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mapping

검색결과 778건 처리시간 0.045초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3차원 symbol의 자동 mapping에 관한 연구 (3D symbol mapping for 3D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 박승용;이재빈;유기윤;김용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6년도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63-72
    • /
    • 2006
  • 정보화 시대에 있어 급변하는 기술발전과 함께 인간의 문화적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작업 또는 반자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데이터의 구축 및 표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symbol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분류된 객체에 부합되는 3차원 symbol을 자동으로 선택하며, 선택된 3차원 symbol을 파라메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mapping 하는 과정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3차원 공간데이터의 구축 및 표현에 요구되는 시간과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또한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e) 데이터의 3차원 정보를 활용하여 symbol의 자동 mapping을 위한 파라메타들을 산출하였고, symbol의 분류를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구축된 알고리즘의 평가를 위하여 실재 데이터의 3차원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에 대해 symbol선택 및 자동 mapping 과정에 대한 오류 검사를 수행하였고, 더불어 구축된 3차원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로부터 구축된 알고리즘들은 3차원 공간정보를 표현함에 있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HIMM을 이용한 3차원 지도작성 (3D Map-Building using Histogramic In-Motion Mapping in the Eyebot)

  • 정현룡;김영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7-1130
    • /
    • 2003
  • This paper introduces histogramic in-motion mapping for real-time map building with the Eyebot in motion. A histogram grid used in HIMM is updated through three PSD sensors. HIMM makes it possible to make fast map-building and avoid obstacles in real-time. Fast map-building allows the robot to immediately use the mapped information in real-time obstacle-avoidance algorithms. HIMM has been tested on the Eyebot. The Eyebot sends PSD data to computer and computer builds a 3D-Map based on PSD data.

  • PDF

The Study of Mapping Coordination S/W Based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for Silver Apparel

  • Lee, Yoong-Joo;Chung, Sham-Ho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6호
    • /
    • pp.20-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ffective customized elderly fashion marketing process based on the web site, where older customer will be able to choose various fabrics and to try them out. This aims to establish new prototype of internet shopping mall for customized elderly fashion clothing. In this study, new method of product presentation on the online shopping mall is proposed to offer product information through 3D virtual reality. With the online shopping mall(SATC Mall) as a showcase, we presented virtual mapping system so that it enable the customers to select the fabrics and to see exactly how chosen fabric will look when applied to image of clothing. As an initial test of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 to measure 3D visualization of product, mapping software Vision Easy Map Pro Version 6.0(NedGraphics) Vision Easy Map Viewer Version 5.0(NedGraphics) were chosen and applied. By using this mapping system, the fabric change of the apparel product could be made on the internet shopping web site.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successful applied for presenting and customizing garment products.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the integration of mapping coordination into SATC Mall.

Accuracy Assessment of Mobile Mapping System

  • Manandhar, Dinesh;Shibasaki, Ryosuk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152-1154
    • /
    • 2003
  • The needs of 3-D data have been increasing for various applications like visualization, 3-D modeling, planning and management as well as entertainment. Mobile mapping has become a quick and practical means for acquiring necessary 3-D data for above-mentioned applications. A mobile mapping system mainly consists of two main components, viz. data acquisition devices and positioning devices. The data acquisition devices consist of CCD cameras or/and laser scanners. The positioning devices consist of GPS, INS, Odometer (shaft encoder) and some other referencing devices. The overall accuracy of mobile mapping system depends on the accuracy of positioning devices and their integrated output. Though, GPS is the main input device for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signal is not available for the computation of position all the times in urban area. The GPS satellites are normally obstructed by high-rise building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ccuracy of such a system in different environments and means to solve such problems. We have developed a mobile mapping system called VLMS (Vehicle-borne Laser Mapping System), which consists of CCD Cameras, Laser scanners, GPS, INS and Odometer.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and discuss the accuracy of this system with data acquired in different environments (open area, urban area, tunnel, express way etc) by analyzing the data with respect to other existing digital data.

  • PDF

0.3T MRI 시스템에서의 동.정맥 동시 획득을 위한 자기공명 혈류 영상 기법(SAAV)과 동.정맥 color mapping (MR Angiography with Simultaneous Data Acquisition of Arteries and Veins(SAAV) Method and Artery-Vein Color Mapping in 0.3T MRI System)

  • 조종운;조지연;서성만;은충기;문치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5-280
    • /
    • 2003
  • 일반적으로 MR Angiography(MRI)는 사전 포화방법(presaturation)을 이용하여 동맥과 정맥의 분리된 영상을 획득한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인 사전포화방법으로 동맥과 정맥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영상획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맥과 정맥의 구분된 영상을 한번의 영상획득으로 얻을 수 있는 SAAV 기법을 0.3T MRI system에 적용하고, 획득한 동맥과 정맥의 두 MRA 영상을 Colot-Mapping으로 동$.$정맥을 한 영상에 구분하여 나타냄으로써 0.3T MRI system에서 MRI의 임상적 적용 및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마산 삼성병원의 0.3T MRI system (Magfinder, AILab. Korea)어서 SAAV sequence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피험자로부터 목 부위의 동맥과 정맥 혈관영상 (volume : 256${\times}$256${\times}$64)을 동시에 얻었다. 그리고. 이들의 각 2D 영상들에서 위치정보를 획득한 후 MIP 기법과 Color Mapping으로 조합하여 3D Artery-Vein Color Mapping(AVCM) MRA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지상 라이다의 점군 데이터를 이용한 2차원 및 3차원 실내 GIS 도면 반자동 구축 기법 개발 (Semi-Automatic Method for Constructing 2D and 3D Indoor GIS Maps based on Point Clouds from Terrestrial LiDAR)

