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LR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9초

Assessment of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in Patient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Ross, Michael D;Prall, Joshua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as a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experienc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orts by patients with a histor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Forty-three subjects (33 males, 10 females, age=20.3 ± 1.3 years), at a mean of 31.2 ± 14.4 months following ACLR, participated in this study. During testing, subjects were first asked to provide a global rating of function by assessing their level of knee function on a 0 to 100 scale, with 0 points representing complete loss of function due to their knee injury and 100 points representing their level of function prior to their knee injury. After providing a global rating of function, subjects completed the Knee Outcome Survey (KO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DLS) and Sports Activity Scale (SAS), which served as the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in this study. Results: Pearson product correlations revealed moder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global rating of function and the ADLS (r=0.66, p<0.0001) and SAS (r=0.69, p<0.0001). Conclusions: The global rating of knee function provides a valid measure of participation restrictions experienced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ports by patients with a history of ACLR.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서 반월상 연골 절제술의 영향 (The Effect of Meniscectomy on Clinical Result After ACL Reconstruction)

  • 조형준;이정환;배대경;송상준;윤경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2
    • /
    • 2010
  • 목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시행하는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이 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에서 2007년 2월까지 시행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를 시행한 455례 중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9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 시행한 군은 45례, 반월상 연골판 전절제술 또는 아전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한 군은 48례였고, grade 3이상의 연골 손상,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과 부분 절제술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군(I군)은 45명, 외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군)은 10명, 내측 반월상 연골 절제를 동시에 시행한 군(III군)은 28명,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을 동시에 절제한 경우(IV군)는 10명이었다. 임상적 평가로 IKDC 주관적 점수, Lysholm 점수를 비교하였고, 슬관절 관절운동 범위,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슬관절의 기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IV군은 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와 Lysholm 점수가 낮았으며, II군보다 IKDC 주관적 점수가 낮았다. KT-1000 관절계는 I군이 IV군보다 더 향상되었으며, 전방전위검사와 Lachman 검사는 I군이 III군보다 더 향상되었다. Pivot shift 검사에서는 모든 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내측 또는 내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전방전위검사, Lachman 검사 KT-1000 관절계에서 불안정성과 관계가 있었으며,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은 반월상 연골판이 정상인 경우보다 더 낮은 임상적 점수와 관계가 있었다.

  • PDF

Crest Factor 감소를 위한 효율적인 피크 윈도윙 기법 (Efficient Peak Windowing Techniques for Crest Factor Reduction)

  • 유병욱;황유선;;이규하;이충용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62-46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반송파, 특히 OFDM 시스템의 PAPR 을 감소시킬 수 있는 CFR 알고리즘을 다룬다. 기존의 피크 윈도윙 기법이 윈도우 길이 내에 피크들이 여러 개 있을 경우, 과도 clipping 으로 인하여 성능이 열화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포락선 기반 피크 윈도윙 기법을 적용한다. 뿐만 아니라, 피크 윈도윙이 가지고 있는 EVM 열화를 완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단순 clipping 기법과 혼합하여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EVM 성능뿐 아니라 ACLR 성능까지도 만족하도록 한다. MATLAB 을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검증하고, 하드웨어 구현을 위하여 Xilinx Virtex5 를 이용하여 검증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복잡도는 높지만 EVM 과 ACLR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과 수신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따라서 DVB-T 나 LTE, IEEE 802.16m 등의 차세대 방송 및 통신의 전송에 이용되는 OFDM 신호의 PAPR 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다중 톤 신호의 통계적 특성 확보를 통한 광대역 신호 증폭기의 인접 채널 간섭 분석 (Analysis of Adjacent-Channel Leakage-Ratio of Wide-Band Power Amplifiers through Multi-Tone Signals with Statistical Similarity)

