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스피스 교육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3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이 죽음에 대한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주리애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popularization of hospice service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luences of hospice training on participants. We compared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 death between those of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by use of questionnaire. This study involved 137 volunteers participating in the hospice training held by one hospice center located in K-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6 items, 21 items of general information and 25 items of information about attitudes toward death. We applied Park's translated version(1992), originally distributed by Thorson and Powell(1988), in the assessment of participants' changed attitudes toward death.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hospice training. The data were analged by frequency. ANOVA t-test,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Pre-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5.20), 'No worry about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a funeral'(F=4.75), 'Having little interest in being laid in a coffin after death'(F=4.56);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Having little interest in any occurrences around the body after death'(F=2.22), 'Willing to deal with the aftermath of the death in detail'(F=1.94),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1.72). 2.Post-training items holding a high rank were 'No fear to be dead as a result of sufferings from long-lasting illness'(F=3.18), 'No fear to have an idea to be cancerous'(F=3.16)', Having little interest in the future life after death'(F=3.09); items holding a low rank were 'Unpleasant to be not able to move after death(F=1.74), 'Distressing not to know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F=1.61), 'The subject about the future life after death is distressing'(F=1.60). 3.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death. Compared with pretraining(F=3.97), more positive were developed in post training(F=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ospice training renders positive regards toward death to the participants. Therefore every human being, who is able to speculate about the meaning of death, has to be exposed to the hospice training. In conclusion, hospice training should be popularized in the near future.

  • PDF

호스피스 간호에서 의미요법 적용을 위한 생의 의미 고찰 (Inquisition of Meaning in Life for Logotherapy Application in Hospice Nursing)

  • 최순옥;김숙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29-33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of meaning in life based on Frankl's theory and to propose of hospice nursing according to conceptual framework of meaning in lif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aning in life is composed of 4 phases. According to the first phase, acceptance & awareness of self and life, hospice nurse should helps dying patient to accept limitedness of human existence and death. and according to the second phase, actualization of creative value, hospice nurse can helps dying patient to discover meaning in life through doing a deed for last time before his death. According to the third phase, actualization of experiential value, hospice nurse can helps them to discovery of meaning by experiencing of love through meetings with other people, nature, and god. According to the forth phase, actualization of attitudinal value, hospice nurse can helps them to discovery of meaning by realizing meaning in suffering and death through exercising of the inner freedom to choose bravery and acceptance in the face of death and misfortune. As mentioned above, the Frankl's theory accords with the core of hospice nursing that helps people to accomplish human essence in suffering and death. therefore we accepted Frankl's point of view, assert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a hospice nurse as a supporter and sustainer for dying patients is to help patients to find meaning in life even in the course of death. To achieve the goal, hospice nurses should try to have a firm faith through philosophical introspection about life, death, human existence and meaning in life what the most important goal of life is to discover meaning in life and human have the duty and responsibility of recognizing and pursuing meaning up to the last moment of life.

  • PDF

자료적 트라이앵귤레이션 방법의 활용을 통한 호스피스 교육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ve Study of Hospice Education using Data Triangulation)

  • 백훈정;김춘미;최순영;박순옥;문진하;김정숙;김애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100
    • /
    • 2005
  • Purpose: This research used quantitative research to identify differences in death consciousness between pre and post education. The study was also designed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by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to examine hospice education experience. Method: This study a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Results: 1 The mean score for the students' death consciousness before the hospice education averaged $2.15{\pm}\;.33$, a medium level for death Consciousness. The Score after education was $2.25{\pm}\;.36$, that is, there was higher score for death consciousness after education. 2.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giving their names and categorizing the experience of being in a coffin shown to be self-reflection, regret, recognition to death, death as discontinuation of life, the last closing from everything, death as a sad and cruel event, death as another world, specialist intuition of nursing.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nursing students to consider death earnestly and realistically through hospice nursing education. We also discovered affirmative changes in the students' viewpoint of death, students who in future clinical practice may work with elders. We also found increases in motives to develop ability to present effective aid to dying patients.

