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흥미와 관심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23초

2D영상과 3D 입체영상에서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몰입도 비교 (Exploring the Immersion Degree Difference Between 3D and 2D: Focus on Action-Adventure Game)

  • 권혁인;이현정;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7-164
    • /
    • 2011
  • 영화 아바타가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대중들의 3D입체영상에 대한 관심은 증폭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3D라 일컬어지는 stereoscopic에 대한 대중들의 폭발적인 관심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소비자들은 사회문화 환경 변인에서 오는 그들의 누적된 경험과 지배적인 의식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같은 내용의 영상물을 2D와 3D 입체영상으로 제시했을 때, 몰입도나 흥미의 지속성 등의 차원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일은 중요하다. 이 같은 관점에서, Jennett (2008) 은 게임의 몰입에 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도구를 이용하여, PC 게임 사용자들이 느끼는 3D 입체영상과 2D에서 몰입과 흥미 등의 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을 위한 로봇 관련 문헌분석 (Literature Review of Robots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 최은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65-273
    • /
    • 2015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시각적 처리, 체계화와 같은 강점을 지니며, 사물 및 기계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나타낸다. 이 같은 맥락에서 로봇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에 유용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즉 로봇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심을 유발하고,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단순화된 사회적 자극을 제시하며, 반복적용이 가능하고, 대상에 따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을 위한 국내 로봇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폐, 로봇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11편의 국내 문헌을 최종 선정하고, 활용 로봇, 로봇 제시자극, 실험절차 및 종속변인에 따라 문헌을 내용 분석하였다.

  • PDF

직업카드를 이용한 웹 기반 흥미유형검사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Web-based Interest-Type Test using Occupational Card)

  • 강명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185-190
    • /
    • 2018
  •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진로탐색과 관련된 다양한 과정들을 개설하여 진로적성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강의 중심으로 진행되는 직업 교육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고 결과 또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있다.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직업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진로탐색을 위한 직업 적성 검사 도구로 직업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부터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직업적성검사를 진행하는데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웹 기반의 학습과 검사 도구 개발로의 변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바일과 인터넷환경에서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적성검사를 진행하여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는 웹 기반 흥미유형검사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목표이다.

비정규 과학학습으로 본 드라마 '카이스트' 평가 (An Appraisal of Drama 'KAIST' As an Informal Science Learning)

  • 황성원;최재혁;윤혜경;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16-327
    • /
    • 2001
  •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를 소재로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카이스트'를 비정규 과학학습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조사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는 컴퓨터, 로봇축구, 우리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들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이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고, 특히 과학기술자 과학기술 전반,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비정규 과학학습의 소재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드라마 '카이스트'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였지만, 비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과학자의 천재성을 부각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흥미위주에서 탈피하여 실패와 좌절을 겪는 평범한 과학자의 모습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 PDF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에 나타난 교육적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K-Sand Art's Lifelong Learning Specialized Instructor Club)

  • 김영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09-419
    • /
    • 2020
  • 이 연구는 평생교육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샌드아트 기법의 학습자 흥미 유발 요인과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 유발 효과를 높이는 요인은 샌드아트 기법을 모래 놀이로 인식, 이야기와 음율, 샌드박스에 그리며 표현해보는 활동, 학습자의 관심 주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교육적으로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자신감 향상, 표현력과 창의력 개발, 오감 발달에 효과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전 세대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평생교육 6진 분류 중 시민참여교육, 기초문해교육, 문화예술교육에 샌드아트 기법을 활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향후 과제로는 샌드아트 전문가 양성 지원, 샌드아트 재료 및 장비 지원, 다양한 대상을 찾아가는 샌드아트 프로그램을 확산해야 할 것이다.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책과 흥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obot Programming Learning using Pico Cricket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nterest)

  • 이진영;송정범;김광열;백성혜;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26
    • /
    • 2009
  • 본 연구는 교육용 로봇의 한 종류인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에 있어서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흥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정보 과목의 핵심 내용이라고 볼 수 있는 프로그래밍 학습은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인 과목이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학습은 프로그램의 문법적인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부가적이면서 어려운 학습내용 때문에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용 로봇은 놀이적 요소가 포함되어 프로그래밍 학습에 쉽게 다가가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 중에 피코 크리켓은 기존 교육용 로봇이 지적 받아왔던 경쟁을 유도하지 않고 협동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코 크리켓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기피하는 것으로 지적 받고 있는 여학생들에게 그들의 관심 영역인 생활 중심적이고 협력적인 학습 내용을 제시하여 줄 수 있어 여학생들을 프로그래밍 학습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남학생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흥미에 미치는 효과와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보검색에서 다유전자군 관리에 의한 사용자 프로파일 시스템 (User Profile System Using Gene Group Management in Information Retrieval)

  • 김남일;박영찬;남기춘;최기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7년도 제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4-51
    • /
    • 1997
  •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은 사용자 개개인의 관심 분야를 기술한 것이다. 정보 시스템이 사용자 개개인의 관심 분야를 알고 있다면,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속하는 문서만을 사용자에게 제시해 줌으로써 정보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은 시간이 지날수록 개인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더욱 잘 나타내어야 하고(Specialization), 사용자의 관심 분야가 변화해도 그에 대응해야 하며(Adaptation), 사용자가 흥미있어할 만한 관련 분야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Exploration). 본 논문은 기존에 연구되어 왔던 정보여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보검색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성을 지닌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심분야의 변화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델링하고, 여러 유전자군(群)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관심분야를 기술한다.

  • PDF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Investig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 곽영순;김찬종;이양락;정득실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0-268
    • /
    • 2006
  •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사용자 흥미 요인 연구 : <동물의 숲> 사용자 커뮤니티의 토픽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est Factors of Game-based Metaverse : focused on the topic analysis of user community)

  • 안진경;곽찬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9
    • /
    • 2021
  • 팬더믹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성 있는 메타버스 운영을 위한 흥미 요인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 커뮤니티 담화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서비스의 흥미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대표 사례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사용자 커뮤니티 담화를 수집해,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를 활용해 토픽모델링을 실시했다. 추출된 토픽은 크래프팅과 성장을 위한 허들, 현실 연계 콘텐츠의 정보, 채집 활동과 수집 기록, 소셜라이징,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자기표현, 시즈널 이벤트의 수행도, 캐릭터 상호작용과 슬롯 제한으로 나타났다.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흥미 요인은 성장과 확인 가능한 지표, 다양한 층위의 상호작용, 자기표현과 자유도, 현실세계와의 연결로 정리되고, 이를 통해 시간 기반 콘텐츠 운영, 운과 확률의 활용, 제약의 활용이라는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콘텐츠 기획 방향성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실증적 담화 데이터를 활용해 흥미 요인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문제중심학습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학습흥미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Kindergarte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Interest)

  • 김정겸;염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14-218
    • /
    • 2012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학습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에 만5세에 재원 중인 유아 50명이다. 연구집단은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을 처치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교사중심 수업을 처치한 후 사전과 사후검사에는 문제해결력 검사와 학습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처치는 5주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PBL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 수업을 적용한 연구집단이 교사중심 수업을 적용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문제해결력이 높았다. 즉,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 제안 및 적용, 문제 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PBL 수업을 적용한 연구집단이 교사중심 수업을 적용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학습흥미도가 높았다. 즉 주의집중, 흥미도, 자신감, 성실성, 활동에 대한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PBL 수업은 교사중심 수업에 비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학습흥미도를 향상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