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회관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1초

여성회관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talization Way of Gyeonggi Women's Center: Centering on Gyeonggi-do)

  • 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55-162
    • /
    • 2022
  • 여성정책을 실질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여성의 능력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여성복지 증진의 거점이 되는 여성회관의 활성화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여성회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경기도 여성회관의 역사, 기능, 운영 측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경기도 여성회관은 현재의 기능을 활용하여 성평등 의식을 확산시키고, 여성의 사회활동과 복지증진을 위해서 패러다임 관점에서 기능통합과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적인 커뮤니티센터 역할을 경기도 여성회관이 주도하기 위해서는 시·군 네트워크 활성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셋째, 여성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내·외적 자원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며 코디네이터의 역할 수행을 경기도 여성회관이 담당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기도 여성회관은 경기도 여성회관협의회와 긴밀한 소통을 통하여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여성회관이 나아가야 할 방안을 제언하였다.

U다목적 문화예술회관의 리모델링시 개선전후의 시뮬레이션 및 음향측정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coustic in Multi-purpose Auditorium Using Remodeling and Computer Simulation)

  • 손장열;김정중;김용국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08-815
    • /
    • 2003
  • 최근에 이르기까지 문화예술회관들이 대중들의 문화적인 욕구에 의하여 많이 건립되었으나 대중들과 음악가와 연주자들을 도외시한 채 건축음향 기획 없이 건립되어진 많은 문화예술회관들이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지방재정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민영화로 독자적으로 운영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쟁체제에서 많은 문화예술회관들이 음향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대책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U문화예술회관의 대공연장을 중심으로 대공연장의 음향특성을 측정분석하고 최근 6년간의 공연장의 장르별 이용률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측정 결과를 중심으로 대공연장의 개선방향을 설정하고 음향 시뮬레이션를 통한 음향인자를 (잔향시간 (RT60, EDT), 명료도(C80, D50), LF, 음압레벨) 비교분석 평가하였다. 그리고 설계에 반영 벽체에 음향 보강 반사판을 시설하고 분석하여 리모델링 공사 후 음향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벽체에 시공된 반사판의 효능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DEA에 의한 수도권 소재 문화예술회관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for the Community Culture Center in Capital region by DEA)

  • 주희엽;김승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81-189
    • /
    • 2012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문화예술회관의 지역별 운영주체별 효율성을 분석한 것이다. 최근 문화산업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다. 또한 지역문화산업의 근간으로 문화예술회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따라서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예술회관의 운영상에 효율성을 재고하여야 한다. 문화예술회관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공공기관 효율성 분석도구인 DEA를 이용하였으며, 이는 운영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서울, 인천, 경기도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운영기관, 공단운영기관, 재단법인기관, 민간위탁기관의 효율성이 나타내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기관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인천 소재의 문화예술회관은 효율적이지 않았다. 운영주체별로 살펴보면, 직접운영기관과 공단운영기관은 효율적으로 운영되었다. 반면에, 재단법인기관과 민간위탁기관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었다.

지역 문예회관의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rand Programs for Regional Culture & Art Centers)

  • 박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32-1540
    • /
    • 2012
  • 본 논문은 지역 문예회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의 문화향수 현황과 문예회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속적이며 발전 가능한 브랜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모색했다. 인터랙티브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시스템화와 매뉴얼화, 독창적이며 개별적인 동시에 보편적인 소재의 요소를 갖춘다면 지역 문예회관의 경쟁력 있는 브랜드 프로그램으로서 지역 중심의 다양화된 문화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산시 공공문화회관의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lity Design of the Public Culture Halls in Busan City)

  • 배윤지;김명수;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346
    • /
    • 2010
  • 도시 환경은 인간 삶을 영위하기 위한 공동체 영역으로 도시 환경을 안전하고 쾌적하게 그리고 자연과 더불어 도시의 공간을 개선 발전시키고 있다. 도시의 궁극적 목적은 도시 내 기거하는 주민에 대해 창조적 환경을 조성해 주는 데 있으며, 이러한 창조적 환경은 공공 공간을 통해 주민과 환경사이에 최대한의 상호작용을 발생시켜주는 소통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지역 내의 구차치 공공문화회관 시설 현황과 구민의 활용도를 조사하고 자치구와의 정체성과 연계관계를 조사한다. 또한 공공문화회관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주민의 의식도를 조사한다. 이러한 연구는 주민자치에 따른 공공영역에 대한 자발적인 주민의사와 책임의식을 고취 시키며 질적으로 향상된 공공문화회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서비스공간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 22개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Program Space Layou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 Case study of 22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Honam Province -)