  • PDF

말기 암환자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 II - 죽음의식에 미치는 효과 검정 -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and Its Performance)

  • 김분한;김문실;김흥규;정태준;탁영란;김혜령;전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76-5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hilosophy and principle of Hospice and integrated with various professional areas related to the problems with which terminal patients and their family might be associated. The program was continued for 16 weeks and consisted of lectures and practices. The courses of this program were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Hospice, The Role of the Hospice Nurse, The Characteristics of Terminal Disease, Physical Care in Terminal Patients, Death Orientation, Psychological care for Terminal Patients, Spiritual care for Terminal Patients, and Care for the Family.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the difference in death orientation of subjects between the pre and post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examined using the t-test. The finding of this statistic indicated that this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was effective in terms of changing the death orientation of subjects with positive direction. Th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was performed several times at Kwangrim Hospice Missionary, Chungbuk University Hospital, and Wooam Church. Case studies were reported for a description of content of hospice care experienced by subjects after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put this at the beginning 8 the sentence. In conclusion, the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 care was developed effectively.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used to educate and activate the subjects in community to be participants in hospice care.

  • PDF

호스피스 스마트 환자 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ospice Smart Patient Service Provider)

  • 박재순;유양숙;박현정;최동원;최상옥;김성은;김효정
    • 종양간호연구
    • /
    • 제9권1호
    • /
    • pp.43-51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reflecting the educational needs of Hospice Smart Patient service providers. Method: The description, goal, curriculum, method, and process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constructed based on Modified Tyler-type Ends-Means Model followed by the analysis of current curriculum and needs of service providers. Results: The curriculum was constructed based on hospice volunteer program currently offered in Korea and the recommendations of hospice service volunteers and experts. A total of 90 hr was required to complete the curriculum that was composed of 'Introduction to cancer', 'Treatment and treatment complications of cancer', 'Post-treatment nutritional care', 'Helpful information', 'Introduction to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omprehension of life and death', 'Holist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ow to communicate as a smart patient', 'Hospice and ethics', 'Pediatric hospice', 'Bereavement management', and 'Clinical practicu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as well as making the service available to a greater number of cancer patients.

  • PDF

의미요법이 포함된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숙남;김현주;최순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54-46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and non- synchroniz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8) participated in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The control group (n=28) participated only in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The 30-hour course examined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care and logotherap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chi}^2$-test, and t-test using SPSS 19.0 WIN Program. Results: Scores for the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ing in life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attitude to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students.

학령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CD Program Development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 강경아;김신정;송미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82-90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학령기 후기(만 $10{\sim}12$세)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0일 이었다. 교육내용은 Frankl의 의미요법의 이론적 틀과 치료기법을 근간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매체개발은 Keller 와 Song의 ARCS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Dick와 Cray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응용하였다.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마음 속 보물찾기]였다. 결과: 총 5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용으로 5차시 교육내용의 주제는 삶의 본질적 특성,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자기주도적인 삶에서 선택과 책임의 중요성의 내용을 다루었다. 각 차시의 세부교육내용은 처음, 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으로 진행되며, 교육자용 지침서는 알쏭달쏭(동기유발을 위한 6컷 만화), 각 차시별 교육내용(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 체험하기(퀴즈 및 정답, 체험하기내용)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용 책자(환아용)는 CD를 통한 각 차시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체험하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책자이다. 또한 이 교육용 책자에는 각 차시 마지막 부분에 마음 속 보물찾기 CD에서 각 차시 마다 소개된 웃음 송 악보를 넣어 환아들이 언제든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령기 후기 암 환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외에 호스피스 영역의 전문종사자들이 암 환아들의 정서적, 영적돌봄을 위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지침서와 환아들을 위한 교육용 책자도 동시에 개발하여 그 활용의 용이성을 최대한 높였다.

  • PDF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 교육 프로그램 (The Single-Session Group Education for Advanced &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 이영숙;허대석;김미라;김원경;최정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64-72
    • /
    • 2004
  • 목적: 본 연구는 3차 의료기관에서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집단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집단교육에 참석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했다. 응답한 설문지를 SAS 분석하고 CHISQ를 통해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설문지 조사내용은 1) 참석자의 일반적인 특성, 2)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3) 환자를 돌보는 어려움, 4) 교육에 대한 평가였다. 결과: 교육에 참석한 환자와 가족은 211명이었고, 이 중 응답한 설문지는 89명이었다. 응답한 설문지 결과를 보만 참석자 중 환자가 37.5%, 가족이 56.2% 참석했다. 참석자의 나이는 60대, 50대, 40대, 30대 순이었고, 가족관계는 배우자가 가장 많고, 부모, 자녀, 형제 순으로 참석했다. 환자의 진단은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순이었고, 진행암 환자가 48.8%, 말기가 17.4%를 차지했다. 환자와 가족이 호소하는 주된 어려움은 치료와 관련된 문제가 대부분이었고, 정서적인 문제, 식사문제, 증상관리, 통증조절, 의료문제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교육에 대한 평가는 95%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식사, 의료문제에 대한 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주목할 점은 환자와 가족은 치료와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호스피스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싶어했다. 결론: 이 프로그램은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집단 교육을 실시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프로그램은 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정보와 충분한 교육시간의 확보와 보다 많은 교육의 기회의 제공이 요구된다.

