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012 Yeosu Expo Korea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여수선언 추진의 의미와 과제 (Yeosu Declaration and Its Implications on Yeosu EXPO)

  • 정서용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159-172
    • /
    • 2008
  • During the course of its efforts to host the 2012 EXPO in Yeosu, Korea, the Korean government promised to th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Bureau (BIE) to adopt the so-called Yeosu Declaration. Considering the year 2012 will likely witness the adoption of another global scale environmental declaration as such as the Stockholm, Rio and Johannesburg Declarations, Yeosu Declaration may contribute not only to emphasizing the theme of the 2012 Yeosu EXPO, The Living Ocean and Coast: Diversity of Resources and Sustainable Activities, but also to sharing its effor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re has been no precedence of adopting any declaration in the history of EXPO, a careful preparation for the adoption of Yeosu Declaration is necessary as suggested in this article.

주제공원의 동선 개선 제안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을 대상으로 - (The Improvement of Circulation System in Theme Park - Focused on the EXPO Ocean Park in Yeosu -)

  • 박효철;한혜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202-210
    • /
    • 2014
  • The EXPO Ocean Park in Yeosu has taken on the apsect of a theme park and has specialized facilities. But the outdoor circulation system that has been used by Expo 2012 Yeosu Korea still remained. These conditions can occur unused circulation and a long walk between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circulation system that uses walking and outdoor space at the Expo Ocean Park in Yeosu.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drawn based upon the purpose. First, Definition and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of theme park is considered. Second, the type, utilization condition, and circulation of outdoor facilities of Expo Ocean Park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survey and analysis. The field survey is conducted on the Expo Ocean Park in Yeosu for five times from October. 2013 to March. 2014. The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ed outdoor park and interviewing the staff of 2012 Yeosu World Expo Foundation. Third, the case study on outdoor circulation of waterside park and park with amusement facilities that are similar to Expo Ocean Park are exa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seek sustainable management of Expo Ocean Park for maximizing local resident and visitors' satisfaction and improving effective park image. Since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park is reopened and The Expo Ocean Park is on the improve through the this study at present, the verification of improvement scheme based on Post-Occupancy Evaluation(POE) is needed for future study.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여수시 국제화전략 (Yeosu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for Holding 2012 World EXPO)

  • 김길성;박복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5-124
    • /
    • 2006
  • We, in this paper, suggest the Yeosu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for holding the 2012 World EXPO in Yeosu successfully, First of all, we analyze some problems that hinde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Yeosu. Our analysis, also, provides several strategic solutions to those problems by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ernational trade, hub port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tourism. first strategy is to create a more favorable business environment for foreign investors.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ternationalize the specific district. Second strategy is to expand the export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Yeosu. Especially, local firms with agricultural/fishery products have to develop various new products and introduce the effective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Final strategy is to develop the hub port in Yeosu and the new tourist resource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 PDF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여수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Impacts on the Yeosu Area Hosting the EXPO 2012 Yeosu Korea)

  • 이정록;이철;나주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7-151
    • /
    • 2015
  • 2012여수세계박람회는 2012년 5월부터 8월까지 전남 여수시에서 개최된 대표적인 특별 이벤트에 해당한다. 특별 이벤트가 개최된 후에는 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여수세계박람회가 개최된 후에도 관련연구가 지금까지 부재하였다. 이런 문제점에 의거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가 여수지역에 미친 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는 여수지역에 실질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공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사업체수 증가, 사업체의 종합소득세 증가가 구체적으로 나타났고, 관광관련 업종인 음식점과 숙박업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입지상법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를 보면, 여수지역 내에 생산유발 85,78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9,996억 원, 소득유발 15,863억 원, 고용유발 5만 3,512명이 발생하였다. 여수지역 내에서 발생한 관광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38,097억 원, 소득 유발 6,507억 원, 부가가치유발 13,701억 원, 고용유발 25,313명 등으로 분석되었다.

  • PDF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평가 (Resident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n Impacts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 김영기;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1-295
    • /
    • 2015
  •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여수지역 주민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도시발전효과를 측정한 결과, 평점은 5점 만점에 3.61점이며, 종합 만족도는 65.2%로 분석되었다. 지표별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와의 접근성 향상이 79.4%로 가장 높았으며, 도시미관 개선(72.1%), 관광객 증가(70.4%), 시민 자긍심 향상(69.0%), 도시이미지 및 도시위상 제고(67.8%), 도시 내부 교통여건 개선(66.2%), 관광인프라 개선(60.5%), 지역경제 활성화(51.3%), 국제화(49.7%)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축적한 교통관련 인프라 확충이 여수시 도시발전을 약 11년 정도, 주거환경 개선이 도시발전을 약 8년 정도 각각 앞당긴 효과를 제공했다고 평가하였다.

