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rature Review of Robots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을 위한 로봇 관련 문헌분석

  • 최은영 (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5.11.23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ASD) have a strength in visual process and systemizing, and they show interest toward things and machines. Therefore, robots have been suggested as a useful tool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children with ASD. A robot can attract children's interest and attention, and it can provide simplified social stimulus. A robot can be applied repetitively, and programmed for the special needs of an individual child. In this study, we review literature related to the use of robots for the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ASD. For this purpose, related literature was searched with the keywords of autism and robot. We selected eleven domestic papers, and analyzed their contents to identify robots, stimulus of robots, experiment process and dependent variables.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시각적 처리, 체계화와 같은 강점을 지니며, 사물 및 기계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나타낸다. 이 같은 맥락에서 로봇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에 유용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즉 로봇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관심을 유발하고,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단순화된 사회적 자극을 제시하며, 반복적용이 가능하고, 대상에 따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재활을 위한 국내 로봇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폐, 로봇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11편의 국내 문헌을 최종 선정하고, 활용 로봇, 로봇 제시자극, 실험절차 및 종속변인에 따라 문헌을 내용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준수, 김재진, 남궁기, 박원명, 신민섭, 유범희, 윤진상, 이상익, 이상환, 이영식, 이현정, 임효덕,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 서울 : 학지사, 2015.
  2. Stanton C. M., Kahn Jr., P. H., Severson R. L., Ruckert J. H., & Gill B. T., "Robotic animals might aid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Proceedings of the 3rd ACM/IEEE I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pp. 271-278, 2008.
  3. Hart M., "Autism/Excel study", ASSETS 2005: Seven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and accessibility, pp. 136-141. New York: ACM Press, 2005.
  4. Amanda B. E. & Smith M. B., "자폐스펙트럼 장애 : 특징과 효과적인 전략,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377-399, 2012.
  5. Paxton K. & Estay I. A., "Counselling people on the autism spectrum", A practical manual, Philadelphia, P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p. 52, 2007.
  6. Golan O., LaCava P. G. & Baron-Cohen S., "Assistive technology as an aid in reducing social impairments in autism", In Robin L. G. & Dina E. H., Growing Up with Autism, New York: The Guilford Press, pp. 124-142, 2007.
  7. 권정민, 김영태, "일반학급, 특수학급, 로봇 환경에서의 중등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언어적 상호작용",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13권, 3호, pp. 19-38, 2013.
  8. 김건희, 이효신, 강정배, 배민정, 장수정, 구현진, 강원석, 안진웅,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 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정서 . 행동장애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제26권, 4호, pp. 371-370, 2010a.
  9. 구현진, 이효신. "로봇 자극에 대한 자폐유아의 상호작용 연구", 정서 . 행동장애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제28권, 2호, pp. 215-234, 2012.
  10. 조광수, 권정민, 신동욱. "인지로봇의 자폐 범주성 장애 중재 적용가능성 탐색",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9권, 2호, pp. 45-60, 2009.
  11. Dubois M., & Vial I., "Multimedia design: The effect of relating multimodal information",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 16, pp. 157-165, 2000.
  12. Dautenhahn, K., Werry, I., Salter, T. & te Boekhorst R, "Towards adaptive autonomous robots in autism therapy: Varieties of Interactions",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Robotics and Automation(CIRA'03), pp. 577-582, 2003.
  13. 권정민, 박은혜, "유아, 초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지능형 로봇 관련 연구 동향", 유아특수교육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제13권, 1호, pp. 145-172, 2013.
  14. 김건희, 이효신, 장수정, 배민정, 구현진, "자폐범주성 장애 유아의 반응 유형 탐색-로봇 장난감과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자극을 중심으로-",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제50권, 1호, pp. 181-209, 2011
  15. 유승훈, 이효신, "교육매체로서의 로봇과 컴퓨터에 대한 발달장애아동의 인식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제53권, 4호, pp. 91-120, 2014.
  16. Dautenhahn K. & Billard A., "Games children with autism can play with robota, a humanoid robotic doll", In S. Keates P. M. Langdon, P. J. Clarkson & P. Robins (eds.), Universal access and assistive technology, London: Spring-Verlag, pp. 179-190, 2002.
  17. Robins B., Dautenhahn K., Boekhorst R. & Billard A., "Robotic assistants in therapy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can a small humanoid robot help encourage social interaction skill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vol. 4, no. 2, pp. 105-120, 2005. https://doi.org/10.1007/s10209-005-0116-3
  18. 신윤희, 김성범,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증진에 적용된 로봇의 역할 및 중재모델 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제16권, 1호, pp. 51-85, 2015.
  19. 김성범, 신윤희,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정서.행동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로봇적용연구 동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제53권, 4호, pp. 21-52, 2014.
  20. 이종희, 김은경, "자폐성장애 아동의 관심 및 흥미를 활용한 중재연구 문헌분석",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13권, 2호, pp. 41-63, 2013.
  21. 박현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제한된 행동과 관심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인식",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12권, 2호, pp. 131-157, 2012.
  22. 허은정, 주세진,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의 공동관심 중재연구에 관한 문헌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11권, 2호, pp. 49-75, 2011.
  23. 박혜진,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위한 모방기술중재 관련 연구문헌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한국자폐학회, 제13권, 2호, pp. 65-86, 2013.
  24. 김창걸, 송병섭, "로봇 원격지원 시스템의 활용 방안연구: 특수교육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제51권, 4호, pp. 95-110, 2012.
  25. 강민경, 이현정, 김영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로봇활용 연구의 최근 동향: 200년 이후 국내외 학술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한국특수교육학회, 제12권, 3호, pp. 127-152, 2013.
  26. 김건희, 이효신, 장수정, 구현진, "로봇과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성 아동의 반응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제26권, 1호, pp. 331-353, 2010b.
  27. 신윤희, 진미영, 조정민, 서경희, "자폐스펙트럼장애 유.아동의 로봇인식과정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제27권, 4호, pp. 413-43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