  • PDF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의 통증 예측요인 (Factors for the Prediction of Pa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Hospice Units)

  • 용진선;한성숙;노유자;홍현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25-135
    • /
    • 2002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의 통증과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우울, 불편감, 신체적 간호 시행 횟수, 진통제 사용, 및 영적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대상 : C 대학 3개 부속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새로 입원한 말기 암환자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1년간 연구원들의 직접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NOVA, Pearson correlation oefficient, 및 Multivatiate mulitiple regression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1) 인구학적 특성: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57세 이었고, 60세 이상이 28명(48.3%)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정도는 고등학교 이상 졸업자가 약 53%를 차지하였고, 종교는 가톨릭이 62.1%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대부분이 기혼(89.7%)이었고, 가족 수는 2명인 경우가 25.9%, 4명이 19.0%, 없는 경우가 17.2%, 3명이 15.5 % 순이다. 임상적 특성으로 진단명은 위암이 24.1%, 폐암이 17.2%, 직장암이 13.8% 순 이었다.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게된 동기는 통증완화가 67.2%, 영적 간호가 39.7%, 증상완화가 27.6%였다. 수술을 받은 경우는 44.8%, 받지 않은 경우가 55.2%였다. 가족력에 암이 있었던 경우는 27.6%이었고, 일상 수행 정도는 부분적으로 가능한 경우가 65.5%로 가장 많았으며, 전혀 불가능이 22.4%, 그리고 12.1%는 가능하였다. 돌봄과 관련된 특성에서 주 돌봄 제공자가 주로 가족(72.4%)이었으며, 간호 장소는 84.5%가 병원을 선호하였고 그 이유는 통증 조절(51.7%), 언제나 치료가 가능한 점(15.5%), 정서적 안정(15.5%), 그리고 영적 간호(12.1 %)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 모두는 가정에서의 간호를 염려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통증 조절이 어렵다는 것(77.6%), 영적 간호 제공자 부재(15.5%), 돌봐줄 사람의 부재(13.8%), 및 가족의 부담감(6.9%)이었다. 통증의 종류를 보면, 대상자의 53.4%가 심부 통증, 20.7%가 복합적인 통증, 17.3%가 내장 통증, 5.2%가 신경성 통증, 3.4%가 표재성 통증을 호소하였다.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 경우는 77.6%였다. 통증 정도는 평균 4.69점이었고, 우울감은 6.13점, 불편감은 4.13점, 그리고 신체간호 시행은 2.59점이였다. 2) 통증과 통증 관련요인과의 상관 관계 :통증과 우울(P<.05), 통증과 신체적 간호(P<.05), 통증과 불편감(P<.05), 우울과 불편감(P<.05)사이에 순 상관 관계를 보여, 우울하고 불편감이 심할 수록 통증이 더 심했으며, 신체 간호 횟수가 많은 경우일수록 통증을 더 느꼈고, 우울할 수록 불편감도 더 심했다. 3) 통증예측 요인 분석: 우울 정도(${\beta}=0.41$, P=0.0049) 와 마약성 진통제 사용 여부(${\beta}=2.11$, P=0.0132)가 환자의 통증 정도($R^2=.46$)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말기 암환자들 대부분이 입원 당시 중등도 이상의 통증이 있었으며, 통증정도는 우울과 불편감 그리고 신체간호 횟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과 마약성 진통제 사용이 통증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말기 암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은 물론 신체적, 심리적, 및 영적 측면과 관련된 총체적인 접근에 의한 다학제간의 중재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인지 및 교육요구도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 김정희;이현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205-211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지정도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종합병원 암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51명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40문항, 인지정도와 교육요구도 측정도구는 각각 2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암병동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높았으며, 영역별 스트레스는 업무량 과중이 가장 높았고, 임종환자에게 시간할애의 어려움, 임종환자와의 인간적 갈등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4점이었으며, 인지정도가 가장 낮은 문항은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였으며, 법적 측면, 진실통고에 대한 윤리적 근거의 순이었다.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5점으로 높았으며, 스트레스와 소진관리, 임종 전 관리, 의사소통 방법, 임종준비에 대한 의사소통, 마약성 진통제 관리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임상경력이 길수록, 호스피스 교육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 횟수가 많을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았고, 암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임종간호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인지정도는 낮으며,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