  • 박영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172-117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기의 성능 테스트 시 인접 채널 간섭(ACLR) 특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다중 톤 생성을 활용한 테스트 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동안 단일 주파수 정현파 신호를 테스트에 활용하는 경우 신호가 복잡해짐에 따라 오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기에, 실제 변조 신호와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도록 다중 톤 신호를 설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다중 톤은 시간 축에서의 유사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기존의 다중 톤 생성 방식 대비 더욱 적은 수의 톤으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의 검증을 위하여 802.11a 규격의 기저 대역 복소 신호를 다중 톤 신호로 대체하였으며, 이를 전력증폭기 성능 검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N=10 이상의 톤 수를 확보하는 경우 3차, 5차 비선형성에 의한 ACLR 특성이 실제 신호 활용한 경우와 1 dB 이하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마이너스 군지연 회로를 이용한 아날로그 피드백 증폭기의 대역폭 확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Bandwidth Extension of an Analog Feedback Amplifier by Using a Negative Group Delay Circuit)

  • 최흥재;김영규;심성운;정용채;김철동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143-11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마이너스 군지연 회로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RF 피드백 증폭기의 선형성 개선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피드백 증폭기는 피드백 경로의 전달 시간 오차로 인하여 선형성 개선 대역폭이 제한되며, 그로 인하여 강력한 선형성 개선 효과에도 불구하고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설계된 마이너스 군지연 회로의 군지연 특성을 응용하여 기존의 피드백 구조의 한계인 군지연 정합 문제를 해결하였다. 제작된 피드백 증폭기에 2-carrie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신호를 인가하여 측정한 결과, WCDMA 기지국 하향 대역의 50 MHz 대역 전반에 걸쳐서 15 dB 이상의 선형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평균 출력 전력이 28 dBm일 때 5 MHz 이격된 주파수에서 측정된 인접 채널 누설비(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는 최대 25.1 dB 개선되어 -53.2 dBc로 측정되었다.

히스토그램 기반 코드 영역 보상 기법을 적용한 W-CDMA 기지국용 CFR 알고리즘 (A Novel CFR Algorithm using Histogram-based Code Domain Compensation Process for WCDMA Basestation)

  • 장형민;이원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75-1187
    • /
    • 2007
  •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송신 신호의 PAR 성능을 (peak-to-average power ratio) 개선함으로써 범용 전력 증폭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기지국 비용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AR 값을 줄임으로 인해 기지국 송신신호의 인근 대역 간섭 제한 성능을 나타내는 ACLR이나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품질을 나타내는 EVM이나 (error vector magnitude) PCDE 성능의 (peak code domain error) 열화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링 기반의 CFR 방식인 (crest factor reduction) FDCFR 알고리즘을 (filter-dependent CFR) 소개하며, 히스토그램 기반 코드 영역 보상(HBWCDC; histogram based waterfilling code domain compensation)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CFR 알고리즘은 PAR 감소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ACLR, EVM 및 PCDE등의 성능 열화를 방지한다.

0.11 μm CMOS 공정을 이용한 4세대 이동통신용 광대역 고 선형 전력증폭기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of Power Amplifier with Broadband and High Linearity for 4G Application in 0.11 μm CMOS Process)

  • 김기현;고재용;남상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50-59
    • /
    • 2016
  • 본 논문은 $0.11{\mu}m$ CMOS 공정을 이용한 4세대 통신용 광대역 고 선형 전력 증폭기의 설계와 구현에 관해 기술한다. 1:2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사용하여 출력단 매칭을 구현하였고, 인터 스테이지(inter-stage) 매칭에서 선형성을 고려한 설계가 포함되었다. 1.8 GHz에서 2.3 GHz까지, 10 MHz의 대역폭을 가지는 LTE 16-QAM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인접채널 누설 비(ACLR)가 -30 dBc 이하일 때 27.3 dBm 이상의 선형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었고, 같은 조건에서 입력 신호 전력을 고려한 효율(PAE)은 최소 26.1 %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Gate 및 Drain 바이어스 제어를 이용한 3-way Doherty 전력증폭기와 성능개선 (Performance Enhancement of 3-way Doherty Power Amplifier using Gate and Drain bias control)

