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119 paramedic'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1급 응급구조사의 병원 전 응급환자평가와 응급처치시행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Emergency Care of Paramedic in Fire Station)

  • 강용주;최은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84
    • /
    • 201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emergency care for emergency patient by paramedic in fire station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hospital and transfer step, and understanding the level of emergency care and improvement of clinical knowledge through hospital clinical training. Methods: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objective for 143 persons who completed hospital clinical training from June 2nd, 2006 to October 23rd, 2009 among paramedic in fire station. The questionnaire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80 questions. In the reliability for the awareness of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cronbach's $\alpha$ was 0.95, and in the reliability for emergency care fulfillment, cronbach's $\alpha$ was 0.93. reliability for clinical knowledge improvement is cronbach's $\alpha=.95$, and reliability for emergency care fulfillment is cronbach's $\alpha=.82$.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18.0 statistics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Paired t-test, t-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analyzed by cronbach's $\alpha$. Results: 1) The paramedic awareness and practice difference for emergency patient is statistically signification for general patient assessment(t=14.159, p=.000), trauma patient assessment(t=11.288, p=.000), internal medicine patient assessment(t=10.898, p=.000), and it shows the level of practice is lower than the level of awareness. 2) The paramedic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ve clinical career is not signification on awareness(t=3.119, p=.125), and is high on practice(t=3.119, p=.002). 3) The correlation between paramedic awareness and the level of practice shows positive correlation(r=.61, p=.000). The higher the awareness of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is, the higher the level of practice is. 4) The difference between paramedic clinical knowledge improvement and the level of emergency care practi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t=3.351, p=.001). 5) 89.6%(128 persons) of paramedic replied hospital clinical training experiences are helpful for field activity. 92.3%(133 persons) replied they apply well for clinical knowledge learned during hospital clinical training and emergency care skills in the field. Conclusion: Paramedic in fire station must evaluate the patient's initial assessment and activate the transfer system to the emergency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continuously. The education program should systemize currently operated hospital clinical training. emergency disease and symptoms emergency care method, and practice mainly skill education should be progressed. In the prehospital and transfer management, high quality of medical assessment is required to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Medical direction from the doctors can feedback the paramedic continuously and continuing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the paramedic in fire station.

The study on improving concept design of 119 paramedic helmet in Korea

  • Shin, Dong-min;Cho, By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1-75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ized size for paramedic helmets as personal safety equipment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his identified priorities for advanced loT technologies that need to be attached to paramedic Helmets. Paramedic helmets with advanced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others, but they have not been developed for Korea. The products of kinds do not exist in Korea. Based on the average size of Korean men's heads, this derived an optimized size for paramedic helmets. The optical width of this product would be 205 mm. The length would be 265 mm. The height would be 155 mm. The verified that this size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authorizing certification institution. What paramedic most need in helmets is various kinds of functionality.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features. In this study, many personal safety equipment for paramedics, including the extraction of an optimal size of strong emergency head-protection helmets to protect the head of the human body on helmets based on an design. We anticipate this result to be a basis for developing an even more sophisticated and functional paramedic helmet than those that currently exist.

119구급대원들의 근로생활의 질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Quality of Work Lif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in 119 Paramedic's)

  • 최미영;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8-57
    • /
    • 2020
  •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들의 근로생활의 질이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응급의료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구 및 경북 소방안전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 남녀 308명을 대상으로 2019년 2월 3일부터 5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19구급대원들의 근로생활의 질이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 간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19 구급대원들의 개인차원, 관리차원의 근로생활의 질이 조직유효성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셋째, 119 구급대원들의 개인차원, 조직차원, 관리차원의 근로생활의 질이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119구급대원들의 조직유효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몰입,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감안할 때, 119 구급대원들의 복지제도를 개선함으로써 응급의료서비스의 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구급일지를 통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병원전 응급처치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care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Paramedic's Reports)

  • 고봉연;박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40-1546
    • /
    • 2010
  •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에 특성 및 심폐소생술과 제세동 등 응급처치 시행에 관련된 구급활동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를 분석하여 심정지 환자의 소생을 위한 병원전 응급처치의 질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세동할 수 있는 심실세동과 심실빈맥 리듬은 20.3%이고 이중 제세동기에 의한 쇼크는 66.5%가 시행되었다. 현장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시 소생률은 미시행시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p=0.10)는 없었다. 심전도 기록을 판독한 결과 심실빈맥이거나 심실세동인 경우가 무수축이거나 무맥성 전기활동인 경우보다 소생률이 높고 유의한 차이(p=0.000)가 있다. 제세동을 적절하게 한 군은 부적절하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보다 소생률이 높았고 유의한 차이(p=0.000)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전 응급구조사의 기록과 제세동 등 적절한 응급처치로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면 한다.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f Paramedic Students' Perception Type on Female 119 Paramedics)

