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3D conversion

검색결과 949건 처리시간 0.036초

후보돈에서 호맥 사일리지의 급여와 사료의 제한급여가 생산성과 번식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Rye Silage and Feed Restriction on both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in Replacing Gilts)

  • 조진호;한영근;민병준;진영걸;김해진;유종상;김정우;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69-76
    • /
    • 2006
  • 본 연구는 제한급여를 해야 하는 번식 후보돈에서 배합사료량을 줄이고 조사료인 호맥 사일리지를 급여하였을 때 후보돈의 생산성, 첫 발정시기, 종부시기 및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후보모돈(Landrace ×Yorkshire) 24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평균체중은 67.63±1.17kg 이었고 사양시험은 49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N(basal diet), 2) S15(15% feed restriction+ad libitum rye silage), 3) S30(30% feed restriction+ad libitum rye silage)로 3처리로 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모든 처리구에 비해 배합사료를 무제한 급여한 CON구가 가장 높았다(P<0.05). S15구와 S30구의 호맥 사일리지의 섭취량은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사료요구율에서는 CON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호맥 사일리지를 섭취한 S15와 S30처리구의 평균 호맥 사일리지 섭취량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임신율에 있어서는 제한급여와 호맥 사일리지를 무제한 급여한 S15구와 S30구에서 모든 후보돈이 임신하였으나, 자유채식한 CON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첫 발정시기와 종부시기에서도 호맥 사일리지를 급여한 S15구와 S30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기간이 단축되었다.

한우 거세우의 반추위메탄가스 생성량에 대한 곡류사료원의 영향 (Effect of Grain Sources on the Ruminal Methane Production in Hanwoo Steers)

  • 설용주;김경훈;백열창;이상철;옥지운;이강연;최창원;이성실;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15-22
    • /
    • 2012
  •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비육 기간에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 사료를 일당 증체량 0.7 kg/일에 필요한 TDN량 6.9 kg씩 급여하였을 때 장내 발효과정에 생성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리나 옥수수 급여구의 건물 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영양소별 섭취량은 보리와 옥수수의 영양성분의 차이에 의해서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구가 조단백질, 조섬유, 가용무질소물, 유기물, Neutral detergent fiber와 Acid detergent fiber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고(p<0.05), 조지방과 조회분 섭취량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각 영양소별 소화율은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 모두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조섬유, Neutral detergent fiber와 Acid detergent fiber 소화율은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흡가스 발생량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가 산소 소모량 6.4% (p=0.32),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각각 15.4% (p=0.09)와 16.8% (p=0.09) 높은 경향이 나타났고, 메탄 배출계수는 보리나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시 각각 43.6 (kg/Head/Year)과 50.9 (kg/Head/Year)로 산출되었다. 메탄전환계수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35.9 Mcal/d와 35.5 Mcal/d씩 섭취했고 메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12.2 Mcal/d와 14.9 Mcal/d로 메탄가스 생성에 의한 메탄전환계수는 보리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4% (0.04 Ym)이었고,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구에서 5% (0.05 Ym)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우리나라 한우의 사양 실정에 맞게 적용한 실험으로 향후 축산분야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사양체계 및 메탄배출계수 산출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육계사 깔짚 재료로서 가공 판지의 이용 효과 (Utilization of Processed Cardboard as Litter Material for Rearing Broiler Chicks)

  • 김성권;권순관;김용란;김은집;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3-257
    • /
    • 2003
  • 육계에서 가공판지를 사용하여 성장 성적 및 깔짚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새로운 깔ㄹ짚 재료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5일령 육용 수평아리(Ross) 180수를 2처리 3반복, 반복당 30수씩 왕겨 깔짚구(대조구), 가공판지 깔짚구(처리구)로 임의 배치하였다. 일반시판사료와 물을 총 5주간 자유채식 및 자유음수 시켰다. 일당증체량은 가공판지에서 사육한 육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 사료요구율은 가공판지에서 사육한 육계가 대조구와 비해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깔짚내의 salmonella와 E. coli의 총 균수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Enterobacter aerogens의 수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깔짚 내 수분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폐사율은 가공 판지구에서 왕겨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 가공판지는 기존의 깔짚 재료를 대체하여 충분히 그 이용이 가능하며, 깔짚 재료의 품귀 및 가격 상승시에 이상적인 대체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탄성파 반사법 및 굴절법을 이용한 천해저 지반조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llow Marine Site Survey using Seismic Reflection and Refraction Method)

