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skin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29초

NF-κB 조절을 통한 오매추출물의 항염효과 및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Mechanism of Prunus mume Extract Regarding NF-κB)

  • 서원상;오한나;박우정;엄상용;이대우;강상모
    • KSBB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50-57
    • /
    • 2014
  • NF-${\kappa}B$ is a transcriptional factor which is involved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immunity, inflammation, and cell survival. Many investigators studied on the mechanism involved in activation of NF-${\kappa}B$ signalling pathway via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of $I{\kappa}B$ regarding skin disease. Some specific molecules including Akt, MEK, p38 MAP Kinase, Stat3, et al. represent convergence points and key regulatory proteins in signaling pathways controlling cellular events such as growth and differentiation, energy homeostasis, and the response to stress and inflammation. Ultraviolet (UV) irradiation has many adverse effects on skin, including inflammation, alteration in the extracellular matrix, cellular senescence, apoptosis and skin cancer. Prunus mume, a naturally derived plant extract, has beneficial biological activities as blood fluidity improvement, anti-fatigue action,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hibiting the motility of Helicobacter pyolri. Previous reports on various beneficial function prompted us to investigate UVB-induced or other immunostimulated biological marker regarding P. mume extract. P. mume extract suppresses UVB-induce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mouse skin epidermal JB6 P+ cells. The activation of activator protein-1 and nuclear factor-${\kappa}B$ induced by UVB was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P. mume extract treat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P. mume extracts might be used as a potential agents for protection of inflammation or UVB induced skin damage.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발효 용해물의 피부 미생물 조절 효과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Fermented Products as Potential Skin Microbial Modulation Cosmetic Ingredients)

  • 김한별;명길선;이현기;최은정;박태훈;안수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3-29
    • /
    • 2020
  • 피부에는 여러 종의 미생물들이 군집을 이루며 서식하고 있고,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드름, 건선 및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는 피부 미생물의 균형이 깨져 건강한 피부와는 다른 미생물 군집 구성을 보인다.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의 조절은 이러한 피부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Quorum sensing (QS)은 세포간 전달인자로, QS을 조절하면 유해균의 바이오필름 형성이나 효소 분비등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역시 피부 미생물 군집 구성에 영향을 준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의 특허 성분인 유산균 발효 용해물(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KCCM 11179P 이용)의 QS억제능력 및 피부 유익균과 피부 유해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유산균 발효 용해물 10 ㎍/mL 처리시, QS에 의해 제어되는 Chromobacterium violaceum의 자주색 안료 생산을 대조군 대비 27.4% 감소시켰다. 또 피부 유익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장을 대조군 대비 12% 증가 시켰고, 피부 유해균인 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을 38.5% 감소, 바이오필름 형성을 17.7% 감소시켰다. S. epidermidis를 같은 속(genus)에 포함되어 있는 대표적인 피부 유해균 Staphylococcus aureus와 함께 공배양 하였을 때 S. epidermidis의 생장은 대조군 대비 134% 증가시켰고, S. aureus의 생장은 13%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L.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이용한 발효 용해물은 피부 미생물의 균형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Effects of Collagen Tripeptide Supplement on Photoaging and Epidermal Skin Barrier in UVB-exposed Hairless Mice

  • Pyun, Hee-Bong;Kim, Minji;Park, Jieun;Sakai, Yasuo;Numata, Noriaki;Shin, Jin-Yeong;Shin, Hyun-Jung;Kim, Do-Un;Hwang, Jae-K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245-253
    • /
    • 2012
  • Collagen tripeptide (CTP) is a functional food material with several biological effects such as improving dry skin and wound and bone fracture heal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anti-photoaging effects of CTP on a hairless mouse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CTP on UVB-induced skin wrinkle formation in vivo, the hairless mice were exposed to UVB radiation with oral administration of CTP for 14 week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UVB control group, mice treated with CT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wrinkle formation, skin thickening,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Skin hydration and hydroxyproline were increased in the CTP-treated group. Moreover, oral administration of CTP prevented UVB-induced MMP-3 and -13 activities as well as MMP-2 and -9 expressions. Oral administration of CTP increased skin elasticity and decreased abnormal elastic fiber formation. Erythema was also decreased in the CTP-treated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TP has potential as an anti-photoaging agent.

쿠메스트롤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증가를 통한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oumestrol on Ultraviolet B-Induced Skin Photoaging through Mitochondrial Biogenesis)

  • 김수경;김정기;서대방;이상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7-245
    • /
    • 2012
  • 쿠메스트롤은 식물이 스트레스에 대항해 합성하는 phytoalexins의 일종으로, 알팔파 새싹, 클로버, 콩나물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쿠메스트롤의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진피세포 광노화 예방 효능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쿠메스트롤 전처리는 자외선 B 조사에 의해 감소된 Sirt1 단백질 발현 및 활성과 하위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PGC-$1{\alpha}$, NRF1, TFAM의 발현 변화를 감소시켰다. 또한, ATP 및 ROS 생성량을 정상화시키고 피부 노화를 유도하는 최종당화산물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쿠메스트롤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진피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손상 및 이에 따른 당화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광노화 현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에토좀 제형에 관한 연구 (Eth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90-195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투과를 평가하였다. 0.06% 사자발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담지한 에토좀은 3주 동안 보다 더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크기를 유지하였다. 0.06%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87.05{\pm}0.25nm$, 포집효율은 $51.96{\pm}0.01%$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 제형은 일반 리포좀이나 20%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큰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Photoprotective Potential of Penta-O-Galloyl-β-D-Glucose by Targeting NF-κB and MAPK Signaling in UVB Radiation-Induced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Mouse Skin