  • 한송이;박소미;최은숙;이재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70-80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119구급대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소방 조직 내에서 여성119구급대원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는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Q표본을 선정하여 구급차동승 현장실습을 경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QUANL program을 이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슈퍼우먼형', '체력한계 히어로형', '섬세한 수호천사형', '능숙한 데스크잡형'의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설명력은 제I유형 42.2%, 제II유형 4.8%, 제III유형 4%, 제IV유형은 3.6%로 전체변량의 54.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여성119구급대원을 전문가로 인식하고 있지만 체력적인면과 출산 및 육아에 대하여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구성원의 인식 변화와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A Study on Perception type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major Student's concerning the Female 119 Paramedics: Focusing on a Q-Methodology Approach)

  • Lee, Jaemin;Han, Seungtae;An, Juy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89-402
    • /
    • 2016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인식하는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 방법을 적용하여, 구급차동승 현장실습 교과목을 이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인식유형은 네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제 I 유형은 '체력한계형', 제 II 유형은 '전문가형', 제 III 유형은 '수호천사형', 제 IV 유형은 '여성적 경험형'으로 인식되었다. 각각의 설명력은 제 I 유형 28.3%, 제II유형 12.7%, 제 III 유형 6%, 제IV유형은 3.8%로 전체변량의 51%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여성119구급대원에 대한 인식은 응급처치에 대한 전문가이지만 체력적 한계, 위험성 노출과 출산 및 육아에 대하여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어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119구급대원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elf-Help Education on Job Competenc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119 Paramedic's)

  • 김소라;문태영;최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0-49
    • /
    • 2021
  • 본 연구는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 직무 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구급대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직무의 전문성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강원 및 대구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성인 남녀 205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 업무능력 및 직무 만족도, 삶의 질 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이 업무능력(개인적 영역), 직무 만족도(개인적 영역, 조직적 영역, 전문적 영역), 삶의 질(개인적 영역, 전문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1, p<.001). 119구급대원들의 삶의 질에는 업무능력(고객 지향성, p<.01), 직무 만족도(상관 및 동료, 전문성, p<.001)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할 때, 119구급대원들의 자기계발 교육 활성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다.

119구급대원의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구급차 내 처치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st-aid activity space within the ambulance for the efficiency of 119 EMT's work)

  • 홍성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3-8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rgonomic design of first-aid activity space(FAS) for a future ambulance suitable for the performance of 119 EMT. Methods: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the 124 EMT in 119 cent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sub factors including the satisfaction and compatibility of the FAS. The satisfaction and compatibility was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sults: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FAS within the ambulance was an average of 2.23, and the compatibility category got an overall average score of 2.26. The lowest ranked criteria in the satisfaction and compatibility factor was the functionality of storage space showing 1.93 and 1.88, respectively. The best position of the paramedic seat was the top side of the patient, near the head, which is suitable for patient assessment and treatment. Conclusion: During patient transportation of 119 EMTs, for efficient work process, a layout design of the FAS should be based on ergonomics that satisfied the performance function.

119구급대원의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의무태도에 관한 연구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attitudes towards mandatory reporting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김태현;조근자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5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ception of child abuse, attitudes towards mandatory reporting, and perceptions of mandatory reporting system, and to promote early reporting. 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one hundred ninety 119 EMTs with paramedic or nurse licen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3 items with responses based on a five-point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0 to July 31, 2018,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4.0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119 EMT's perception of child abuse was 3.76. The average score for positive attitude towards mandatory reporting was 3.63, and the average score for negative attitude towards mandatory reporting was 2.63. The average score for perceptions of the mandatory reporting system was 3.5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mandatory reporting (r=.244, p=.001), between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perceptions of the mandatory reporting system (r=.209, p=.004), and between positive attitude towards mandatory reporting and perceptions of mandatory reporting system (r=.336, p=.000). Conclusion: Systemic educational programs for 119 EMTs on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reporting are needed.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the use of checklist for suspicion of child abuse, procedural simplicity after reporting, and protection of reporter information.

1급 응급구조사의 직종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업무스트레스 (Job Satisfaction and Work Stress of EMT-paramedic's According to type of Occupation)

  • 김덕원;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84-593
    • /
    • 2017
  •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가 배출된지 21년이 지난 시점에서 119와 병원에서 근무하는 응급구조사들을 근무 기관별로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119와 병원의 차이와 장단점을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1급 응급구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전라북도의 28개 119안전센터와 14개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 20.0을 사용하였으며, 카이제곱검정, t-test,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업무스트레스는 119근무자(2.92), 병원근무자(3.01)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소방근무자(2.98), 병원근무자(2.54)으로 병원근무자들이 크게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또한 병원근무자들의 보수 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가 보였으며($2.07{\pm}0.62$), 월 평균 환자수가 적을수록(p<0.001), 월수입이 높을수록(p=0.047), 휴가가 많을수록(p<0.001) 업무스트레스가 낮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119와 병원 모두 근무복지여건의 개선이 필요하고, 119의 경우, 구급대원 폭행 방지 대책과 휴식공간이 필요하고 특히 병원의 경우는 급여와 연간 급여증가율, 고용형태의 안정을 개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