  • 신성렬;김찬수;조철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2호
    • /
    • pp.109-115
    • /
    • 2008
  • 공학적 목적의 지반조사에 양질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사들이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고 또한 통합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천해저에서 지층 경계에 대한 분해능이 뛰어나며 지층 형태 파악이 용이한 2개의 부머와 단일채널 스트리머를 이용한 탄성파탐사 반사법과 지층의 물리적 특성 가운데 중요한 성질인 탄성파 속도를 구할 수 있도록 한 개의 에어건과 4 m 간격의 24채널 해저면 수신케이블을 제작하여 이용한 굴절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지질정보 획득을 시도하였다. 단일채널 반사법 탐사자료는 통상적인 전산처리과정을 통하여 해상도 및 품질이 향상된 2차원 고해상 탄성파 단면도를 얻었고, OBC (Ocean Bottom Cable) type의 수진기를 이용하여 얻은 굴절법 탐사자료는 토모그래피 방법을 통하여 속도 단면도를 구하였다. 두 가지 탐사 결과에 대한 통합적인 해석 단계로서 반사법 탄성파 단면도는 굴절법에서 얻은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심도 전환된 단면도를 얻었고, 이로부터 3차원 기반암 심도 단면도와 퇴적층 두께 분포도 등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천해저 지반조사 분야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지질정보가 파악될 것으로 사료된다.

해수 농축수 내 금속 이온 농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전환 생성물의 특성연구 (Characteristic of Precipitated Metal Carbonate for Carbon Dioxide Conversion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Simulated Seawater Solution)

  • 최은지;강동우;유윤성;박진원;허일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39-546
    • /
    • 2019
  • 지구온난화가 국제 문제로 언급되면서 온실가스 저감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를 막기 위해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으로 언급되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관한 기술 개발의 중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재이용기술(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의 발전을 요구하고 있다. 다양한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및 재이용기술 중에서 광물탄산화 기술의 경우에는 적은 에너지를 통해 많은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고형 폐기물에서 이온을 용출해 사용해왔으며 이는 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하지만 해수를 사용하게 되면 고농도의 금속 양이온이 해수 속에 용해되어 있어 고형 폐기물을 이용할 때보다 공정이 단순하다. 이 연구는 해수담수화 농축수를 금속양이온공급원으로써 사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3 M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을 흡수제로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우선적으로 포집하였다. 또한 해수농축수를 모사하기 위해, 해수모사파우더를 사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해수농축수를 제조하였다. 해수농축수와 포집된 이산화탄소 용액을 반응시켜 탄산염을 생성하였으며 이를 XRD (X-ray Diffraction),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GA (Thermalgravimetric Analysis)를 통해 탄산염의 생성 경향 및 흡수제의 재이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Unaided Stapling Technique for Pure Single-Incision Distal Gastrectomy in Early Gastric Cancer: Unaided Delta-Shaped Anastomosis and Uncut Roux-en-Y Anastomosis

  • Suh, Yun-Suhk;Park, Ji-Ho;Kim, Tae Han;Huh, Yeon-Ju;Son, Young Gil;Yang, Jun-Young;Kong, Seong-Ho;Lee, Hyuk-Joon;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2015
  • Purpose: Intracorporeal anastomosis is the most difficult procedure during pure single-incision distal gastrectomy (SIDG) that affects its generalization. We introduced unaided delta-shaped anastomosis (uDelta), a novel anastomosis technique, for gastroduodenostomy after pure SIDG,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f previously reported Roux-en-Y anastomosis (R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4 and March 2015, SIDG with D1+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for early gastric cancer through a 2.5-cm transumbilical incision without any additional port. uDelta was performed by the operator alone, without any intracorporeal assistance. Results: uDelta was performed on 11 patents, and uncut RY was performed on 5-patients without open or multiport conversion. R0 resection was performed in all cas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ean age and body mass index between patients who underwent uDelta or RY. Mean operation times were $214.5{\pm}36.2$ minutes for uDelta and $240.8{\pm}65.9$ minutes for RY,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construction time for uDelta was shorter than that for RY, with marginal statistical significance ($26.1{\pm}8.3$ minutes vs. $38.0{\pm}9.1$ minutes, P=0.05). There were no intraoperative transfusions, 30-day mortality, or anastomosis-related complications in either group. Averag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8.2{\pm}1.9$ days in the uDelta group and $7.2{\pm}0.8$ days in the RY group (P=0.320). Conclusions: After carefully considering indications, uDelta can be a feasible and can be a reproducible reconstruction method after SIDG in early gastric cancer.