  • 홍성철;정재훈;김상민;홍승환;허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9-105
    • /
    • 2013
  • 도시의 발전 및 성장으로 인해 건물은 고층화, 대형화, 복잡화 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공간정보의 활용 및 공유를 위해 실내외 GIS의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도면 생성기술은 지형 및 도시의 2차원 및 3차원 도면 생성에 대해서 주로 선행되었으며, 건물 실내공간의 도면 구축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라이다로부터 취득된 실내 점군데이터를 이용한 2차원 및 3차원 실내 도면 반자동 구축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전처리, 2차원 도면생성, 3차원 도면생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처리 단계는 실내 공간의 높이를 측정하고 점군데이터의 노이즈를 식별한다. 2차원 도면 생성 단계에서는 외곽선 추출격자와 정제과정을 이용하여 평면도를 생성한다. 3차원 도면 생성 단계에서는 전처리 과정에서 측정된 높이와 평면도를 이용하여 3차원 와이어프레임 모델을 생성한다. 전처리 과정에서 식별된 노이즈 데이터는 3차원 와이어 프레임 모델과 함께 3차원 실내 도면의 세부 모델링에 이용된다. 제안한 기법은 실내 복도를 측량한 점군데이터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실내 GIS 구축을 위한 2차원 및 3차원 도면 생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차원 얼굴 모델링과 예측 시스템 (A Three-Dimensional Facial Modeling and Prediction System)

  • 구본관;정철희;조선영;이명원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16
    • /
    • 2011
  • 본논문에서는 3차원 3D 얼굴 스캔 데이터와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얼굴 모델을 생성하고 향후의 얼굴을 예측하는 시스템 개발에 대해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3차원 텍스처매핑, 얼굴 정의 파라미터 입력 도구, 3차원 예측 알고리즘으로 구성 되어 있다. 3차원 텍스처매핑 기능에서는 3D 스캐너로 획득한 얼굴 모델과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특정 연령에서의 새로운 얼굴모델을 생성한다. 텍스처매핑은 3D 스캐너로부터 획득한 메쉬 데이터에 정면과 좌우 측면의 세 방향의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매핑하였다. 얼굴 정의 파라미터 입력도구는 3차원 텍스처매핑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로서, 얼굴 모델의 정확한 재질값을 얼굴 사진으로부터 얻기 워하여 사진과 3D 얼굴 모델의 특징점을 일치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얼굴의 향후 연령대에서의 얼굴 모델을 구하기 위하여 100여개의 얼굴 스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통계적 분석에 의해 재질값을 예측 계산하여 해상도 높은 재질값을 가지는 모든 연령대의 3D 얼굴모델을 구성하였다.

차량 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by Mobile Mapping System)

  • 민관식;김재명;박병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14
  • 본 논문은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 및 주변 건물에 대한 3차원 지적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은 기존의 지적정보와 공간정보의 융합을 의미하며 토지정보와 함께 다양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등록 관리할 수 있는 입체적 토지관리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GPS/INS 통합기술로 계산한 지형 지물들의 위치정보, 영상 또는 라이다 스캐너에 의한 형상정보 및 속성정보는 건축물 및 지상의 객체가 포함된 3차원 입체 지적정보를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결과적으로 3차원 지적정보 구축을 위한 차량기반 멀티센서 측량시스템의 적용으로 토지정보의 과학화 및 고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LDPC 부호화 고차 변조 시스템을 위한 신뢰성 기반의 적응적 비트 매핑 기법 (Adaptive Bit-Reliability Mapping for LDPC-Coded High-Order Modulation Systems)

  • 주형건;홍송남;신동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35-114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LDPC 부호화 고차 변조 시스템의 비트 레벨 체이스 결합 (Chase combining)을 위한 신뢰성 기반의 적응적 비트 매핑 기법을 제안한다. 정보 (혹은 패리티) 비트를 더 신뢰도가 높은 (혹은 신뢰도가 낮은) 비트 위치에 할당하는 기존의 비트 매핑 기법에 비해, 제안한 기법은 부호의 특성과 고차 변조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들의 보호 (Protection) 레벨 차이를 동시에 고려하여 부호어 비트를 최적의 비트 위치에 할당한다. 연접 지그재그 (CZZ) 부호에 대하여 제안된 매핑 기법을 심볼 레벨 체이스 결합 기법, 신호 성상도 재배치 비트 매핑 기법과 비교하여, 전체 시스템 복잡도를 동일하게 유지한 경우 $FER=10^{-3}$에서 각각 $0.7{\sim}1.3$ dB와 $0.1{\sim}1.0$ dB 성능 이득을 보임을 모의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적 비트 매핑 기준을 유도하고 이를 모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원격 작업을 위한 3 차원 점군 데이터기반의 실시간 폴리곤 생성 및 텍스처 맵핑 기법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nd Texture Mapping for Tele-operation using 3D Point Cloud Data)

  • 장가람;신용득;윤재식;박재한;배지훈;이영수;백문홍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928-935
    • /
    • 2013
  • In this paper,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lgorithm of 3D point cloud data and texture mapping for tele-operation is proposed. In a tele-operat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more highly realistic visual information to a tele-operator. By using 3D point cloud data, the tele-operator can observe the working environment from various view point with a reconstructed 3D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huge empty space in 3D point cloud data, since there is no environmental information among the points. This empty space is not suitable for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refore, real-time polygon generation algorithm of 3D point cloud data and texture mapping is presented to provide more highly realistic visual information to the tele-operator. The 3D environment reconstructed from the 3D point cloud data with texture mapped polygons is the crucial part of the tele-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