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5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2초

해조류 청각(Codium fragil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weed Sea Staghorn(Codium fragile) Ethanol Extract for Antioxidant)

  • 이주희;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67-472
    • /
    • 2019
  • 해조류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섬유소가 풍부하며 녹조류에 속하는 청각(Codium fragile)은 청각과이며, 우리나라,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안에 분포해 있고 우리나라와 각국에서 식재료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활성, FRAP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6.25, 12.50, 25, 50, $100{\mu}g/mL$ 농도에서 0.83, 22.83, 38.27, 40.93, 45.60%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23.13, 33.63, 33.93, 44.07, 59.07%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RAP과 ABTS도 앞에서 했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천연 소재인 청각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발효 생강나무 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fermented Lindera obtusiloba flower extract)

  • 박상남;윤중수;이옥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96-3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강나무 꽃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DPPH 실험, ABTS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폴리페놀 농도 측정, 플라보노이드 농도 측정을 통해 항산화 물질의 정량을 실시하였다. 플라보노이드, DPPH, ABTS에서는 발효 후의 항산화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플라보노이드 농도는 5.0%, DPPH 실험에서는 33.27%, ABTS 실험에서는 29.82%의 항산화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항염능 실험에서는 세포 독성 실험과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항염능을 알아보기 위한 NO 생성 억제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의 경우 대조군과 발효군 모두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지만 발효군에서 더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NO 생성 억제능의 경우 발효군이 대조군에 비해 50% 이상의 항염능 증가를 보여 발효 생강나무꽃이 기존 생강나무 꽃에 비해 더 개선된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함을 보였다.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하는 재료 침출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Herbs Used for Gamhongro-ju)

  • 이새롬;신혜현;황금택;정석태;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3-647
    • /
    • 2010
  • 전통 향약술의 하나인 감홍로주의 효능을 좀 더 과학적으로 탐구하기 위하여 감홍로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침출액들의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알코올 함량 45%, 60%의 정제주정(PE), 45% 재래식 증류주정(TDE)을 이용하여 주정 1000 mL에 계피, 방풍, 정향, 생강, 자초, 감초, 진피, 용안육을 각각 2.5 g씩 혼합하여 넣고 침출하였다. 알코올 함량 60%의 PE에 재료를 20 g씩 따로 넣고 침출하였다. 상온에서 90일 동안 침출하면서 30일마다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능은 폴리페놀 함량 및 ABTS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8가지 재료의 혼합 침출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45%와 60% PE에서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가지 재료를 각각 따로 침출하여 만든 침출액 중에서는 정향 침출액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폴리페놀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ABTS $IC_{50}$ 값은 45%와 60% PE와 45% TDE 침출액에 30일 동안 침출했을 때보다 90일 동안 침출했을 때 유의적으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침출 조건에 관계없이 대체적으로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능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가지 재료 침출액 중 ABTS $IC_{50}$ 값은 정향, 계피, 생강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DPPH $IC_{50}$ 값은 정향, 계피, 감초 침출액 순으로 낮았다. 생강 침출액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낮았으나, ABTS와 DPPH 실험에서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 폴리페놀 물질 이외에도 항산화능에 관여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실험을 통해 감홍로주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중 정향과 계피가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재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파프리카의 색상별 phytochemical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Color Stages and Varieties of Paprika Harvested in Korea)

