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L-13

검색결과 7,029건 처리시간 0.032초

[Cu(L)](ClO4)2 (L:3,5,10-12-Tetr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착물의 합성 및 구조 (Synthesis and Structure of [Cu(L)](ClO4)2 (L;3,5,10,12-Tetr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 최기영;홍청표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0
    • /
    • 1998
  • [Cu(L)](ClO4)2(1)(L:3,5,10,12-Tetramethyl-1,4,8,11-tetraazacyclotetradecan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단순결정, 공간군 P21/n, a=8.802(2)Å, b=13.339(6) Å, c=10.752(5) Å, β=111.02(4)˚, Z=2로 결정화 되었다. 이착물의구조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 하였으며, 최종 신뢰도 R(Rw)값은 617개의 회석반점에 대하여 0.073및 0.142이었다. 이 착물의 결정구조는 평면사각구조와 trans-III형태를 갖는다.

  • PDF

이동통신용 광대역 U-슬롯 패치 안테나 설계 (Design of Wide Band U-slot Patch Antennas for Mobile Communications)

  • 전주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882-88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급전구조에 따른 U-슬롯 안테나의 특성들을 계산하였으며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probe 급전의 경우 13 %(255.1 MHz), L-스트립 급전의 경우 30.7 %(602.1 MHz)의 임피던스 대역폭을 각각 얻었다. 설계된 L-스트립 급전은 U-슬롯 안테나의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설계된 L-스트립 급전 U-슬롯 안테나는 국내 PCS와 IMT-2000 밴드의 이중 대역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토양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가 생산하는 Cellulase에 관한 연구 - (II) Penicillium sp. C13-13 주(株)의 배양조건 검토 - (Studies on the Cellulase of Penicillium sp. Isolated from Soils - (II) Culture Conditions of Penicillium sp. C13-13 Strain -)

  • 김용배;이병국;최승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29
    • /
    • 1974
  • Penicillium sp. C8-14주(株)를 계속 단포자 분리 및 변이 처리를 하여 Penicillium sp. C13-13(역가-3171u/g) 주(株)를 얻었다. 2. 고체배양에 적용하기 위하여 증식용 액체배양을 하였으며, 초발 pH $4.5{\sim}5.0$, 10% 부배지를 사용하여 48시간동안 $30^{\circ}C$, 통기량 6l/min, 교반속도 600rpm(20l-Jar fermenter)으로 배양하여 균체량이 70ml이상일 경우에 접종한 것이 $29{\sim}33^{\circ}C$, 72시간의 부배지 배양에 있어서 가장 좋은 역가를 보였다. 3. 부배지에 1.5% $CaCI_2$ 및 0.015% $MgSO_4$를 가한 것이 control 보다 높은 역가를 보였다. 끝으로 본고(本稿)작성에 많은 도움을 주신 서울 대학교 약학대학 김병각 교수님께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 PDF

Effectiveness of Antagonistic Bacterial Metabolites to Control Rhizoctonia solani on Lettuces and Fusarium oxysporum on Tomatoes

  • Vu, Van Hanh;Thi, Quyen Dinh;Rita, Grosch;Dung, Nguyen Ngoc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0-78
    • /
    • 2013
  • Rhizoctonia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cause yield losses in numerous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To develop a bio-control agent, cell free extracellular compounds (ECs) of 5 bacterial strains Burkholdria sp. L1, Pseudomonas sp. L4, Pseudomonas chlororaphis VN391, Bacillus subtilis VN21 and Enterobacter sp. VN99 from Vietnamese fields, which reduced levels of R. solani root rot in lettuces and F. oxysporum root rot in tomatoes, were investigated. In a growth chamber, ECs of all antagonists markedly enhanced the biomass of lettuces (10 to 14.1%) and tomatoes (11.38 to 13.88%). In greenhouses, the disease's severity on both crops treated with ECs of the antagonists was reduced significantly and biomass losses in the plants decreased markedly. The reduction level of R. solani root rot in lettuces was 75, 66.7, 50, and 16.7% by ECs of strains L1, L4, VN21 and VN391, respectively. The biomass of lettuces increased markedly by 29.13%, 21.67%, and 23.4% by ECs of strains L1, L4 and VN21, respectively. Similarly, the reduction levels of F. oxysporum root rot in tomatoes was 76.3, 75, 41.7 and 25% by ECs of strain L1, L4, VN21 and VN391, respectively, and the biomass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14.42, 12.7 and 13%, respectively. The ECs of strain L1 exhibited the most effective bio-control agents to suppress R. solani and F. oxysporum.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Grain Angle of Wood Materials on Nondestructive Moisture Meters

