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of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2007 교육과정 개정 전과 후의 실과 및 가정과 의생활 교육내용 분석

  • Park, Soon-Ja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박순자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historically reviewed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through references.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had been informally offered as a part of household skill, skill of daily life and home skill before the law of school education was established. Therefore, we have reviewed the changes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by separating the prior period between the end of the old Korea and the liberation in 1945, from the later period from the liberation up to now. And also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had put emphasis on sewing, handicraft and household during the prior period from the end of the old Korea to the liberation, but after liberation, it became involv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had been increased and deepened from the 1st term to the 5th term of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4th and 5th term of curriculum became a turning point where home life section was intensified. Even though the number of classes was reduced during the 6th term of curriculum, with increase in target school grades for this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 remained an independent subject matter. However, during the 7th term of curriculum,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courses led to losing independent subject name and shrinking its contents. Through the revision in the 7th curriculum,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achieved great improvement and progress by gaining balance in distribution of contents among school grades and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However it still remains as an issue to be more studied and resolved how well the contents are matched with the interests and attention of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and reflect request of students under learner-centered curriculum. Considering enormous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t is crystal clear that the gap between existing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and our real life will be widened. Because students' perceptions of value have been diversified, it is our task to develop better contents and learning system in order to help students have interests, attention and desire in clothing and textiles life in line with social needs for desirable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의생활교육을 통시적으로 고찰한 문헌연구로 의생활 교육내용을 문헌을 통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였고, 2007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학교교육법 이전의 의생활에 관한 교육은 비형식적으로 가사기술, 생활기술, 가정기술의 일부로 행해져왔다. 그러므로 형식적인 학교교육이 시작되는 구한말부터 시작하여 이후 해방 전과 후로 분류하여 의생활교육의 변천내용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전과 후의 의생활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구한말과 해방 전에는 재봉, 수예, 가사 위주의 의생활교육이었으나, 해방 후에는 가정교과 속의 의생활 영역으로 자리 매겨졌다.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제5차 교육과정기까지는 시수도 많고 내용도 심화되었으며, 특히 제4, 5차 교육과정기에는 가정생활 영역이 강화되는 계기를 맞았다. 제6차 교육과정기에는 시수는 줄었으나, 학년의 확대와 함께 이론과 실기의 균형은 고려되었으며, 중등 가정과는 독립교과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기에 초등에서는 기능편중의 균형이 맞지 않은 의생활교육이 이루어졌고, 중등은 기술과 가정 교과의 통합으로 인하여 명칭에 있어서는 독립성이 없어지고 내용면에서도 축소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후의 의생활 내용은 학년간의 균형있는 분배, 내용에서 이론과 실기의 균형있는 배분, 교육수요자들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의생활교육상 많은 개선과 진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 내용인지는 앞으로 더 연구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겨졌다. 의생활 교육내용이 가정교과의 기본요구와 같은 내재적 원리 이외에도 학습자의 요구나 사회적 필요성과 같은 외재적인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 교육과정의 기본원칙이므로 학습자 중심의 본 교육과정 하에서는 패션소품 제작, 유행을 고려한 옷차림 등 학생들이 관심있는 내용을 고려,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