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22학년도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7초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원격교육지원에 대한 교수 수요도 조사 비교: 대구지역 D전문대학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the Survey of Teaching Demand for Distance Education Support for the 2021 and 2022 Academic Years : For D Community Colleges in Daegu)

  • 박정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91-4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교수 수요도 조사를 통하여 원격 수업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교 전임교원 184명 중 각각 2021학년도 응답자 73명(39.89%)과 2022학년도 응답자 87명(47.28%)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수요도 조사 결과 2021학년도에는 LMS 개선항목으로 출석체크 시 차시 구분이 27명(37%), 콘텐츠 개발 지원항목으로 핀 마이크 38명(23.3%), 스튜디오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의향에서는 그렇다가 26명(35.6%),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항목으로는 곰 믹스가 33명(45.2%), 원격교육지원센터의 교육희망 주제는 동영상편집방법이 25명(34.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2022학년도에는 LMS 개선항목으로 모바일 업그레이드가 27명(31.03%), 콘텐츠 개발 지원항목으로 핀 마이크 52명(59.8%), 스튜디오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의향에서는 그렇다가 33명(37.9%),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항목으로는 곰 믹스 프로가 47명(54%), 원격교육지원센터의 교육희망 주제는 콘텐츠 제작방법이 23명(26.4%)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2021학년도와 2022학년도 스튜디오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할 의향과 차후 원격교육지원센터의 희망 교육주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p > 0.05). 본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는 LMS의 출석차시 구분을 해결하고, 모바일 업그레이드에 노력하고 있으며, 핀 마이크 보급을 계획하고 있다. 스튜디오의 활용도를 높이고 동영상편집프로그램의 활용법과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계획하고 있다. 대학 원격수업에서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당국에서 교수자의 학습목표 설정, 콘텐츠 구성 및 내용 조직, 학습동기 유발, 효과적인 수업참여 방안 수립 등 교수 설계자로서 역할 수행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정보교육 도입에 관한 교사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이금화;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265-272
    • /
    • 2022
  •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발표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강화되는 정보교육의 기저에 발맞추어,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된 저학년 정보교육 필요성과 도입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저학년 정보교육에 관한 해외사례를 탐구하고, 2022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개편안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저학년 정보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조사 문항을 설정할 수 있었다. 설문 문항은 전문가 집단의 검증 후, 166명의 현직 초등교사의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강화될 정보교육 교육과정 기저와는 반대로 교사들의 정체되어있는 부정적 인식을 여러 측정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2024년 초등 1~2학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전, 저학년 정보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개선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데이터 수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ta Collection Education Programs for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슬;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45-53
    • /
    • 2022
  •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세계 각 나라에서는 인공지능 교육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11월 발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에서 인공지능 교육이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많은 관심과 함께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데이터 수집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설계-개발-적용-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개발하고,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인공지능에 대해 이해하고 흥미를 느끼며, 생활 속에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찾아보는 과정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 중심의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주나희;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443-456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과학 진로교육의 가능성과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가진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 과학자 되어보기 활동을 통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를 알아보고,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설문지와 면담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자와 과학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영향을 준다. 셋째, 초등 저학년용 과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이해도 모두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오프라인대학교와 사이버대학교의 상담학과 관련 커리큘럼 현황 분석 (Offline University and Cyber University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 윤석주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3호
    • /
    • pp.93-102
    • /
    • 2022
  • 본 연구는 오프라인대학 35개와 사이버대학 20개의 상담 관련 학과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개선점과 발전방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은 교육목표, 개설 과목, 실습, 운영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용어를 사용하는 학과의 교육목표에서 '전문상담인, 심리전문가, 전문상담자'의 용어가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다. 교과목에서는 상담학 기초영역은 1학년, 상담이론과 기법 영역은 2학년, 심리평가 3학년, 통계 및 연구 2학년, 상담실습 4학년에서 가장 많이 개설되어 있었다. 실습기초는 상담이론과 실제, 상담과정과 면담기법은 저학년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상담실습, 수퍼비전, 상담실습 및 사례연구, 국내외 인턴십은 4학년에서 대부분 운영되고 있었다. 이상을 토대로 오프라인대학과 온라인대학 '상담' 용어를 사용하는 학과의 커리큘럼의 개선점 및 발전방향을 논의하겠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이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leadership on long-term nursing intentions of graduated nursing students)