  • 유은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1-110
    • /
    • 2007
  • 현재 노인복지회관은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에 근거한 노인여가시설로 규정되어, 각 시도별로 건립되고 있지만, 각 시설 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지방자치제의 전면적 실시로 인해 각 자치단체별로 건립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호남지역의 경우 2005년 36개소가 운영 중이며 노인복지회관의 건립 형태를 보면, 노인인구를 고려하여 건립되기보다는 지방자치단체별로 건져되고 있어 이용서비스프로그램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간구성계획이나 면적구성계획들에 관한 세부계획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을 조사대상으로 연면적분류에 따른 이용서비스프로그램 공간분류와 공간위치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이용공간으로 상담지도공간, 의료재활공간, 사회교육공간, 복리후생공간, 관리공간의 각 시설의 공간규모와 구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연면적에 따른 이용서비스공간구성과 규모를 분석하여 향후 노인복지회관의 공간구성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노인의 행태를 고려한 노인복지시설의 실내환경 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노인복지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 for Welfare Centers of the Aged with Regard to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 Focusing on welfare centers for elderly People in Gwangju -)

  • 유은영;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1-190
    • /
    • 2005
  • 노인들의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의 여가생활을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서비스 및 시설 확충에 대한 계획안을 마련하여 실행하고 있으나, 아직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단기간에 양적 증가에만 치중하고 있어 수요자인 노인들의 특성과 행태를 고려한 수준 높은 노인복지시설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재 노인복지회관이 실내환경에서 노인의 행태와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하고 있는가를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위한 이론적 기초는 노인환경심리와 행태에 따른 관련 문헌과 디자인 측면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자료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를 7가지 분석 기준안을 토대로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공간분류로는 공동공간과 개별서비스공간으로 분류하여 각 회관별로 실내공간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여, 광주광역시 각 노인복지회관 적용하여 노인의 행태 관련된 디자인 특성내용들을 추출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광주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노인복지회관 건립 시, 노인복지와 여가의 질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실내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 PDF

대학 캠퍼스 중앙 코어와 학생회관의 배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mpus Main core and Arrangement System of University Student's Union Building)

  • 박기수;이상효;이윤선;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35-1038
    • /
    • 2007
  • 한 나라의 사회복지 시설과 제도로 그 나라 국민 생활의 질과 수준을 가늠할 수 있듯이, 대학의 학생복지 시설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도움을 주는 제반 시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다. 오늘날 대학사회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개인주의와 학과에 대한 소속감결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책으로서 학생회관이 갖는 기능적 측면을 보다 극대화하여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건축적 환경을 제공하는 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또한 대학인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대학 캠퍼스의 바람직한 계획 방향과 학생들의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대학 복지 시설로서의 바람직한 학생회관 배치계획 방향에 관해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소도시 문예회관 계획에 대한 연구 - 홍성군 광천복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ultural Art Center in Small City)

  • 한종구;장동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9
  • The study performed literature survey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facilities for planning a reasonal architectural plan of being prearranged Gwangcheon cultural art center erection at the old central district of Gwangcheon-Eup(town) in Hongseong-Gun(County), Chuncheongnam-Do(province). It was verified that the law and regulations related with cultural art facilities did not make clear statement of the concept of cultural art center and classified it as a public performing place of a kind of performance facilities. The types of cultual facilities could be classified as performance facilities, libraries, regional cultural welfare facilities, cultural promotion and instruction facilities and they were studied respectively. The main functions of cultural art center was studied with art enjoyment function and art creation func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2 cultural welfare facilities in Hongseong-Gun(county) however there was no cultural facilities in Gwangcheon-Eup(town) except 1 libraries. So the building of Gwangchoen cultural art center is needed. The location Propriety analysis is conducted and proved appropria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studies, the direction of planning, conception of Plan and facilities program were conceived and finally the architectural plans were proposed.

  • PDF

농촌노인의 복지향상을 위한 마을회관의 공간활용방안(2) - 마을회관 대안에 대한 노인의 평가 - (Efficient Usage Plan of Village Community Center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s of Village Community Center by Elderly Residents -)

  • 오찬옥;최병숙;박선희;김주석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1-78
    • /
    • 2008
  • The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esign alternatives and guidelines of village community center as a common living spac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First, two design alternatives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examined the conditions and old persons' needs of village community center. Then, the design guidelines were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elderly's evaluation for those two alternatives. The subjects were 85 old residents who were more than 60 years old and lived in rural area in Gyungnam. The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models, and isometrics of two alternatives. The subjects evaluated positively both of two alternatives. The design guidelines of village community center were derived as follows: Both of two alternatives can be used as a model of village community center. The dining and living space in the center should be opened and large. Both of indoor and outdoor toilet should be arranged in village community center. Also, each toilet for man and woman should be separ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