  • 김지선;안지윤;하태열;이한철;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4-5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의 색상별, 품종별 phytochemical들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Phytochemical은 carotenoids, L-ascorbic acid, ${\alpha}$, ${\gamma}$-tocopher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파프리카에서 7종의 carotenoids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한 결과, lutein은 녹색과의 Special품종과 황색과의 Fiesta 품종이 각각 4.65${\pm}$0.84, 5.19${\pm}$0.05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그 함량이 높았다. 적색과의 Special 품종의 capsanthin 함량이 53.70${\pm}$6.23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carotenoids의 함량도 다른 파프리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L-Ascorbic acid는 녹색과에서 적색과로 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의 함량은 10.48-35.17 mg/kg fw으로 나타났으며, 녹색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gamma}$-Tocopherol의 함량은 녹색과의 Cupra와 Special에서 각각 29.31${\pm}$1.56, 23.34${\pm}$2.26 mg/kg fw로 다른 두 색상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lpha}$-tocopherol은 적색과 Cupra 품종에서 26.02${\pm}$2.89 mg/kg fw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파프리카의 색상별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색상의 파프리카 추출물이 ${\beta}$-carotene보다 그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적색과가 다른 색상의 파프리카에 비해 항산화능이 높았는데, 이는 적색과에 다량의 capsanthin, L-ascorbic acid, ${\alpha}$-tocopherol과 같은 phytochemical들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from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 우관식;송석보;고지연;서명철;이재생;강종래;오병근;남민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3-6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 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성분으로 총 polyphenol, flavonoid,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품종별 팥의 일반성분과 무기성분의 함량은 품종간에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특히 칠보팥(14.81%)의 식이섬유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태광콩과 대풍콩이 각각 38.70 및 34.61%로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으며, 칠보팥, 금실팥 및 밀양8호가 각각 20.76, 20.33 및 20.16%로 비교적 높은 수율을 보였고 중부팥이 13.78%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00-34.75 및 12.97-28.95 mg/g으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양6호는 각각 34.75 및 28.95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별 팥 추출물의 총 anthocyanin 및 proanthocyanidin 함량은 각각 5.89-23.77 및 1.83-3.29 mg/g으로 나타나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tocopherol 함량은 5.71-7.66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연금팥이 7.6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밀양6호 추출물이 각각 2.44 및 4.46 mg TEAC/mg extract residu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국내에서 개발된 팥 품종은 높은 항산화성분과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천연항산화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볶음 오크라 종자의 주요 기능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Roasted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Seeds)

  • 안율균;장기창;김천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64
    • /
    • 2013
  • 본 연구는 오크라 종자를 볶았을 때의 기능성을 성분을 분석하여 용도 다양화를 위한 볶음차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꼬투리 당 오크라 종자의 수는 '그린소드' 품종이 78개, '베니' 품종이 88개 이었고, 과실 당 종자무게는 각각 4.4g과 6.3g이었다. 볶은 오크라 종자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69mg{\cdot}g^{-1}$으로 생체종자의 $0.31mg{\cdot}g^{-1}$에 비해 8.7배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볶은 오크라 종자가 12.61mg CGA로 서 생체 상태보다 5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오크라 종자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및 ABTS의 경우 볶은 오크라 종자가 생체 상태의 오크라 종자 보다 약 2배 이상 월등히 높게 나타내었다.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FH185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and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 Park, Sun-Young;Cho, Seong-A;Lee, Myung-Ki;Lim, Sang-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1-17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FH185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and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The strain was found to have a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70.09±2.04% and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18.63±0.98%) at a concentration of 100 µg/m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rain supplementation on gut microbial changes in mice with diet-induced obesity, male C57BL/6J mice were fed on four different diets (i.e., A, normal diet (ND); B, high-fat diet (HFD); C, HFD with ABT-3 (109 CFU/day); and D, HFD with L. plantarum FH185 (109 CFU/day)) for 6 w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ecal pyrosequencing, the ratio of Firmicutes to Bacteroidetes in groups C and D was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s at the phylum level. At the family level, Lactobacillaceae in groups C and D was observed to dominate, while Lachnospiraceae in groups A and B was observed to dominate. At the genus level, Lactobacillus in groups C and D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in groups A and B.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ain supplementation on the reduction of adipocyte size, the left and right epididymal fat pads were quickly isolated after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adipocyte sizes were measured. In groups A, C and D, the percentage of 2,000 m2 of adipocyte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size of adipocyte, while the percentage of over 5,000 m2 of adipocyte was highest in group B. The mean adipocyte size of group D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group A, but smaller than that of group B.

만형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Extracts from Vitex trifolia L.)

  • 이미경;김동희;박태순;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25-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만형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은 DPPH, ABTS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74%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 한 결과 5, 10, 15, 20, $25{\mu}g/mL$의 농도구간에서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 저해활성을 측정 한 결과 $25{\mu}g/mL$에서 14%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MMP-1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25{\mu}g/mL$의 농도에서 50%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만형자 ethyl acetate 분획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문화사회를 위한 의식개선 사업에 관한 연구

