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22.41.3.44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Ju, Nahee (Seoulsamjeong Elementary School)
Kwon, Nanjo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41, no.3, 2022 , pp. 443-45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development plan for science career education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ly,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We investigated changes in perception and interest in scien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and analyzed surveys, research journals, student worksheets, and interview records.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cientists and science. Moreover, they influenc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Lastly, students' perception of this program was positive and gave high marks to all parameters such as interest,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Keywords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career education; perception of scientists; perception of science; working as a scienti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Ting, S. R., Leung, Y. F., Stewart, K., Smith, A. C., Roberts, G. L., & Dees, S. (2012). A preliminary study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Journal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27(2), 84-97.
2 Tuckman, B. W. (1974). An age-graded model for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Journal of Vatocional Behavior, 4(2), 193-212.   DOI
3 Ozel, M. (2012). Children's images of scientists: Does grade level make a difference?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12(4), 3187-3198.
4 김지혜, 신영준(2013). 예술적 과학 활동을 통한 초등 저학년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 교육논총, 33(2), 1-28.
5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6 박효정(2014). 초등학교 과학교과 관련 진로교육 자료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백진나(2011). 초임 교사의 자기성찰을 통한 초등과학 수업 개선.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송현아(2011). 직업인 되어보기를 활용한 진로통합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정의적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동규, 임희준(2019). 여성 과학자 역할모델 사례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8(4), 510-521.
10 이세희(2018). 4차 산업혁명의 직업변화를 강조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 진로흥미, 직업 포부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소영(2001). 초등교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Lee K. J., & Rebeca L. R. (2021). A global comparison of the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in science career aspiration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21(7), 381-394.   DOI
13 한명순(1999).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및 선호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Chambers, D. 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The draw-a-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DOI
15 Christidou, V. (2011). Interest, attitudes and images related to science: Combining students' voices with the voices of school science, teachers, and popular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6(2), 141-159.
16 권난주, 권현주(2012). 초등학교 아침활동시간에 "사이언스 TV"를 활용한 과학 커뮤니케이션 활동 적용 및 학생들의 반응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1), 56-68.   DOI
17 Sara, R. A., Samantha, D. B., & Yunkyoung, L. (2017). Project HOPE: Evaluation of health science career education programming for Rural Latino and European American Youth.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5(1), 57-71.   DOI
18 교육부(2017a).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2021년 3월 16일 인출, 서울특별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 누리집 부서업무방 141번 게시물.
19 교육부(2017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바른생활 슬기로운생활 즐거운생활 1-1.
20 권난주(2006).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초등학교 과학 체험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육과학연구, 37(2), 239-264.
21 김소임(2017). 과학관련진로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인식과 배경 탐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영신, 양일호(2005).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24(3), 292-300.
23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24 박혜원, 신영준(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0(1), 132-146.   DOI
25 유소원(2015). STEAM기반 과학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DOI
27 한재균, 권난주(2019). 미래유망직업을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35(4), 113-134.
28 Gulsen, L., Duygu, M., Esra Y., & Pinar S. C. (2011). The effect of informal and formal interaction between scientists and children at a science camp on their images of scientists.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22(3), 158-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