-fed group and Feelch plus alcohol-fed group, ADH and ALDH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Feelch decreased phospholipase $A_2$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in hepatic tissue and activities of serum aminotransferases as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elch may have a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this is likely due to lowe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via the increment of hepatic ADH and ALDH activity.

국산 홍합과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Domestic Blue Mussel and New Zealand Green Lipped Mussel on Alcohol Metabolizing Enzymatic,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 김시경;옥둘이;박은주;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63-1368
    • /
    • 2014
  •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서 주로 양식되는 진주담치(국산 홍합)와 세계적으로 기능성이 잘 알려진 뉴질랜드 초록입 홍합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모든 홍합 추출물들은 알코올대사와 관련한 alcohol dehydrogenase(ADH)와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활성을 상승시켰으며, 특히 ADH의 활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은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하여 ADH 상승 효과는 비슷하였으며, ALDH 상승 효과는 약간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조사한 항산화능은 국산 홍합의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 보다 높았다. 항고혈압과 관련한 ACE 저해능의 경우에는 국산 홍합 육질 추출물이 초록입 홍합의 육질 추출물에 비해 10 mg/mL 농도에서는 낮았으나 20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의차(P<0.05)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홍합도 세계적으로 초록입 홍합에 못지않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강화산 순무의 추출 공정에 따른 알코올 분해 효과 (Effects of Alcohol Oxidation of Brassica rapa L. Extraction Process in Kang-Hwa)

  • 김대호;김정화;김철희;권민철;김효성;정해곤;강하영;이학주;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5-48
    • /
    • 2006
  • 순무는 초음파 병행 추출을 통하여 $60,\;100^{\circ}C$에서 모두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알코올 분해 효소인 ADH와 Aldehyde 분해 효소인 ALDH의 분해 활성 측정 실험을 통해 순무의 추출물들은 물 일반 추출물보다 초음파 병해 추출물들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ADH의 활성율 보다 ALDH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 알코을 분해 과정의 최종 목적지인 acetic acid와 이산화탄소로의 분해에 순무의 추출물들이 유의적인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circ}C$ 열수 추출물은 $100^{\circ}C$ 열수 추출물과 비교하여 관능평가 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이의 추출물들은 감압농축을 통해 이취의 제거가 이루어져 열수추출 시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과일음료의 기능성

  • 황자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6-65
    • /
    • 2005
  •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the enzyme activity of the alcohol metabolizing and melanin production of Maesil(Prune mu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Prunu mume) was analyzed by measur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value)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lcohol dehydrogenase(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activity by measuring the maximum absorbency at 340nm in vitro and human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Maesil were investigated in vitro and in B-16mouse melanoma cells on melanin biosynthesis that is closely related to hyperpigmenta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for TBA values were 29.65% in ascorbicacid, 45.35% in BHT, 15.99% in extract of dehydrated maesil flesh(EDMF) and 25.00% in extract of dehydrated maesil juice(EDMJ).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by DPPH were 96.69% in ascorbic acid, 77.82% in BHT, 34.25% in EDMF, and 42.99%in EDMJ. Electron donating abilities by DPPH in the presence of 0.02% EDMF and EDMJ were 53.21% and 59.19% respectively. Facilitating rates of ADH activity were 137.92, 131.58, 152.96, 218.70, 111.76, and 144.27% in maesil juice, 5, 10, and 15% GMT, and 0.5 and 1.0% aspartic acid, respectively. ALDH activity increased in the order of Maesil juice > ALDH > GMT > aspartic acid, and facilitating rate of ALDH activity in Maesil juice was the highest at 976.44%. Maesil extract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that converts dopa to dopachrome in the biosynthesis process. B-16 cells treated by Maesil extracts showed that the viability was over 80%. Maesil and maesil products in vitro and B-16 cells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significantly.

  • PDF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한약재 혼합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on alcohol metabolism in Sprague Dawley rats)

  • 정미진;김소영;도은주;윤종국;김대익;한경수;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74
    • /
    • 2019
  • Objectives : Alcohol hangover is a common phenomenon which basically occurs after heavy drinking. Moreover, heavy alcohol consumption leads to acute and chronic diseas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erbal mixture (SJ) on alcohol metabolism in serum or/and liver. Methods : 5W-old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study. To overnight fasted rats, 0.9% saline or SJ extract was administrated per os before alcohol treatment. Then, 40% alcohol was orally administrated to all rats in 30 mins. Ethanol, acetaldehyde concentrations, alcohol dehydrogenase (ADH),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ies were measured by assay kit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transaminase (ALT) were measured by analyzer. Results :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lower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Especially, acetaldehyd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AST and ALT levels tended to increase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 group and SJ groups. ADH activity in serum was higher in SJ groups than CON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r. ALDH activity in both serum and liver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J groups compared with CON group. Conclusions : Treatment of SJ extract showed not only reducing concentr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but also increasing activities of ADH and ALDH. These results suggest SJ may influence in alcohol metabolism via control of metabolic enzyme activities and metabolite. Therefore, SJ, herbal mixture, might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hangover after drinking alcohol.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적정 조성추출물 및 그 발효물이 알콜대사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Medicinal Herb Extracts and Aqueous Fermented Extracts on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 이가순;김관후;성봉재;김현호;김미연;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9-265
    • /
    • 2009
  • 숙취해소효과가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25종의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in vitro에서 ADH와 ALDH의 저해 및 활성작용이 우수한 약용식물 12종을 선발, 일정 비율로 혼합한 약용식물 추출액에 대하여 발효를 행한 후 in vitro 및 in vivo실험을 통하여 숙취해소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초 -0.3%, 갈근 -3.2%, 구기자 -1.7%, 맥문동 4.8%, 속새 8.3%, 오가피 3.5%, 및 지구자 -2.1%를 보여 지구자를 비롯한 7종의 추출물이 90%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ALDH활성에서는 오가피가 166.3%로 활성이 가장 촉진되었고, 뒤이어 구기자, 속새 및 백복령도 1.5배 이상의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 외에 맥문동, 인진쑥, 작약, 차전초, 지구자, 홍삼 및 흑두에서도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갈근을 포함하여 약 10여종의 약용식물에서 130%이상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12종으로 조성 혼합된 약용식물 추출물에서는 ADH활성이 -20.22%인데 비하여 추출발효액은 -62.63%정도 ADH저해활성이 높았으며, ALDH활성은 추출물에서는 173.20%이었으며, 추출발효액은 280.17%로 ALDH활성이 추출액보다 약 1.6배가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흰쥐를 이용하여 약용식물 추출발효물의 숙취해소효과를 보기 위해 알코올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알코올 섭취 후 3시간 경과시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이 시판 숙취개선음료 처리군보다 24.1% 정도 우수한 효능을 보였고, 추출발효물 공급 3시간 경과 시부터 7시간까지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감소폭은 추출 발효물 400 mg/kg 처리군에서 -65.1%로 시판 숙취개선음료를 공급한 군에서 -57.5%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