  • Pang, Sung-Jun;Jeong, Gi 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40-50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sity, temperature, size, and grain direction on measurement of moisture contents (MC) of wood materials non-destructively. The MC of different sizes of solid wood, glulam, and CLT from larch (larix kaempferi, $560kg/m^3$) and pine (pinus koraiensis, $430kg/m^3$) were measured using the dielectric type and resistance type meters. The specimens were conditioned in the environmental chamber to b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12 % and 19 %. When density setting in dielectric type meter was increased from $400kg/m^3$ to $600kg/m^3$, the MCs of specimen (S-L-100-E) were decreased from 13.4 % to 11.3 %. However, when wood group (WG)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 was changed from WG1 to WG4, the measured MCs were increased from 9.2 % to 12.3 %. When temperature setting in resistance type meters was changed from 0 to $35^{\circ}C$, the MC was decreased from 17.0 % to 13.0 %. The MCs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S-L-100-E_11.3 %, G-L-240-E_11.7 % and C-L-120-E_12.8 %) were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S-L-30-E_8.7 %, G-L-150-E_10.3 %, and C-L-90-E_9.7 %). The MCs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larger specimens (G-L-240-E_11.6 % and C-L-120-E_13.3 %)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small size specimens (G-L-150-E_10.4 %, and C-L-90-E_11.8 %). The resistance type meter was not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but the dielectric type meter were affected by the grain direction. The MC measured by resistance type meter for G-L-120-E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was 11.5 % and the measured MC parallel to grain direction was 11.3 %. The MC measured by dielectric type meter parallel to grain direction (12.1 %) was higher than that measured perpendicular to grain direction (10.7 %).

수소 결합에 의한 이차원의 Nickel(II) Tetraaza 거대 고리 착물 결합구조 (Crystal Structure of Three-Dimensional Nickel(II) Tetraaza Macrocyclic Complex Linked by Hydrogen-Bonds)

  • Park, Ki-Young;Choo, Geum-Hong;Suh, Il-Hwan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16
    • /
    • 2002
  • [Ni(L)](BDC)·4H₂O (1) (L = 3,14-dimethyl-2,6,13,17-tetraazatricyclo[16,4,O/sup 1.18/,O/sup 7.12/]docosane;BDC = 1,3-benzenedicarboxylate) 착물을 합성하고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착물은 사방정계, 공간군 Pcnb, a = 8.764(2) , b = 17.687(2) , c = 19.475(1) , V = 3018.7(8) ³, Z = 4로 결정화 되었다. 이 착물의 구조는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으며, 최종 신뢰도 R₁(wR₂)값은 2148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0.0822 및 0.2236이었다. 화합물 1은 수소결합들로 연결된 삼차원의 그물 구조를 갖는다.

RAPD-PCR(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이용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검색 (Use of RAPD-PCR(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a Detection of Pathogenic Listeria monocytogenes)

  • 박범준;신언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4-259
    • /
    • 2004
  • Primer 20가지로 Listeria spp.에 대해 screening을 하여 병원균인 L. monocytogenes를 구별하게 하는 RAPD-PCR의 band pattern을 나타내는 10-mer random primer가 OPG-13이 라는 것을 알았다. OPG-13은 GC%가 70%이므로 계산상으로는 annealing 온도가 34$^{\circ}C$이다. 32~36$^{\circ}C$까지 다섯 가지의 온도로 annealing한 결과 L. monocytogenes만이 갖는 특정한 크기의 band가 역시 34$^{\circ}C$에서 형성됨을 알아냈고, 34$^{\circ}C$를 annealing 온도로 정하였다. Line 1부터 4까지 1. monocytogenes ATCC15313, 19111, 19112, 19113은 2개의 700 bp와 1500 bp band를 형성하였고 그 밖의 Listeria spp.들 Line 6부터 11까지 L. ivanovii ATCC 19119, L. grayi ATCC19120, L. murrayi ATCC25401, L. innocua ATCC33090, L. welshimeri ATCC35897, L. seeligeri ATCC35967은 약 2,000 ~ 2,300 bp크기 한 개의 band를 보여 병원성 균과 비병원성 균이 매우 확실하게 구분되는 band pattern이 나타나는 이러한 결과로 10-mer random primer인 OPG-13을 이용한 RAPD-PCR 방법이 병윈균인 L. monocytogenes를 검색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소원 이용도 평가를 활용한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특성 해석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Landfill Leachate using a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Assay)

  • 구소연;김지영;김재수;고경석;이상돈;조경숙;고동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2호
    • /
    • pp.20-26
    • /
    • 2007
  •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특성을 31가지 탄소원을 가지는 Ecoplate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각 기질에 대한 탄소이용도는 시료에 따라 달랐고, 2-hydroxy benzoic acid, D,L-$\alpha$-glycerol phosphate, D-malic acid는 모든 시료에서 기질로써 이용되지 못했고, D-xylose, D-galacturonic acid, L-aspargine, tween 80, L-serine는 모든 시료에서 탄소원으로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시료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AWCD에 의한 통계분석결과는 KSG1-16 > KSG1-12 > KSG1-07 > KSG-08 > KSG1-13 순인데 예상대로 비오염 지하수 시료인 KSG1-13가 가장 낮았으며, 오염 된 지하수 시료 KSG-07과 KSG1-08는 이보다 높았으나 처리수인 KSG1-16이 높은 것은 의외이었다. PCA방법에 의한 통계 분석결과는 침출수(KSG1-12) 및 오염지하수(KSG1-07, KSG1-08)와 오염되지 않은 처리수(KSG1-16) 및 비오염 지하수(KSG1-13)로 크게 둘로 유사성이 구분되었다. 그러나, 미생물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Shannon index 값에 의한 분석은 시료간의 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서로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