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Program Development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학령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 Published : 2008.07.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D program of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Keller's ARC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theory and a model for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Dick and Cray) were applied to develop this program which comprised four distinct phases: planning, developing, applying, and evaluation stages. Results: This program was entitled 'Finding treasures in my mind' and consisted of 5 sess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were made up as follows: "Treasure One" is 'learning three natures of the human mind', "Treasure Two" is 'learning creative value as first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reasure Three" is 'learning experiential value as secon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reasure Four" is 'learning attitudinal value as thir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and "Treasure Five" is 'Becoming the master of my life'. The sub-menu was made up of 'Beginning', 'What is it?', 'Travelling'. 'Laughing Song', and 'End'. Conclusion: This CD program is an applied logotherapy with flash animation technique as an emotional and spiritual intervention program for easier and more scientific application in pediatric oncology and hospice area.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학령기 후기(만 $10{\sim}12$세)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0일 이었다. 교육내용은 Frankl의 의미요법의 이론적 틀과 치료기법을 근간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매체개발은 Keller 와 Song의 ARCS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Dick와 Cray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응용하였다.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마음 속 보물찾기]였다. 결과: 총 5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용으로 5차시 교육내용의 주제는 삶의 본질적 특성,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자기주도적인 삶에서 선택과 책임의 중요성의 내용을 다루었다. 각 차시의 세부교육내용은 처음, 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으로 진행되며, 교육자용 지침서는 알쏭달쏭(동기유발을 위한 6컷 만화), 각 차시별 교육내용(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 체험하기(퀴즈 및 정답, 체험하기내용)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용 책자(환아용)는 CD를 통한 각 차시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체험하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책자이다. 또한 이 교육용 책자에는 각 차시 마지막 부분에 마음 속 보물찾기 CD에서 각 차시 마다 소개된 웃음 송 악보를 넣어 환아들이 언제든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령기 후기 암 환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외에 호스피스 영역의 전문종사자들이 암 환아들의 정서적, 영적돌봄을 위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지침서와 환아들을 위한 교육용 책자도 동시에 개발하여 그 활용의 용이성을 최대한 높였다.

Keywords