  • 이광호;이석희;방성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1호
    • /
    • pp.77-8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중계기 및 기지국용 50W급 Doherty 전력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Doherty 전력증폭기의 보조증폭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Gate 바이어스 조절회로를 사용하였다. Gate 바이어스 조절회로는 보조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으나 Doherty 전력증폭기의 출력특성을 개선하기에는 제한된 특성을 가졌다. 이를 해결하고자 Drain 바이어스 조절회로를 첨가였다. 그리고 Doherty 전력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하고자 일반적인 2-way 구조가 아닌 3-way 구조를 적용하여 3-way GDCD(Gate and Drain Control Doherty)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비유전율(${\varepsilon}r$) 4.6, 유전체 높이(H) 30 Mill, 동판두께(T) 2.68 Mill(2 oz)인 FR4 유전체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와 칩 캐패시터로 정합회로를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3GPP 동작 주파수 대역인 2.11GHz ~ 2.17GHz에서 이득이 57.03 dB이고, PEP 출력이 50.30 dBm, W-CDMA 평균전력 47.01 dBm, 5MHz offset 주파수대역에서 -40.45 dBc의 ACLR로써 증폭기의 사양을 만족하였다. 특히 3-way GDCD 전력증폭기인 일반전력증폭기에 비해 동일 ACLR에 대하여 우수한 효율 개선성능을 보였다.

고조파 정합 기법을 이용한 고효율 GaN HEMT 전력 증폭기 (High Efficiency GaN HEMT Power Amplifier Using Harmonic Matching Technique)

  • 진태훈;권태엽;정진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53-6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 정합 기법을 이용하여 고효율 GaN HEMT 전력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고효율 특성을 얻기 위해 고조파 로드풀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다. 즉, 기본 주파수뿐만 아니라 2차, 3차 등의 고조파에서 최적의 부하 임피던스를 찾아내었다. 이러한 고조파 로드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출력 정합 회로를 설계하였다. 제작한 전력 증폭기는 중심 주파수 1.85 GHz에서 선형 전력 이득 20 dB 및 33.7 dBm의 $P_{1dB}$(1 dB gain compression point)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출력 전력 38.6 dBm에서 80.9 %의 최대 전력 부가 효율(Power Added Efficiency: PAE)을 나타냈으며, 이는 기존에 설계된 고효율 전력 증폭기와 비교했을 때 아주 우수한 효율 특성이다. 또한, W-CDMA 신호입력에 대한 측정 결과, 28.4 dBm의 평균 출력 전력에서 27.8 %의 PAE와 5 MHz offset 주파수에서 -38.8 dBc의 ACLR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을 보였다. 그리고, 다항식 맞춤 방식의 디지털 전치 왜곡(Digital Predistortion: DPD) 선형화 알고리듬을 구현하여 제작된 전력 증폭기의 ACLR을 6.2 dB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pHEMT 전력 증폭기의 $IMD_3$ 비대칭성과 ACPR 특성 해석 (Analysis of Asymmetrical $IMD_3$ And ACPR Characteristics for pHEMT Power Amplifier)

  • 이강전;박찬혁;구경헌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21-224
    • /
    • 2005
  • This paper discribes the nonlinear distortion of a pHEMT power amplifier. In the paper, we have used some commercially available power amplifiers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D_3$ and ACPR for wireless LAN. And the $IMD_3$ results using two-tone test have been compared with ACPR to satisfy the requited 802.11g standard ACPR value. Measurement result shows that $IMD_3$ of 20MHz tone-spacing need to be more than 18.45dBc for power amplifiers. The WCDMA signal is fed into the power amplifier, for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symmetrical $IMD_3$ and ACLR. With measurement result, the asymmetrical $IMD_3$ characteristic h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wo-tone spacing. $IMD_3$ measurement result with maximum 20MHz of the two-tone spacing,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IMD_3(lower)$ and $IMD_3(upper)$ is about 7dB. And the measured ACLR shows 5dB difference at -4MHz and +4MHz offset from center frequ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