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3.217

The Effects of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Communications Skills on Group Cohesiveness, Empathy, and Communications Satisfaction : Centered on Difference between Daycare Centers  

Lee, Sang-Hoon (국민대학교 미디어전공)
Ryu, Choonryul (국민대학교 미디어전공)
Kim, Se-ra (경민대학교 아동미술지도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on group cohesiveness, empath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research purposes, 197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selected for survey on communication skills, group cohesiveness, empath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Daycare cent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national, private, and home centers. Research results displayed that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had effects on group cohesiveness for all three groups of national, private, and home centers.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provided positive effects on group cohesiveness, contributing to accomplishment of organizational goal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had effects on empathy for all three groups of national, private, and home centers. The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will ultimately lead to enhanced skills in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children, parents, and other teachers. Thir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had effects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for all three groups of national, private, and home centers. The higher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of daycare center teachers displayed enhanced level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children, parents, and other teachers.
Keywords
Communication Skill; Group Cohesiveness; Empathy; Communication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J. L. Pierce and J. W. Newstrom, Leaders and the Leadership Process: Reading, Self-Assessments, and Applications, Austen Press, 1995.
2 표용태, 리더십유형 조직몰입 응집력 이직 의도의 관계에 연구: 호텔 종사자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 하미순, 중소병원 직원들이 지각한 내부 마케팅 활동이 직무몰입, 집단응집력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최미정, 정신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박향진, 정신병동 간호사의 소통 자기효능감과 공감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M. H. Davis,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4, pp.113-126, 1983.   DOI
7 R. Krznaric, Empathy, 김병화 옮김(2014), 길벗, 2013.
8 배순원,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문경희, 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소통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0 C. R. Rogers, A Way of Being, Revised Edition, 오제은 옮김(2009), 학지사, 1977.
11 문연심,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준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115-144, 2004.
12 최경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한국산업인력공단,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2015.
14 이상훈, 류춘렬, "외식업 종사자의 소통에 관한 고객과 종사자의 인식 차이: 소통능력과 공감능력의 인식과 소통만족에 관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88-100, 2020.   DOI
15 이상훈, 류춘렬, "NCS기반 의사소통과목 수강이 의사소통능력, 소통적자기효능감, 스피치능려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보, 제19권, 제3호, pp.155-185, 2020.
16 Lee O. Thayer,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Homewood, III,: Richard. D. Irwin Inc, 1961.
17 김민정, 어머니-유아교사 간 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8 J. D. Pincus,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3, pp.395-419, 1986.   DOI
19 연제익,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만족, 직무 만족 및 조직 일체감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0 장은지, 이상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인천시를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69-84, 2009.
21 강혜진, "보육서비스 운영주체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이해, 가치, 평가 정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6권, 제3호, pp.105-133, 2017.
22 전윤숙,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보육교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운영주체에 따른 보육교사의 중요도인식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제17권, 제4호, pp.1-30, 2017.   DOI
23 김정겸, 강영식, "직장보육시설 위탁 운영 어린이집 학부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국.공.사립과 위탁.직영 간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82-290, 2015.
24 최혜진, "어린이집 및 유치원 운영주체에 대한 선택과 선호: 소득계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553-566, 2018.
25 허경호, "포괄적 대인 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제47권, 제6호, pp.380-409, 2003.
26 박수정,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그룹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7 R. B. Rubin, "Assessing speaking and listening competence at the college level :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ssessment instrument," Communication Education, Vol.31, pp.19-32, 1982.   DOI
28 박은영, 내부 마케팅이 직무 만족, 집단 응집력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남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9 전윤숙, "어린이집 원장이 인식하는 원장의 이미지의 기관유형별 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6권, 제1호, pp.213-230, 2016.
30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31 황종건, 중학생의 부모와의 역기능적 소통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 긍정적 또래 관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2 이은주,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3 R. Hoigaard, R. Safvenbom, and F. E. Tonnesse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ohesion, group norms, and perceived social loafing in soccer team," Small Group Research, Vol.37, No.3, pp.217-232, 2006.   DOI
34 김사녀, 유아교사의 소통능력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5 유효순. 정원식, 부모교육, 박영사, 1987.
36 왕기항, 교육 조직론 탐구, 학지사, 2006.
37 S. Collins, "Statutory social Workers: stress, job satisfaction, coping,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differences,"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38, pp.1173-1193, 2008.   DOI
38 김희수, 초등교사가 지각한 교감의 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 집단응집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9 김창걸, 교육 행정학, 박문각, 1985.
40 정수희, 공무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갈등관리 방식과 조직 일체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1 홍순남,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2 최영석, 태권도 팀의 성원 간 의사소통 만족수준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3 E. L. La Monica, "Construct validity of an empathy instrument."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4, pp.389-400, 1981.   DOI
44 지혜명, 서비스 업무에서의 공감능력과 성취목표의 효과: 항공사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5 J. M. Wiemann, "Explic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 pp.195-213, 1977.   DOI
46 이은혜, 유치원 교사의 소통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7 노은숙, 부성숙,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제43권, 제4호, pp.113-13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