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세 유아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5초

비율제한 및 과제제시방법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비상징 수 비교능력 (An Investigation Into 3-, 4-, and 5-Year-Old Children's Nonsymbolic Magnitude Comparison Ability According to Ratio Limit and Task Condition)

  • 조우미;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7-12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nonsymbolic magnitude comparison ability according to ratio limit and task condi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40 3-year-old children, 42 4-year-old children, and 41 5-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4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Korea. All magnitude comparison tasks were composed of image material tasks and concrete material tasks. In addition, each magnitude comparison task varied with the ratio of the two quantities; 0.5 ratio, 0.67 ratio, 0.75 ratio.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3-, 4-, and 5-year-old children could perform nonsymbolic magnitude comparison tasks without learning experiences. Also, 3-, 4-, and 5-year-old children could perform concrete material tasks better than image material tasks in nonsymbolic magnitude comparison tasks. Furthermore, children's performance on nonsymbolic magnitude comparison tasks indicated the ratio signature of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Children have a degree of numerical capacity prior to formal mathematics instruction. Also, children were influenced by task conditions or sense stimulus when they processed numeric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approximate number system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ordinality of number.

3, 4, 5세 유아의 공격행동에 대한 도덕 판단 및 정당화 추론과 틀린믿음 이해와의 관계 (The Moral Judgment and Justification Reasoning in terms of Aggressive Behavior by 3, 4 and 5 Year Olds : The Relationship to Children's False Belief Understanding)

  • 김유미;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9-6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children's moral judgment, justification reasoning in terms of aggressive behavior, and (2)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to false belief understanding. Children aged between 3 to 5 years(N = 120)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responded questions designed to measure his/her moral judgment and justification reasoning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he 12 pictorial tasks consisted of selfish and altruistic intentions and three different types of acts (physical, verbal, relational) as responses to aggressive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kind of moral judgment use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e types of a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justification reasoning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types of act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moral judgment, justification reasoning. This paper also provided a detailed discussion of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in the context of more general cognitive developmental changes.

3-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안전교육 내용 분석: 아동복지법을 기준으로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Analysis for 3 to 5-year-olds Based on Child Welfare Act Safety Education-Based Content)

  • 남현주;이상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60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ri-curriculum daycare programs for 3, 4, and 5-year-olds based on the Child Welfare Act. Methods: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 for 195 children's safety education programs in the Nuri-Program. The analyzed data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s. Results: First, life safe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after looking at the contents category of the Child Welfare Act, the results in order are as follows: "raffic safety"; "Health and hygiene management, including the prevention of contagious diseases and drug abuse"; "Safety measures against disasters"; "Precaution and prevention of disappearance and abduction";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child abuse." Second, there were many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to chronological age (3-to 5-years old). Health and safety by subject, season, and life tools were more frequent. By type of activity, conversation and language activity, fairy tales, and plays were the most common activ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uggests the need to systematically plan safety education content through a program that links safety-related laws and elements related to the Nuri curriculum in child care centers.

전래동화를 활용한 언어표현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on 3-year-old Children's Social Skills)

  • 김미선;정하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3-30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on 3-year-old children's social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3-year-old children at four different private daycare centers in the Kyungnam province. 25 preschooler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by t- test, MANOVA and ANOVA.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social skills were significa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roblem solving and self-confid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emotional expression and sense of order. Second, the Cohen's effect size shows that traditional fairy tales verbal expression education effects children's problem solving and self-confidence.

만5세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출현과 어머니-교사, 교사-교사간 평정일치 (Prevalence of ADHD in 5-Year Old Children Based on Comparative Assessment of ADHD Rating Scale Estimation between Mother-Teacher and Teacher-Teacher)

  • 제경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117-1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DHD based on estimation of ADHD rating scale between mother-teacher and teacher-teacher. In total, 491 mothers and 23 teachers rated 689 5-year-old children on the K-ADHDDS.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o independen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performed. Overall, the percentages of children with ADHD on the rating scale were 3% in combined type, 7.1-8.6% in predominately hyperactive-impulsive type, and 4.2% in predominately inattentive type. Boys tended to show greater tendency of ADHD than girls’: Overall, ADHD tendency in boys was 1.3 times greater than girls. Specially, 2.3 times more for hyperactivity, 1.4 times more for impulsivity, and 3.4 more for inattention.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ratings were .35 for total, .40 for hyperactivity, .24 for impulsivity, and .28 for inatten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lternatively teacher and teacher ratings were .71 for total, .70 for hyperactivity, .70 for impulsivity, and .67 for inatten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attention subscale(p < .01).

