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Reading Materials Presented in Chemistry and Science Textbooks and Survey on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화학 및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읽기자료 분석 및 활용도 조사

  • Received : 2012.04.24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 for identifying the problems of reading material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For this purpose, each four 7th curriculum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ading materials, the type of contents and the type of students' activities. In additio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about utilization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ylizing reading materials in chemistry I textbooks showed that and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were presented from 7.9 to 17.1% in 7th curriculum and from 20.6 to 28.2% in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 It implies that the rate of reading materials in 2009 revised textbooks increases more than those in 7th curriculum textbook.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contents, 'life sciences'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34.3 % in the 7th curriculum chemistry I, but 'enrichment and supplement of knowledge' was the largest proportion with 23.7%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alyzing the type of student activities, only 13% of the reading materials in 7th National Curriculum textbook was found to be inquiry type, but 35%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ppears to be inquiry type. It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objectives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Second,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ation science textbooks, 67%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d the reading materials in their science class, but teachers who didn't use the reading materials was almost 33%. A large number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needed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ought that the reading materials about 'life and scien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ience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읽기자료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고, 과학 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 및 2009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 I 교과서 각 4종을 택하여 읽기자료의 수, 내용에 따른 제시 유형과 학생의 활동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I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화학I 교과서에서는 읽기자료의 비율이 7.9%~17.1%로 나타났으며, 2009개정 화학 I 교과서는 20.6 28.2%비율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과서의 읽기자료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읽기자료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활 속 과학'이 34.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2009개정에서는 '지식의 심화보충'이 2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 활동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은 읽기자료 13%만이 탐구형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9개정에서는 35%가 탐구형 자료로 나타나 학생의 탐구활동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목표가 반영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 교과서활용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67%에 해당하는 교사가 현재 과학 교과서 읽기자료를 수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활용하지 않는 교사도 33%나 되었다. 많은 교사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통합적 교육을 위해 읽기자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생활 속 과학' 읽기자료가 교과서에 좀 더 많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