  • PDF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 (Specialist Group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n Urban Development Impacts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 이정록;김영기;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1-423
    • /
    • 2016
  •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의 도시발전효과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로 인해 나타난 교통체계 및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시설 확충과 활성화, 도시미관 및 도시재생, 도시이미지 및 국제화 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하였다. 특히 수도권과 접근성 향상, 여 수와 주변지역 간 접근성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이미지 향상, 관광객 증가, 관광숙박시설 및 관광관련 인프라 확충 등에 대해 매우 우호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전문가 집단은 광역교통망 확충에 의한 도시발전이 약 9.5년, 도시주거환경 개선으로 인해 도시발전이 약 9.4년 정도 앞당겨졌다고 평가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로 '해양관광도시'라는 여수의 도시 이미지가 강화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이런 도시 이미지를 고려해 도시의 미래상을 해양관광도시로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 PDF

여수세계박람회 서비스품질, 감정반응, 지각된 가치 및 만족 간 구조적 인과관계 (Structural Causality between Service Quality,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focused on Yeosu Expo 2012)

  • 김주연;최현주;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27-437
    • /
    • 2014
  • 본 연구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의 서비스품질이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반응, 지각된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우선, 여수세계박람회의 서비스품질 척도를 전시컨텐츠, 공연의 질, 인적서비스, 접근 편리성, 소요비용 5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각 구성개념간의 영향관계 분석결과, 전시컨텐츠, 공연의 질, 소요비용이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전시컨텐츠가 참관객이 느낀 긍정적 감정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에 있어서는 전시컨텐츠, 소용비용과 접근 편리성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그 중 박람회 관련 소용비용이 지각된 가치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졌으며, 접근편리성, 전시컨텐츠 순으로 파악되었다. 참관객이 박람회서비스에 대해 느낀 긍정적 감정과 지각된 가치는 모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 참관객의 긍정적 감정이 지각된 가치보다 다소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리스본엑스포를 통해 본 여수엑스포의 주제와 도시개발 (The theme and urban development of the Expo Yeosu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xpo Lisbon)

  • 최은순;정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539-548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BIE엑스포에서 주제와 메시지의 중요성과 역할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주제와 도시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는 2012년 여수엑스포 계획에 유용한 제언을 제공하는 것이다. 1998년 리스본엑스포를 전환점으로, 엑스포의 주제와 메시지는 과학기술의 성과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진보에 대한 반성과 지구의 미래를 강조한다.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 인류 사회가 당면한 전지구적 환경문제의 해법 모색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보장하는 신기술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바다와 연안에 대한 신기술과 신사상을 경연하는 여수엑스포는 비슷한 주제의 리스본엑스포의 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동시에 이와 차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여수엑스포의 주제와 도시개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해양과 관련된 신기술의 강조와 더불어 그것의 개도국 보급을 위한 여수프로젝트 비전의 강화. 둘째 리스본의 수도재개발과 다른 도시개발전략 즉, 남해안시대와 연계된 해항도시네트워크 구상.

여수세계박람회의 경제적 효과 제고방안: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XPO 2012 Yeosu on the Economy of Gwangyang Bay Area)

  • 김길성;박복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55
    • /
    • 2008
  • 2012 여수세계박람회의 개최 확정으로 여수, 순천, 그리고 광양을 포함한 광양만권이 지역경제 발전이라는 새로운 희망을 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수세계박람회가 광양만권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들을 분석해보고, 이들 효과를 지역차원에서 극대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여수세계박람회가 광양만권에 미칠 수 있는 직접적인 경제효과로서 총 12조673억원의 지역 내 GDP 증가와 9만7,842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들 수 있으며, 사회간접자본 확충과 이에 따른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및 광양항 물동량 증가 등의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여수세계박람회를 통해 광양만권 개발이 가속화될 뿐만 아니라 지역이미지 개선에 따른 도시국제화가 촉진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지역경제가 크게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세계박람회의 다양한 경제적 효과들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역차원에서 실천 가능한 전략적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박람회의 차별화 된 주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역특유의 차별적 문화유산 개발 등과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실행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발전과 함께 도시국제화를 폭진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 항법 중의 하나인 외국인 및 외국기업 유치 활성화를 위한 정주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박람회와 자연관광을 연계한 체험 위주의 관광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개발하여 국내외 관광객을 성공적으로 유치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대중매체 외 비대중매체인 해외 문화공연과 봉사활동 등 다양한 홍보전략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계획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