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6학년의 학교 통계와 통계적 소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Statistics and Statistical Literacy of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투고 : 2017.04.24
  • 심사 : 2017.05.22
  • 발행 : 2017.05.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확률과 통계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통계적 소양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래서 통계적 소양의 이론적 틀을 분석하고, 교과서 내용과 연관되는 요소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확률과 통계의 내용에 대한 성취 정도와 통계적 소양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6학년의 통계적 소양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완해야 될 요소를 알아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6th graders' achievement level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ucation, which were proposed in the curriculum, which targeted the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statistical literacy. For this, first, questions asking the achievement level 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Part A), and questions asking the statistical literacy(Part B), were used to study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Second, the achievement level in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the statistical literacy were measur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10 questions was invente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Part 1 and Part 2 under the consideration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high, medium, and low" and were separated into 7 categories. Results of comparing category 3 and category 6, which have shown opposing tendencies, we could find that students who are good at school mathematics and students with high statistical literacy have respective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actually effective statistical education, consideration upon and reflection of core aspects such as intuition and critical thinking in the curriculum ar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영 (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 121-137.
  2.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주)천재교육.
  3. 교육부 (2015b). 수학 4-1.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부 (2015c).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5. 교육부 (2015d). 수학 5-2. 서울: (주)천재교육.
  6. 교육부 (2015e). 수학 5-2.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육.
  7. 김상룡 (2009). 초등 통계 교육의 문제점 및 그 해결방안. 초등수학교육, 12(2). 133-143.
  8. 김진호 (2016). 빅데이터가 만드는 4차 산업혁명. 북카라반.
  9.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10.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11. 우정호 (2007).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 제 2 증보판. 서울대학교출판부. 494.
  12. 오현선 (2009). 한국과 영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분석-확률과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경화 (2016). 통계, 통계교육, 그리고 통계교육연구로의 시간여행. 수학교육, 49(2), 41-56.
  14. 이경화, 유연주, 홍진곤, 박민선, 박미미 (2010). 수학 우수아의 통계적 개념 이해도 조사. 학교수학, 12(4), 547-561.
  15. 이경화, 지은정 (2005). 표본 개념의 교육적 의의와 인식특성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77-196.
  16. 임지애, 강완 (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1). 65-86.
  17. Ben-zvi. D., Garfield. J.(Ed.) (2004).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이경화, 지은정,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이동환, 이은경, 이정연, 박민선, 박미미 역 (2010). 통계적 사고의 의미와 교육. 서울: 경문사.
  18. Gal. I. (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pp. 1-51. https://doi.org/10.1111/j.1751-5823.2002.tb00336.x
  19. Watson. J. (2006). Statistical Literacy at School: Growth and Goals. 박영희 (역) (2013). 학교에서 어떤 통계를 배워야 하지? 통계적 소양의 성장과 목표. 서울: 경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