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6th Curriculum

Search Result 5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화학 I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수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ognitive Levels of 11th Grade Students and Cognitive Levels Required by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 김은숙;박광서;오창호;김동진;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45-653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GALT 축소본을 이용하여 인지수준을 조사하였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의 물과 공기 두 개 단원에서 15개의 과학 개념을 추출하고, CAT 분석틀을 이용하여 화학I 교과서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52.5%가 형식적 조작기 수준에 도달했으며, 28.3%의 학생들은 과도기 수준에, 나머지 19.5%의 학생들은 구체적 조작기 수준에 있었다.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68.9%,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6.6%가 형식적 조작기 수준에 도달하였고, 논리 유형별 형성정도도 계열별 차이가 매우 컸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인지수준을 분석한 결과, 일부 탐구 활동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교육과정의 변화에도 과학 개념의 인지요구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개념의 인지수준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나, 탐구 활동의 인지수준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과 비슷한 편이었다. 현직 화학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가 제6차 교육과정의 화학I 교과서에 비해서 내용 축소와 실생활 소재를 많이 반영하고 있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으나, 과학 개념이 너무 축소되어 화학I 교과서와 화학II 교과서 사이의 내용 수준에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I 교과서 내용이 형식적 조작기 수준을 많이 요구하고 있으므로, 고등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ies)

  • 김남균;오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1호
    • /
    • pp.21-38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년과 성적에 따른 실태를 조사하였다. 공간 능력은 크게 공간관계와 공간시각화로 나누고 그 하위요소들을 각각 3가지와 5가지로 두어 자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년에 따른 공간능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고학년일수록 그 능력이 높았으며, 성적에 따른 공간능력의 경우, 성적 우수 아동이 그 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해당 공간능력을 다루느냐, 다루지 않느냐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와 관련하여 교수학습 과정 및 현재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Chemistry and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 임미경;유미현;남석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69-8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 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 '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 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활 속 과학' 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제7차 초등학교 $3{\sim}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외적 표상들의 활용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강훈식;윤지현;이대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58-16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3{\sim}6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and the research results on learning with the multiple represen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of the macroscopic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ymbolic external representations.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ith drawing and/or writing, especially writing,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out drawing and/or writing. However, the most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were rarely us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or the theories (e.g., personalization principle, dual coding theory, cognitive load theory, and social constructivism theory) for effective uses of the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to establish the effective uses of the external representations in the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learners but also teachers.

  • PDF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 박교식;김지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203
    • /
    • 2015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ll$K-지도서$\gg$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 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ll$K-지도서$\gg$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ll$K-지도서$\gg$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ing Methods in the 6th and the 7th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a)

  • 최선영;강호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06-716
    • /
    • 2002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 탐구 기능과 교수 학습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과학탐구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초탐구 기능은 증가하였으나 통합탐구 기능이 감소하였다. 둘째, 제6차에서는 조사 학년 모두에서 기초탐구 기능보다 통합탐구 기능의 비율이 높았고, 제7차에서는 저학년에서는 기초탐구 기능이, 고학년에서는 통합탐구 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과학탐구 기능을 기초탐구 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기초탐구 영역에서는 관찰기능이 각각 63.8%, 54.4%, 통합탐구 영역에서는 문제인식에 관한 탐구 활동이 각각 75.3%, 82.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탐구 기능 전체를 비교해 볼 때 제7차 교육과정에서 관찰(24.8%), 분류(5.4%), 측정(5.6%), 추리(6.0%), 자료해석(4.4%) 기능이 증가하였고, 예상(3.8%), 가설 설정(0.5%), 변인통제(1.8%), 자료변환(1.2%), 결론도출(0.8%), 일반화(0.9%) 기능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관찰학습이 감소한 반면에, 실험학습, 토론학습, 조사 및 과제학습과 창의학습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과서는 제6차에 비해 기초탐구학습과 통합탐구기능이 학년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구성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An Analysis of Teaching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임지애;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86
    • /
    • 2003
  •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의 지도 방법을 1차에서 7차까지 각 시기별로 ① 지도 방법 및 시기, ② 학습 세분 활동의 제시 순서와 방법, ③ 학습 소재, ④ 학습 활동 지시어의 유형 등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비율그래프를 제외한 나머지 통계 그래프에 관한 내용은 대체로 각 학년의 2학기에서 지도되었다. 비율그래프는 6학년 1학기에서 주로 지도 되었다. 학습활동의 세부화는 1차에서 7차까지 점차 증가하면서 4차부터 구조적이고 안정적인 형태로 정착되었다. 학습 소재는 사회적 특성에 대한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개인적 선호도에 대한 것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학습 활동 지시어의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형이 많이 제시되었고, 점차 진술 및 조작형과 사고형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2007 교육과정 개정 전과 후의 실과 및 가정과 의생활 교육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 박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60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의생활교육을 통시적으로 고찰한 문헌연구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문헌을 통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였고, 2007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학교교육법 이전의 의생활에 관한 교육은 비형식적으로 가사기술, 생활기술, 가정기술의 일부로 행해져왔다. 그러므로 형식적인 학교교육이 시작되는 구한말부터 시작하여 이후 해방 전과 후로 분류하여 의생활교육의 변천내용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전과 후의 의생활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구한말과 해방 전에는 재봉, 수예, 가사 위주의 의생활교육이었으나, 해방 후에는 가정교과 속의 의생활 영역으로 자리 매겨졌다.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는 시수도 많고 내용도 심화되었으며, 특히 제4, 5차 교육과정기에는 가정생활 영역이 강화되는 계기를 맞았다.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시수는 줄었으나, 학년의 확대와 함께 이론과 실기의 균형은 고려되었으며, 중등 가정과는 독립교과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기에 초등에서는 기능편중의 균형이 맞지 않은 의생활교육이 이루어졌고, 중등은 기술과 가정 교과의 통합으로 인하여 명칭에 있어서는 독립성이 없어지고 내용면에서도 축소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후의 의생활 내용은 학년간의 균형있는 분배, 내용에서 이론과 실기의 균형있는 배분, 교육수요자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의생활교육상 많은 개선과 진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 내용인지는 앞으로 더 연구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의생활 교육내용이 가정교과의 기본요구와 같은 내재적 원리 이외에도 학습자의 요구나 사회적 필요성과 같은 외재적인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 교육과정의 기본원칙이므로 학습자 중심의 본 교육과정 하에서는 패션소품 제작, 유행을 고려한 옷차림 등 학생들이 관심있는 내용을 고려,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2007년 개정 초등 5, 6학년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탐구 활동 분석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Matter Units from the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지은;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matter' units from each science textbook for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rs developed by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Practical Activity Analysis Inventory proposed by Millar(2009) to examin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ha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objects and materials), minds-on contents(what students have to 'do' with ideas), and logical structure each activity h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learning objectives of the inquiry activities seems to be suitable for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properly reflected in ha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Third, minds-on contents of inquiry activities are well developed to meet the standards of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whole. Fourth, the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are mostly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textbook for the fifth graders, however, all the activities are focusing too much on using students' current ideas to generate a prediction and collecting data to explore or test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has concluded that learning objectives, minds-on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s of inquiry activities need to be designed carefully for students to be exposed to various activities when developing following textbooks.

초등 6학년의 학교 통계와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Statistics and Statistical Literacy of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임다미;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91-4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확률과 통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통계적 소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래서 통계적 소양의 이론적 틀을 분석하고, 교과서 내용과 연관되는 요소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확률과 통계의 내용에 대한 성취 정도와 통계적 소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6학년의 통계적 소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완해야 될 요소를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