  • Kim, Byung-Hak;Choi, Mi Sun;Lee, Hyun Gyu;Lee, Song-Hee;Noh, Kum Hee;Kwon, Sunho;Jeong, Ae Jin;Lee, Haeri;Yi, Eun Hee;Park, Jung Youl;Lee, Jintae;Joo, Eun Young;Ye, Sang-Kyu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1호
    • /
    • pp.982-990
    • /
    • 2015
  • Exposure of the skin to ultraviolet radiation can cause skin damage with various pathological changes including inflamm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skin-protective activity of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pentagalloyl glucose, PGG) in ultraviolet B (UVB) radiation-induced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mouse skin. PGG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with regard to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s well a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scavenging. Furthermore, PGG exhibi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resulting in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Topical application of PGG followed by chronic exposure to UVB radiation in the dorsal skin of hairless mice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gression of inflammatory skin damages, leading to inhibited activation of NF-${\kappa}B$ signaling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PGG protected from skin damage induced by UVB radiation, and thus, may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stimuli-induced inflammatory skin damage.

돌나물추출물에 의한 사람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yaluronan Synthesis 촉진과 인체 피부의 보습력 증진 (Sedum sarmentosum Enhances Hyaluronan Synthesis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s and Increases Water Content in Human Skin)

  • 심관섭;김진화;이동환;나영;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 (HAS) mRNA 발현과 hyaluronan (H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돌나물추출물이 가지는 인체 피부에서의 보습력 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돌나물추출물 처리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에서의 HAS-1, -2, -3 mRNA 발현 변화는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살펴보았고, HA의 생성량 변화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인체 피부에서의 수분함량 및 피부 수분 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은 Corneometer와 Tew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나물추출물은 사람 각질형성세포의 HAS-2, -3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HA의 생성량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사람 피부에서는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감소시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돌나물은 피부에서 HA 생산을 촉진시키며,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화장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배 '신고'의 생육기에 나타나는 과피얼룩과의 발생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Growing Period in 'Niitaka' Pear)

  • 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8-204
    • /
    • 2014
  • '신고'배에서 나타나는 과피얼룩과 발생을 경감하기 위하여 생육기 동안 몇 가지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과피얼룩 증상은 유과기(5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 시까지 나타났으며 과육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과피얼룩과 발생은 수세가 정상적인 나무, 지베렐린 과경 도포 처리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나, 아미노산 수체살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에서는 칼슘이 코팅된 봉지 및 석회유황합제가 코팅된 봉지에서 과피얼룩과 발생이 낮았다. 봉지 내지에 석회유황합제 및 콩기름 도포는 과피얼룩이 아닌 약해를 유발시켰다. 과피얼룩 발생과의 수피 및 과피는 K 농도가 높았으나 엽에서는 T-N 및 K 농도는 오히려 낮았다.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다이드제인의 파이토에스트로겐 효과 (The Phytoestrogenic Effect of Daidzei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미선;홍찬영;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79-287
    • /
    • 2014
  • 폐경 이후 여성에서 발생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피부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피부의 정상적 상태와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지난 10여 년간 보고된 많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에스트로겐은 폐경 이후 여성의 피부에서 콜라겐 감소를 막아주고, 탄력을 회복시키며, 건조한 피부를 개선시키는 등의 피부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로 인해 파이토에스트로겐이라 알려진 이소플라본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을 보호하는 기작이 널리 알려져 왔으나 피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콩류 등에 많이 함유된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 및 효능을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한 transcriptional activity에 미치는 효과를 luciferase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다이드제인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estrogen receptor-dependent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음으로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다이드제인이 세포외 기질단백질 성분들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이드제인은 콜라겐 타입 I, 콜라겐 타입 IV, 엘라스틴 및 피브릴린-1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에스트로겐 단독 효능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이드제인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이드제인은 기존에 알려진 이소플라본의 광보호 효능과 더불어 파이토에스트로겐 효능을 가짐으로써 갱년기 여성의 피부 안티에이징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Hairless Mice에서 UVB로 유도된 피부손상에 인삼추출물(Ginseol K-b1)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Ginseol K-b1) on UVB-induced Skin Damage in Hairless Mice)

  • 장정화;황세희;이은주;;이진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4-230
    • /
    • 2012
  • $In$ $vivo$ 동물 모델에서 10주간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사람 피부섬유아세포에 Ginseol K-b1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반복적인 UV 조사에 의해 7주 후부터 hairless mice의 주름이 육안으로 확인되며, Ginseol K-b1 0.0625%(w/w) 농도로 함유한 사료의 10주간 섭취는 UV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주름 생성의 정도를 억제시켰다. 피부 표피 두께 역시 Ginseol K-b1섭취군은 UV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작았다. 2. UV 조사는피부 수분 함량 및 탄력도를 감소시키며, Ginseol K-b1의 섭취는 표피 수분량 저하 및 탄력 감소를 유의적($p$<0.05)으로 억제하였다. 3. Ginseol K-b1은 사람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을 유의적($p$<0.001)으로 촉진시켰으며, 저농도(1.56~6.25 ${\mu}g/mL$)에서 콜라겐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서 Ginseol K-b1은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주름 생성 및 탄력 저하 억제를 통해 UV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화장품이 아닌 먹는 피부 미용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음을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세포내 신호 전달 체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기작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