애착의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OF ATTACHMENT)

  • 홍현주;오태성;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15-122
    • /
    • 2004
  • 섭생, 수면, 활동과 같이 생존에 필수 요소 뿐 아니라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의 애착관계 역시 몹시 중요하다. 사회적 애착(social attachment)은 인간에게 중요하기도 하지만 연구하기가 힘든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인 Harry Harlow는 부모-자녀, 친구, 부부관계의 세 가지의 다른 애착 행동체계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행동 패턴에는 여러 가지 감각 기관, 복잡한 운동반응, 그리고 기억, 사회적 인지, 동기 등의 인지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John Bowlby는 부모-자녀간의 초기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정신과 영역에서 강조하였다. 사회적 애착에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포유류가 아닌 동물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나, 최근에는 원숭이에 대한 약리학적 연구와 인간의 뇌영상 연구 결과들이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첨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론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며, 크게 1) 유아-부모 애착, 부모-유아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분야, 2) 애착에 대한 동물 실험 연구, 3) 애착관계의 심각한 단절이 발생하는 maltreatment/deprivation 상태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행동적,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세 분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아직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임상적 측면과 직접적 관련을 짓기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 사회적 애착관계의 문제가 심각한 정신병리를 연구하고 치료하는 분야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운영주체 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Communications Skills on Group Cohesiveness, Empathy, and Communications Satisfaction : Centered on Difference between Daycare Centers)

  • 이상훈;류춘렬;김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7-231
    • /
    • 2021
  • 이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198명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소통능력, 집단응집력, 공감능력 및 소통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운영 주체에 따라 국공립, 민간, 가정 등 3개 집단으로 조사 대상의 소속을 구분하였다. 연구조사 결과, 첫째, 국공립, 민간, 가정 등 세 집단 모두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은 집단응집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서 조직의 목표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국공립, 민간, 가정 등 모든 집단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역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높으면 영·유아와 학부모, 그리고 타 교직원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능력도 높을 것이다. 셋째, 조사한 세 집단 모두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높을 때 소통의 대상자인 영·유아, 학부모, 타 교직원들이 보육교사와의 소통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보육 교재 교구 인증평가의 과제와 전망 (The Prospects and Tasks of Accreditation System for Instructional Materials and Equi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최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924-59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아용 교재 교구 평가인증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평가인증에 관한 인식, 분류기준체계 마련의 필요성 그리고 평가인증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못했거나 또는 소홀하게 다루어진 과제와 전망에 대해 크게 인증평가대상과 인증평가항목 등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인증평가대상>에서는 첫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에 수록된 교재 교구에 한정해야할 것, 둘째, 학습지형태 교재 교구는 인준 평가 대상에서 제외할 것, 셋째, 투명한 유통경로를 확보한 회사의 교재 교구만을 평가인증 대상에 포함할 것, 넷째, 교사개별 주문용 템플릿을 평가대상에 포함할 것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인증평가항목>에서는 첫째, 교재 교구 관리의 용이성에 대한 평가항목, 둘째, 위생관리의 용이성 항목, 셋째, 수리와 보수 가능성에 관한 항목, 넷째, 지속가능발전지향성에 대한 항목 등을 평가준거에 포함해야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가정내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과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 (The actual type of domestic safety accident of children and the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variables of parents)

  • 김지영;김나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54-461
    • /
    • 2017
  • 본 연구목적은 가정에서 발생한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을 조사하고,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자녀를 둔 부모 총 22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거의 대다수의 가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6개월 동안 평균 1.78회 정도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유아의 안전사고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 충돌 및 충격에 의한 사고, 협착이나 끼임 사고, 추락사고, 찔림과 베임 사고, 화상, 이물질 삼킴과 흡입사고 순으로 발생되었다. 둘째, 부모 모두 '평균 정도 수준'의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추락'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안전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업주부인 어머니가 취업한 어머니보다 전반적인 안전지식과 '화상'에 대한 안전지식이 높았다.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화재' 영역에서 안전지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안전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공연예술 연구동향에 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early childhood play activities and drama activites)

  • 오선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50-525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에 관련해서 일정 기간 수행된 학문의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방법으로 계량서지학적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2015년 2월까지 발행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분석(학위논문 65편, 학술지 15편으로 총 80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에 따른 분석 결과 학위논문에서는 2009년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학술지는 2008년도와 2013년도에 3편정도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동향에서는 질적연구보다는 양적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양적연구 중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목표와 효과성 검증에서는 연구목표에서는 활동중심통합교육과정과 창의성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효과성 검증결과에서는 연구문제에 따라 전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 분석방법에서는 양적분석방법에 따른 차이검증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에서는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연극 및 동극활동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의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