  • 정지윤;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1-470
    • /
    • 2011
  • 우리나라는 정부차원에서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가족부, 법무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부처별로 필요한 분야에 한해 다문화 강사 양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07년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계획을 발표하고 2008년부터 각 교육청 주관으로 다문화교육 직무연수를 외부에 위탁하여 중앙 및 각 지방 다문화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현직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연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2008년에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였다. 그리고 여성부는 청소년, 이주노동자,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제공할 목적으로 2008년에 '다문화이해교육 강사양성' 과정을 개설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일회성에 머물러 지속적으로 연계되지는 못했다. 또한 보건복지가족부는 2007년에 '결혼이민자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 종하며 교육활동을 하기 위한 다문화 강사 80명을 일차적으로 양성하였다. 최근에는 각 지방자치단체별 다문화가족 지원센터에서 결혼이민자를 다문화 강사로 활용하여 청소년들에게 다문화 이해 교육을 제공하도록 하는 '다문화강사 양성과정'을 개별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설동훈 김찬기, 2009). 한편 법무부는 2008년 5월 다문화 이해증진 및 이민자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개발 추진에 우수 대학의 적극적인 참여 기회를 부여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대학의 새로운 학문 개척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공모 절차를 거쳐 20개의 ABT대학을 최종 선정하였다. 명지대학교는 2010년 3월부터 산업대학원 산업시스템경영학과 국제교류경영학석사 과정에서 국제교류경영 전문가 양성을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지원 경기도의 새로운 브랜드 가치 실현을 위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의식개선 사업'으로 사회통합 - 다문화사회 공동체 형성을 목표로 총4개의 컨소시엄 기관(시흥시, 수원시, 화성시외국인복지센터, 의정부시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이 형성되어 2010년 2월22에서 2010년12월20까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위한 의식개선 사업'을 통해 교육대상자 구분과 사업장 교육 지역별 구분과 일반인 교육 지역별 구분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의 다문화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독일어 양상불변화사 doch의 우리말 번역 가능성 (Koreanische $\"{U}bersetzungsm\"{o}glichkeiten$ von Modalpartikel 'doch')

  • 김희자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5집
    • /
    • pp.223-251
    • /
    • 2002
  • Modalpartikeln, die auch $Abt\"{o}nungspartikeln,\;W\"{u}rzw\"{o}rter,\;F\"{a}rbew\"{o}rter$ usw. genannt werden, galten eine Zeitlang als $\"{U}berfl\"{u}ssiges$. Aber mit der 'kommunikativ­pragrnatischen Wende' hat die Partikelforschung einen enormen Aufschwung genommen. Auch im Femdsprachenunterricht waren Partikeln als etwas Unwichtiges oder in anderen Worten etwas schwer zu Behandelndes geblieben und wurden deshalb zur Seite geschoben. Mit Hilfe der Aufschwung der Partikelforschung in Deutschland untersuchte ich koreanische $\"{U}bersetzungsm\"{o}glichkeiten$ von Modalparikeln. Ich $\"{u}bernahm$ Diewaldische Methode. Sie $schl\"{a}gt$ ein Beschreibungsschema vor: Modalpartikeln haben verweisende und $verkn\"{u}fende$ Funktion. Sie weisen $n\"{a}hmlich$ auf den pragmatischen $Pr\"{a}text\;zur\"{u}ck$ und bringen ihn in relevanter Situation mit der Modalpartikel enthaltenden $\"{A}u{\ss}erung$ in Beziehung. Da braucht man also drei Ebenen: pragmatischer $Pr\"{a}text$, relevante Situation und partikelhaltige $Au{\ss}erung$. Die Schwierigkeit der $\"{U}bersetzungsm\"{o}glichkeiten$ von Modalkartikeln besteht darin, jeweiligen $Pr\"{a}text$ und jeweilige relevante Situation wiederherzustellen und auszudrticken. In diesem Aufsatz geht es nur um 'doch'. 'doch' ist eine der $h\"{a}ufigsten$ Modalpartikeln und tritt in vielen verschidenen Satzarten. 'doch' tritt in Aussage-, Imperativ-, Ausrufe­und Wunschsatzen auf. $Au{\ss}erdem$ tritt 'doch' in $Erg\"{a}nzungsfragen$ und Entscheidungsfragen mit Intonation auf und ist aber nur bei 'echten' Fragen ausgeschlossen. Aus der diachronischen Bedeutungsentwicklung und dem Bedeutungsvergleich zu ihren Homonymen stellten sich die semantischen Merkmale von 'doch' als $Adversativit\"{a}t\;und\;Konzessivit\"{a}t$. Aber diese semantischen Komponenten werden bei dem Modalpartikel $abgeschw\"{a}cht$ und pragmatische Faktoren werden in verschiedenen $Verwendungsm\"{o}glichkeiten$ verstarkt. Unter $Ber\"{u}cksichtigung\;jeweiligen\;Pr\"{a}textes$ und relevanter Situation schlug ich koreanische $\"{U}bersetzungsm\"{o}glichkeiten$ von 'doch' je nach der Satzart und nach der $Verwendungsm\"{o}glichkeit$ v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