  • 최숙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13-424
    • /
    • 2022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 셀프리더십이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W시에 소재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 217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1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4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 Pearson's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이었으며, 졸업 후 진로계획 순으로 설명력은 34.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 향상을 위해 간호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 수준파악과 영향요인을 확인한 후 간호직 장기근무 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독성을 통한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the Continuity of Reading Passages in the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Readability)

  • 장한결;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16-12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지문의 이독성을 분석하여 학년 간 수직적 연계성과 출판사 간 수평적 연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종의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지문을 코퍼스로 구축한 후, Coh-Metrix를 통해 각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지문의 이독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산출된 이독성에 학년 간, 출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 학년 내 읽기 지문의 출판사간 난이도 차이를 분석하여 수평적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RDL2 지수에서 5학년 교과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출판사 내에서의 학년 간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FRE와 FKGL 기준으로 교과서 A의 난이도가 5학년에 비해 6학년에서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였다. 반면 RDL2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교과서 B의 난이도가 5학년에 비해 6학년에서 더 낮아지는 결과를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FRE와 FKGL은 문장 길이와 단어 길이 중심으로 이독성을 산출하는 반면, RDL2는 내용어 중복, 단어 빈도 수, 문장의 통사적 유사성 등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Analysis for Trends and Causes of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김현정;강훈식;이재원;김율;정지현;정은영;윤혜경;박지선;이성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5-226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의 추이와 하락 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있는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4학년~10학년 학생을 학년별로 표집한 후,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 및 하락 원인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에 대한 일원 분산 분석 결과, 전체 평균에서는 학년과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로는 결과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과학학습정서에서는 중학생보다 초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의 평균이 중학교 1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의 평균보다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과학관련 진로포부에서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학습동기, 과학관련 태도에서는 학년 및 학교급에 따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과학긍정경험의 하위 영역별 주요 하락 원인은 학교급에 따라 다소 달랐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년 및 학교급에 따라 과학긍정경험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Depictions of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3rd-4th Grad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770-782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 역할 인식과 가치관 형성을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를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교육 현장에 적용될 2015 초등학교 과학과 5~6학년군 검정 교과서와 새롭게 적용될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검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에 초등학교 3~4학년군에 처음 적용된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자의 성별 제시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부장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32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와 관련한 설문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23명의 과학자 중 여성 과학자는 3명(13.0%)이었고, 단원별로 살펴보면 탐구 단원에 10명(43.5%)의 과학자가 제시되어 있어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자의 성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남성 과학자에 비하여 여성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교직 기간 중 여성 과학자와 관련된 지도 경험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또한 교사의 성별에 따라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비율 개선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 과학자의 성비와 관련하여 집필진 및 사회구성원의 합의가 필요하고, 교과서의 경우 공교육 제도 내에서 사용되는 교재이기 때문에 보다 양성평등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현장검토본의 어휘 적정성 분석 및 개선 연구 (A study to analyze and improve vocabulary adequacy of field-reviewed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이대현;권미선;이미진;성창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75-9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 현장검토본에 제시된 어휘를 9등급 어휘 체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를 개선하는 것이다. 9등급 어휘 체계에 따른 분석 결과,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어휘 빈도수의 비율은 1학년 1학기 6.67%, 2학기 12.17%로 나타났으며, 2학년 1학기 11.73%, 2학기 14.19%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어휘가 전체 어휘 빈도수의 약 6%~15%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어려울 수 있는 어휘는 삭제, 수정, 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난도가 높은 어휘 중 수업 내용과 관련없는 어휘는 삭제하였다. 수업 내용과 관련 있는 어휘인 경우 난도가 낮은 유사어로 수정하거나 학생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그림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과서에 사용된 어휘의 양상을 파악하고 어휘를 적절히 수정하여,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위한 수준 높은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