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Students' affective attitude not only influences their achievement in a meaningful way but is also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its own right.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vari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surveys and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results. We analyzed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terms of (1) interest in and enjoyment of science, (2) instrumental motivation in science, (3) science learning anxiety, and (4) self-concept in science. Major findings are that studen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in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value perception of science, and confidence in science as they move in to a higher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students' explanation, science classes get boring in higher grades because of difficult contents, lack of experiments and activities, and the teachers' monotonous explanations.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are suggested. First of all, we need to secure more science instructional hou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a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o implement improv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학생의 정의적 태도는 지적 성취에 의미있는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성취 그 자체도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에 대한 국내 외의 선행 연구 자료 분석과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설문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1)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2) 과학에서 도구적 동기유발, (3) 과학(학습)에서의 긴장감, (4) 과학에서 자아 개념 등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교과목에 대한 태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내적 동기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 도구적 동기 유발 및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결국 이공계 기피 현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또는 작년보다는 올해 수업이 더 재미없는 이유로 내용이 어려우며, 실험이나 활동을 하지 않고, 교사가 설명위주로 진도를 나가기 위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 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개선, 최소한의 과학 수업 시수 확보 등의 측면에서 정의적 영역 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훈, 이미경, 유준희, 2001, 2001년도 국가 수준 교육 성취도 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1-5, 234 p
  2. 노국향, 최미숙, 최승현, 박경미, 신동희, 2001, PISA 2000 평가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9-1, 219 p
  3.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206 p
  4.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나귀수, 최미숙, 2004, PISA 2003 평가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2, 326 p
  5. 이미경, 신일용, 2003,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3-1- 5, 239 p
  6.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7, 327 p
  7.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C 2004-1-6, 630 p
  8. 채선희, 나귀수, 곽영순, 윤준채, 최성연, 2003, 2003년도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3-2-2, 252 p
  9. 한국과학교육학회, 2005, 초.중등 과학교육 혁신방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14 p
  1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00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5-1-5, 259 p
  11. Mullis, I.V.S., Martin, M.O. Gonzalez, E.J., and Chrostowski, S.J., 2004,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 Grades. Boston College, Center for the Study of Testing, Evaluation, and Educational Policy, 468 p
  12. OECD, 2001, Knowledge and Skills for Life: First Results from PISA 2000. Paris, OECD, 390 p
  13. OECD, 2004a,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 First Results from PISA2003. Paris, OECD, 476 p
  14. OECD, 2004b, Education at a Glance. Paris, OECD, 46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