Broiler 생산(生産)에 있어서 Energy와 Protein 요구량(要求量) 결정(決定)에 관한 연구(硏究) (제4보(第4報)) -동일(同一)Energy수준(水準)에서의 Protein 수준이 Broiler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 Determination for Broiler Production -4. Effect of Iso-calorie and Different Protein Level on Broiler Production-)

  • 김대진;김영길;고영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5-400
    • /
    • 1983
  • 본시험(本試驗)은 브로일러의 에너지와 단백질요구량(蛋白質要求量)결정을 위(爲)한 시험(試驗)의 일부(一部)로시 에너지수준은 변화(變化)시키지 않고 단백질(蛋白質)수준을 점진적으로 증가(增加)시켰을 때 단백질(蛋白質) 수준에 따른 증체량(增體量),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 에너지 및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을 조사하였다. 기초사료(基礎飼料)(A)의 에너지수준은 전기와 후기에 각각(各各) 3200kcal와 3265kcal로 하였고 단백질(蛋白質)수준은 전기와 후기에 22.85%와 18.58%로하여 전기 후기 각각 어분(魚粉)을 3%, 6%, 9%, 12%를 동량(同量)의 기초사료(基礎飼料)로 대치하여 단백질(蛋白質)수준을 점진적으로 증가(增加)시켰다. 여기에 사용(使用)된 시험동물은 Abor Acre(♂) 병아리였고 전기4주(週) 후기4주(週) 8주간(週間)을 사양시험(飼養試驗)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브로일러 주(週) 평균증체(平均增體)에 있어서 전기는 diet C구가 후기에 있어서는 diet A구가 전기의 diet A, E구에 비(比)하여 그리고 후기의 diet E구에 비(比)하여 유의적으로 증체량이 높았다(P<0.05). 2.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에 있어서 단백질수준(蛋白質水準)이 전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후기에 있어서 diet C, D, E는 diet A에 비(比)하여 유의적으로 섭취량(攝取量)이 감소하였다(P<0.05). 3.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에 있어 주당(週當) 평균(平均)은 브로일러전기에 있어서 diet C구는 1.43으로서 diet A구 1.58에 비(比)하여 유의적으로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의 향상(向上)을 보였다(P<0.05). 4. 에너지와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은 전후기를 통(通)하여 단백질(蛋白質)수준이 높을수록 에너지효율은 증가(增加)되었고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은 감소하여 반대(反對)현상을 보였다. 이상(以上)에서 본시험(本試驗)의 2단계 사육조건하(飼育條件下)에서는 단백질(蛋白質)은 전기와 후기가 23%와 20% 에너지수준은 전기와 후기가 각각(各各) 3200kcal/kg와 3250kcal/kg 일때 브로일러의 능력(能力)이 최고에 도달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매실 부산물 급여가 준육용계의 생산 능력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Prunus mume By-products on Productivity and Blood Composition in Semi-Broiler Chicks)

  • 정용대;조인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7-243
    • /
    • 2007
  • 준육용계에 매실 부산물(Prunus memu by-products) 급여가 생산 능력 혈액 성상, 계육 품질, 장내 미생물 및 ND 항체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1일령 준 육용계 암, 수 각각 200수, 총 400수에 사료내 매실 부산물 0.0, 0.5, 1.0, 2.0, 3% 수준으로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20수 (male 10, female 10)를 평사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사료는 초기($0{\sim}2$주), 전기($3{\sim}5$주), 중기($6{\sim}8$주), 후기($9{\sim}10$주)로 나누어 급여하였으며, 대사 에너지 수준은 각각 3,000, 3,100, 3,100, 3,200 kcal/kg, 조단백질은 22, 21, 19, 17%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초기와 중기의 생산성은 차이가 없으며, $3{\sim}5$주령의 증체량은 PMB 2.0, 3.0% 첨가구에서, 사료 섭취량은 PMB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9{\sim}10$주령에 증체량은 PMB 2.0%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PMB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실험전 기간에 증체량은 PMB 1.0, 2.0, 3.0% 첨가구에서 개선되었으며, 사료 섭취량은 PMB 2.0, 3.0%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사료 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단백질, 알부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글루코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PMB 0.5% 첨가구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P<0.05), PMB 1.0% 급여구에서도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준육용계의 가슴육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색도는 PMB 첨가구와 대조구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장에서 yeast의 수는 PMB 0.0% 첨가구에 비해 PMB 3.0%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PMB 1.0, 2.0%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E. coli 활성이 활성이 억제되었다(P<0.05). 대조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장내 Lactobacillus spp.는 처리구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PMB 3.0% 첨가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D 항체가는 대조구와 PMB 첨가구간 개선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준육용계에서 매실 부산물은 사료에 2% 미만의 수준으로 급여시에 성장 능력 및 성장에 관여하는 다른 인자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사료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Hot Environment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 Gu, X.H.;Li, S.S.;Lin,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1호
    • /
    • pp.1616-1623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t environment and dietary crude protein level (CP)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visual quality, muscle chemical composition and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of tissues in broilers. Two hundred and sixteen 21-d old Arbor Acre broilers were used in a $4\times3$ factorial arrangement and randomly reared in 4 environmental chambers and fed on 3 diets with different CP levels for 3 weeks. The results showed: (1) when air temperature (AT) rose to $33^{\circ}C$, average daily feed intake, average daily gain, carcass weight, right breast meat weight, left thigh and drumstick meat weight decreased (p<0.05) and feed conversion rate decreased (p<0.05), but the ratio of carcass to live weight and of left thigh and drumstick meat weight to carcass weight increased (p<0.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nd shear force in breast meat, and shear force, L* and a* in thigh meat (p<0.01 or 0.05) among hot environments. Dietary CP level tended to affect breast meat pH and pH and L* of thigh meat (p<0.06 or 0.09). Compared to the normal temperature ($22^{\circ}C$), low temperature ($15^{\circ}C$) and hot humid (AT $33^{\circ}C$, relative humidity (RH) 80%) treatment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tenderness of thigh meat. L* and a* value in thigh meat under high temperature treatments, regardless of RH, were higher (p<0.05) than those under normal temperature. (3) Protein content in breast and thigh meat of broilers fed under high temperature ($33^{\circ}C$) was lower (p<0.05) than that under $22^{\circ}C$, but fat content had an adverse change. High temperature ($33^{\circ}C$) increased the moisture of breast meat significantly (p<0.05). Protein content in breast meat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in which fat content had an adverse change (p<0.05), when the dietary protein rose. (4) MDA concentration in liver and breast meat under hot humid (AT $33^{\circ}C$, RH 80%) treatment increased markedly (p<0.05). (5) High humidity could sharpen the bad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performance, carcass yield and choice cuts, crud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in breast meat. It was concluded that a hot environment could affect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more significantly than CP level and that high humidity would aggravate the bad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on the broiler.

A regression for estimating metabolizable glucose in diets of weaned piglets for optimal growth performance

  • Lv, Liangkang;Feng, Zhi;Zhang, Dandan;Lei, Long;Zhang, Hui;Liu, Zhengya;Ren, Ying;Zhao, Shengjun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0호
    • /
    • pp.1643-1652
    • /
    • 2021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ide a new approach for evaluating feed nutritional value by metabolizable glucose (MG) in piglet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starch and crude fiber. In Exp 1, a regression equation for MG was generated. In Exp 2, the equation was verified, and the optimal growth performance of piglets under appropriate MG levels was tested. Methods: In Exp 1, 20 weaned piglets (7.74±0.81 kg body weight [BW])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4 treatments, including the basal diet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MG (starch, 25.80%, 31.67%, 45.71%, 49.36%; crude fiber, 1.23%, 1.35%, 1.80%, 1.51%). The piglets were implanted with an ileal fistula, cannulation of the carotid artery, portal vein, and mesenteric artery. The chyme from the ileum fistula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Exp 2, 30 weaned piglets (8.96±0.50 kg BW)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5 treatments, including the experimental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MG (37.6, 132.5, 300.0, 354.3, and 412.5 g/kg). The piglets' BW, and feed consumption were recorded to calculate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28-d experiment. Results: In Exp 1, the MG levels in 4 diets were 239.62, 280.68, 400.79, and 454.35 g/kg.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MG levels and dietary nutrients was: Y (MG) = 12.13×X1 (starch)+23.18×X2 (crude fiber)-196.44 (R2 = 0.9989, p = 0.033). In Exp 2, treatments with 132.5 and 300.0 g/kg MG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of weaned piglets, increased digestibility of crude fat, and had no effect on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compared to 300.0 to 412.5 g/kg MG. Conclusion: The pig model combining the ileum fistula and cannulation of blood vessels was successfully used to determine the dietary MG levels. The recommended MG level in weaned pig diets is 132.5 to 300.0 g/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